[더구루=황인표 기자] KB국민은행 인도네시아 법인(옛 부코핀 은행)의 지점장 월급은 얼마나 될까? 인도네시아 현지의 채용 정보업체 인베스타킷(InvestaKit)가 이를 공개했다. 은행 지점장은 월 106만원(1200만 루피아), IT개발자는 71만원(800만 루피아), 일반 직원은 35만원 (400만 루피아) 수준이었다. 인베스타킷은 “수당과 보너스는 제외된 금액”이라고 밝혔다. 인베스타킷이 밝힌 인도네시아 다른 은행 직원 급여 수준 역시 이와 수준이었다. 대부분 1억원 대 연봉이 넘는 국내 은행 직원 급여와 비교하면 인도네시아 은행 급여는 10분의 1 이하 수준이다. 한국과 인도네시아의 급여 수준을 비교하기 위해서 1인당 GDP도 따져봤다. 2023년 기준 대한민국 1인당 GDP는 3만 5657달러, 인도네시아는 1인당 4248달러다. 인도네시아 1인당 국민 소득이 우리나라 12% 수준이란 계산이 나온다. 1인당 GDP 수준만 놓고 보면 이 은행의 급여 수준이 지나치게 낮다고 볼 순 없다. 앞서 지난 2018년 KB국민은행이 인수한 '인도네시아 KB뱅크'는 인수 후 코로나19로 계속해서 수천억원의 손실을 냈다. 이 때문에 이복현 금융감독원장까지 나서서
[더구루=황인표 기자] "세계 최대 규모의 노르웨이 국부펀드가 군수 관련 기업에도 투자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노르웨이 중앙은행 총재인 '이다 볼덴 바체'는 현지시간 지난 13일 연례 연설에서 "노르웨이 국부펀드가 윤리적 이유로 무기 제조업체 투자를 피하던 정책을 바꿔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세계가 다시 군사 재무장과 국가 간 긴장이 높아지면서, 윤리적으로 허용되는 것들이 바뀔 수 있다"고 덧붙였다. 앞서 노르웨이 의회는 지난 2004년 노르웨이 국부펀드가 군수 회사 주식에 투자하는 것을 막았다. 이 때문에 노르웨이 국부펀드는 에어버스와 보잉 등 전투기 제작회사는 물론 록히트 마틴 등 군수 회사 주식을 매수할 수 없었다. 한편 노르웨이 보수당 역시 노르웨이와 동맹국을 보호하는 데 도움이 되는 방위 기업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같은 입장을 밝힌 상황이다. 1990년에 설립된 노르웨이 국부펀드는 운용금이 1조 8천억 달러, 우리 돈 약 2600조원으로 세계 최대 규모 국부펀드이다.
[더구루=김예지 기자] 에어버스(Airbus)와 캐세이퍼시픽항공(Cathay Group, 이하 캐세이 그룹)이 지속가능항공연료(SAF) 산업 육성을 위해 손을 맞잡았다. 양사는 아시아 및 전 세계 SAF 생산 확대를 위한 공동 투자에 나서며, 항공 산업의 탈탄소 전환 가속화에 박차를 가할 전망이다.
[더구루=홍성일 기자] 인공지능(AI) 스타트업 앤트로픽(Anthropic)이 구글과 대규모 컴퓨팅 인프라 도입 논의를 시작했다. 추가 자금을 확보한 앤트로픽이 본격적으로 대규모 AI 인프라 확보에 나서는 모양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