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한아름 기자] 프렌치 감성 국내 패션 브랜드 마르디 메크르디가 무신사 재팬과 함께 일본 패션 시장 공략에 나선다. 일본 도쿄 신주쿠 이세탄백화점에 팝업 스토어를 열고 K-패션의 매력을 알린다. 2일 무신사 재팬에 따르면 마르디 메크르디가 이달 7일부터 6일 간 일본 도쿄 신주쿠 이세탄백화점 2층 이스트파크에서 팝업 스토어를 연다. 단독 K-패션 브랜드로 오프라인 행사를 여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마르디 메크르디는 이번 팝업스토어에서 오프라인 한정판 메리제인 스니커즈를 선보인다. 아울러 나수팜빌리지(NASU FARM VILLAGE)와 컬래버한 제품도 한정 판매한다. 판매 증진을 위한 이벤트 또한 진행한다. 1만엔 이상 구입한 고객을 대상으로 마르디 메크르디 손수건을 무료 증정한다. 마르디 메크르디가 무신사 재팬과 함께 일본 시장 공략에 나서면서 현지인의 이목이 쏠릴 예정이다. 최근 일본에 한류 열풍이 지속되면서 K-패션을 찾는 소비자가 늘어나고 있어서다. 마르디 메크르디의 일본 사업은 무신사 재팬이 담당한다. 무신사는 지난 2021년 일본 법인 '무신사 재팬'을 설립하고 K-패션 브랜드의 일본 진출을 지원하고 있다. 지난달 도쿄에서 K-패션 브랜드
[더구루=한아름 기자] LG화학이 '항암제 올림픽'으로 일컬어지는 미국임상종양학회(ASCO) 연례학술대회에 참여한다. 지난 1월 인수한 미국 바이오기업 아베오와 함께 항암 신약 홍보에 나선다. 2일 아베오에 따르면 LG화학과 함께 2일부터 4일 간 미국 시카고에서 열리는 ASCO 연례학술대회에 참여한다. 양사는 미국 현지 의료진에 신장암 치료제 '포티브다'(FOTIVDA) 관련 특장점을 알린다. 포티브다 적응증 확대를 위해 임상시험 데이터도 공개한다. 앞서 아베오는 포티브다 사용범위를 확대하기 위해 임상 2개를 추가로 진행하고 있다. 3차 치료제인 포티브다를 2차 치료제로 사용하기 위해 BMS 항암제 '옵디보'와 병용 임상을 진행 중이며, 간암을 적응증으로 아스트라제네카 항암제 '임핀지'와 병용 임상을 하고 있다. LG화학은 이번 학회에 참여하면서 포티브다 인지도와 매출을 끌어올리겠다는 계획이다. 포티브다의 올해 매출 목표치는 2000억원이다. 포티브다는 지난해 매출 1300억원을 기록한 바 있다. 지난해 8월 미국항암치료가이드라인(NCCN Guideline) 권고 약제 지위를 획득하며 신장암 치료제로 자리 매김한 바 있다. ASCO는 항암제 올림픽이라고 일
[더구루=한아름 기자] 루이비통이 카타르 도하 하마드 국제공항에 럭셔리 라운지를 개장했다. 프랑스 인기 쉐프 야닉 알레노(Yannick Alléno)의 요리를 접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됐다. 지난해 하마드 국제공항에 면세점에 이어 라운지 오픈으로 중동 시장 공략을 힘을 싣는 분위기다. [유료기사코드] 2일 루이비통에 따르면 하마드 국제공항에 럭셔리 라운지 '24/7'를 오픈했다. 하마드 국제공항의 비즈니스 라운지 '더가든'에 자리한다. 24/7은 스튜디오 루이비통의 트위스트 글라스와 함께 파올라 렌티(Paola Lenti)와 인도 마흐다비(Mahavi), 마틴 아이슬러(Martin Eisler) 등 유명 인테리어 디자이너들의 제품으로 꾸며졌다. 야닉 알레노의 요리를 맛 볼 수 있는 공간도 마련돼있다. 알레노는 방문객에 △훈제 생선 플래터 △유자를 곁들인 양고기 △캐비어 페이스트리 등 프랑스 음식을 선보인다. 루이비통이 도하에 럭셔리 라운지를 개장하면서 중동 면세 사업 약진에 무게감이 실린다. 하마드 국제공항은 지난해 방문객 수를 5800만명으로 추산했다. 루이비통 관계자는 "새로 개장한 24/7에서 편안함, 웰빙, 고급 요리 등을 아우르는 또 한 번의 여행을
