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김형수 기자] 콜롬비아 제약사 프로캡스(Procaps)가 북미 지역을 중심으로 성장세를 나타내는 젤리 관련 시장 공략을 위해 미국에 생산 시설을 갖추기 위해 나섰다. [유료기사코드] 12일 업계에 따르면 프로캡스는 펀트리션(Funtrition) 사업 확장을 목적으로 미국 플로리다 주에 새로운 제조 시설을 구축해 생산 역량을 제고할 계획이다. 펀트리션은 글로벌 기능식품 업체들을 대상으로 껌류 제품이나 젤리 등 기능식품에 대한 계약 제조 및 제품 개발(Contract Manufacturing and Product Development)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을 영위한다. 젤라틴 또는 식물성 기반 등 폭넓은 제품 개발 및 생산에 특화된 시설을 갖추고 있으며 100개가 넘는 고유의 기능식품을 전 세계 15개국에서 여러 글로벌 브랜드에 공급하고 있다는 설명이다. 북미를 중심으로 관련 시장의 성장세를 이어갈 것이라는 전망에 따라 미국 현지에 생산 시설을 확보하기로 결정한 것으로