[더구루=한아름 기자] 일본 시오노기제약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와 인플루엔자 등 감염병 치료제·백신 사업 강화에 나선다. 해당 사업 부문에서만 올해 매출 1000억엔(약 9470억원)을 달성하겠단 목표다. 매출 부진의 늪에 빠진 일동제약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지 귀추가 주목된다. 시오노기제약은 일동제약과 코로나 치료제 조코바 공동 연구를 진행해온 바 있다. [유료기사코드] 시오노기제약은 2일 감염병 치료제·백신 사업 경쟁력을 강화해 해외 매출을 늘리겠다는 계획을 밝혔다. 먼저 중국과 동남아 시장을 중심으로 인플루엔자 백신 관련 마케팅 활동을 펼친다. 브랜드 인지도와 제품력을 기반으로 이후 미국 시장까지 진출한다는 목표다. 조코바 관련해서는 예방약으로도 쓰일 수 있도록 역량을 집중한다. 기존에는 경증·중등도 코로나 환자에게만 쓰였으나 발병 위험이 큰 노약자 등을 대상으로 예방약으로 쓸 수 있도록 연구를 진행한다. 판매국 또한 확대한다. 중국과 대만뿐 아니라 미국에서도 쓰일 수 있도록 임상시험에 박차를 가한다는 계획이다. 지난 달 두 번째 코로나 신약 개발에 도전했다. 코로나 신약후보물질 'S-892216' 관련 임상 1상을 개시했다. 임상 자
[더구루=한아름 기자] 오리온이 올해 베트남에서 제과류 가격을 동결한다. 2018년 가격을 그대로 유지한다. 고객 친화 정책을 펼쳐 만족도를 극대화하려는 움직임으로 풀이된다. 2일 업계에 따르면 오리온 베트남이 올해 제과류값을 올리지 않기로 결정했다. 휘발유 등 에너지 비용과 원자재 가격 등이 급등해도 가격 인상을 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분명히 했다. 당장의 실적보다 브랜드 이미지 제고 등을 통한 미래 수익에 중점을 두고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오리온은 제조원가 상승 부담에도 생산라인 가동률을 높여 제품 공급을 늘리겠다는 전략을 짰다. 오리온 베트남 관계자는 "일반적으로 원자재가 제과류 원가의 70%를 차지하는 가운데 설탕 등 원자재의 가격이 상승하면서 제과업체가 수년 간 가격을 올려왔다"며 "당사는 베트남에서 원료공급선 다변화, 공정 효울화 등을 통해 물가 안정화에 적극 나서기로 했다. 베트남 국민과 어려움을 함께 극복할 계획"이라고 했다. 오리온이 고객 친화 정책을 펼치면서 베트남 사업 약진에 기대감이 실린다. 제품력과 영업력을 바탕으로 시장점유율을 확대하고 기존 공장 증축과 신공장 설립 추진 등 공격적인 투자를 통해 경쟁사와의 격차를 더욱 벌여나갈 계획이
[더구루=한아름 기자] 노바백스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 '누백소비드'가 유럽에서 정신 승인(Full Marketing Authorization)을 받을 것으로 전망된다. 유럽의약품청(EMA) 산하 약물사용자문위원회(CHMP)가 누백소비드 정식 승인에 대해 '긍정 의견'을 내린 데 따른 것이다. [유료기사코드] 1일 노바백스에 따르면 유럽연합(EU) 집행위원회가 누백소비드의 정식 승인만 남겨 뒀다 CHMP가 누백소비드를 유럽에서 12세 이상 청소년에게는 기본 접종 용도로, 18세 이상 성인 대상에게는 부스터 용도로 정식 승인할 것을 권고하면서부터다. EU 집행위는 이에 대해 본격 논의하고 있다. 노바백스 측은 누백소비드가 정식 승인을 받는 데 문제없을 것이란 입장이다. 앞서 노바백스는 EU에 임상 3상 'PREVENT-19' 등 임상 데이터를 제출해 안전성과 면역 효과를 입증한 바 있다. 한편 누백소비드는 전 세계서 다섯 번째로 개발된 코로나 백신이다. 누백소비드는 모더나·화이자 코로나 백신과 달리 유전자재조합 방식으로 개발됐다. 미국 식품의약국(FDA) 승인은 아직 받지 못했으나 이달 기준 전 세계 40여 개국에서 쓰이고 있다.
[더구루=한아름 기자] 컬리 파트너사 라자다가 동남아 이커머스 시장 경쟁력을 제고한다. 대화형 인공지능(AI) 챗봇을 운영하며 서비스 품질을 높인다. 컬리에도 긍정적인 기류가 감지된다. 지난해 8월 라자다 계열사 레드마트에 브랜드관을 열고 한국 제품을 판매 중이다. [유료기사코드] 1일 라자다에 따르면 싱가포르·필리핀·인도네시아에 대화형 AI챗봇 서비스 '라지챗'(LazzieChat)을 운영한다. 라지챗은 마이크로소프트 클라우드 서비스 '아주르'를 도입해 개발된 프로그램이다. 오픈AI 챗GPT 기술을 기반으로, 소비자 문의에 24시간 대응할 수 있다. 소비자 추천 제품 기능도 있다. 현재 영어 버전으로만 서비스가 제공되지만 향후 인도네시아 표준어 바하사어 등 언어 서비스를 확대할 방침이다. 라자다가 대화형 AI챗봇 서비스를 도입함에 따라 신규 고객 유입 효과가 기대된다. 아울러 컬리의 동남아 사업 약진에 무게감이 실린다. 컬리는 지난해 8월 라자다 계열사인 싱가포르 이커머스 플랫폼 레드미트와 파트너십을 맺은 바 있다. 컬리는 레드미트에 △전주 베테랑 칼국수 △금미옥 쌀 떡볶이 △광화문 미진 메밀국수 등 유명 제품을 밀키트로 선보이며 K-푸드 열풍을 주도하고
[더구루=한아름 기자] 일본롯데 유럽 자회사 롯데 베델(Lotte Wedel)이 공격행보에 드라이브를 걸었다. 거침없는 광고 투자로 상품의 매출 향상을 이끌어내겠다는 전략이다. [유료기사코드] 신동빈 롯데 회장의 추진하는 '원롯데' 일환으로 풀이된다. 신 회장은 해외 시장에서는 제과 사업은 일본롯데에 힘을 실어주고, 한국롯데는 롯데제과가 롯데웰푸드로 사명을 변경한 것을 계기로 간편식·육가공 등 신규 사업으로 포트폴리오를 확장하겠다는 방침을 세웠다. 1일 업계에 따르면 롯데 베델이 브랜드 인지도 향상을 위해 올 1분기 광고비로 1370만 즈워티(약 42억7440만원)를 집행했다. 이 기간 초콜릿 브랜드 '라리벨'(Lalibelle), '커피박스'(Coffee Box), '파쇼나타'(Pasjonata)와 마시멜로, OH! 아이스크림 등을 홍보했다. TV뿐 아니라 라디오 등 다양한 기성 미디어에 제품을 알렸다. '제과 업체'라는 친숙한 이미지를 강화하고 소비자 접근성을 확대해 미래 고객층을 탄탄하게 만들겠다는 전략으로 읽힌다. 신 회장의 원롯데 체제가 공고해지고 있다는 평가를 나온다. 일본롯데가 제과 사업을 기반으로 한 글로벌 인지도와 유통 네트워크를 갖춘 만큼
[더구루=한아름 기자] 'K-바이오'가 글로벌 23조원 규모의 스텔라라(성분명 우스테키누맙) 바이오시밀러(바이오의약품 복제약) 시장 공략에 박차를 가한다. 삼성바이오에피스와 셀트리온, 동아에스티 등이 스텔라라 바이오시밀러 출시를 준비하고 있다. 암젠이 스텔라라 원 개발사 미국 존슨앤드존슨(J&J)과의 법적 다툼에서 합의하며 출시 연기도 호재로 작용됐다. 1일 업계에 따르면 암젠의 스텔라라 바이오시밀러 출시가 연기되면서 국내 기업이 품목 허가에 속도를 내고 있다. 삼성바이오에피스와 셀트리온, 동아에스티 등은 스텔라라 물질 특허 만료에 맞춰 상용화한다는 계획이다. 3사 모두 지난해 임상 3상을 완료했다. 존슨앤드존슨(J&J)이 암젠과 처음으로 스텔라라 바이오시밀러(생물학적제제 복제약) 출시에 합의했다. 합의 조건은 비공개지만 암젠의 스텔라라 바이오시밀러 출시 시기가 늦춰졌다. 당초 연말 출시 예정이었으나 2025년 1월로 변경됐다. 셀트리온은 품목허가까지 마친 상태다. 셀트리온은 지난달 25일 유럽의약품청(EMA)에 스텔라라를 치료제로 사용하는 모든 적응증에 대해 'CT-P43'을 품목 허가 신청했다. 동아에스티는 이달 내 미국과 유럽에 스텔라라
[더구루=한아름 기자] 베트남 2위 제약사 트라파코(Traphaco)가 대웅제약과의 파트너십 덕분에 매출이 상승했다. 대웅제약에도 긍정적인 기류가 감지된다. 대웅제약은 지난 2017년 트라파코에 지분 투자한 이후 기술 이전을 진행하며 동반 성장 기틀을 다진 바 있다. [유료기사코드] 1일 트라파코에 따르면 지난해 신제품 20개를 선봬 연 매출 목표를 달성하는 데 성공했다. 대웅제약으로부터 감기약·항생제·고지혈증치료제 등 품목을 도입한 덕분이다. 특히 지난해 양약 매출은 전년 대비 37% 증가해 목표(25%)를 훌쩍 넘겼다. 트라파코는 대웅제약과의 파트너십을 강화해 올해 성장세를 이어가겠단 계획이다. 트라파코는 올해 매출 목표를 2600억동(약 146억원)으로 잡았다. 5년간 연평균 성장률 15%를 목표로 한다. 트라파코는 올해 대웅제약으로부터 도입할 품목으로 혈압약, 고지혈증치료제, 당뇨병 치료제, 항생제 등을 꼽았다. 대웅제약의 베트남 사업 약진에 무게감이 실린다. 트라파코는 대웅제약 품목 전문 영업, 마케팅 조직을 신설하고 베트남 현지 생산과 판매 유통 전반을 담당하고 있어, 대웅제약의 해외 매출이 지속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한편 대웅제약은 지난 20
[더구루=한아름 기자] LG화학이 스웨덴 바이오기업 스프린트 바이오사이언스(Sprint Bioscience)와 비알코올성지방간염(NASH) 치료제 공동 연구를 중단한다. 지난 2019년부터 스프린트 바이오사이언스와 NASH 치료제 공동 연구를 진행해 왔으나 상업적 가치가 낮다고 판단, 연구에서 손 뗀다. 다만 LG화학은 다른 NASH 신약후보물질 연구에 역량을 집중하겠단 계획이다. 1일 업계에 따르면 스프린트 바이오사이언스가 LG화학과의 파트너십이 종료됐다며 파트너사 모집에 나섰다. 마티아스 스캄스타드(Mathias Skalmstad) 최고경영자(CEO) 대행은 "LG화학이 다른 신약후보물질에 투자하기를 결정했다며 공동 연구를 추진할 의사가 없다고 밝혔다"며 "최근 임상에서 성장 잠재력이 큰 것을 확인한 만큼 새로운 파트너사를 모집할 것"이라고 전했다. LG화학은 스프린트 바이오사이언스와 공동 연구는 중단하지만, 또 다른 NASH 치료제 연구에 집중하겠단 계획이다. 지난 2020년 트랜스테라 바이오사이언스(TransThera Biosciences)로부터 NASH 치료제 후보물질 'TT-01025'(LG303174)의 중국, 일본을 제외한 미주 및 유럽지역 등
[더구루=한아름 기자] 렛츠쉐이브(LetsShave)가 현지 대기업 위프로 인디아(Wipro India)의 투자를 받는다. 렛츠쉐이브는 면도기기업 도루코가 지난 2018년 투자한 인도 면도용품 제조업체로 국내에 알려졌다. [유료기사코드] 31일 업계에 따르면 렛츠쉐이브는 위프로 컨슈머 케어의 투자를 유치하는 데 성공했다. 위프로 컨슈머 케어가 지난 2020년 렛츠쉐이브에 250만달러(약 33억원)규모의 투자를 유치한 데 이어 이번이 두 번째다. 위프로 컨슈머 케어는 인도 정보기술(IT) 기업 위프로의 생활용품 전문 자회사다. 렛츠쉐이브는 이번 투자 규모에 대해 구체적으로 밝히지 않았으나 누적 자금 조달액이 600만달러(약 79억4000만원)를 달성했다고 설명했다. 확보한 투자금을 인도 온라인 사업과 해외 진출 기반을 닦는 데 쓸 계획이다. 온라인 시장에서 쌓은 인지도를 바탕으로 오프라인 시장 활성화와 해외 시장 확대를 꾀하겠단 전략이다. 시다스 오베로이(Sidharth Oberoi) 렛츠쉐이브 설립자는 "인도 온라인 면도 시장 1위를 목표로 하고 있다"며 "향후 몇년 안에 500억루피(약 8000억원) 이상의 매출을 올릴 것"이라고 예상했다. 위프로 컨슈머
[더구루=홍성환 기자] 중국 최대 증권사인 중신증권이 올해 중국 경제 성장세가 하반기 둔화할 것으로 내다봤다. 3일 코트라 및 관련 업계에 따르면 중신증권은 올해 중국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이 5.9%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했다. 분기별로 2분기 8.0%를 기록한 이후 3분기 5.2%, 4분기 5.8%로 둔화할 것으로 예상했다. 중국은 올해 1분기 4.5%의 성장률을 기록했다. 중신증권은 "하반기 해외 경제 모멘텀이 더욱 약화할 것"이라며 "디스인플레이션(인플레이션 완화)은 계속되겠지만 그 속도는 늦어질 수 있다"고 전했다. 이어 "미국 경제 확장기는 막바지에 접어들었으며 점차 약세를 보이고 있다"면서 "상반기 미국 내 소비자 수요 탄력성이 1년 내내 지속하기 어려우며 3분기 말이나 4분기 초 약한 경기 침체에 들어설 수 있다"고 전망했다. 또 "유럽 지역은 에너지 위기 압력이 완화되고 금리 인상 영향이 점차 뚜렷해지고 있다"면서 "유럽의 경제 구조는 미국보다 금리에 더욱 민감하고 경제 전망도 불확실하다"고 했다. 중신증권은 "전 세계 정세가 분할 특성이 더욱 두드러지고 있다"면서 "복잡한 글로벌 정세 속에서 중국은 일관된 전략적 초점을 유지하고 경제 개방
[더구루=홍성환 기자] 차세대 4차원(4D) 이미징 레이더 칩셋 솔루션 기업 아브로보틱스(Arbe Robotics)가 인공지능(AI) 기반 이미징 레이더 기술을 공개했다. [유료기사코드] 아브로보틱스는 독일 자동차 제조업체 BMW가 추최하는 국제 무선 산업 컨소시엄(International WIreless Industry Consortium·IWPC) 자동차 센서 아키텍처 컨퍼런스에 참여했다고 2일 밝혔다. 아브로보틱스는 이번 컨퍼런스에서 AI 기술을 활용한 이미징 레이더 기술을 소개했다. 아브로보틱스가 개발한 최신 AI 알고리즘은 레이더와 카메라 데이터를 실시간 융합을 통해 고속·장거리 환경에서 물체 감지와 추적 기능을 제공한다. 벤 라트하우스 아브로보틱스 부사장은 "우리는 도로에서 안전과 효율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자동차 센서 기술의 한계를 지속해서 확장하고 있다"면서 "AI 알고리즘과 이미징 레이더 기술의 시너지를 통해 자율주행 인식 기능을 발전을 보여줄 것"이라고 전했다. 아브로보틱스는 지난 2015년 설립된 차세대 4D 이미지 레이더 칩셋 솔루션 제공업체다. 이스라엘에 본사를 두고 있다. 자율주행차량 및 첨단운전자보조시스템(ADAS)의 고해상도 감지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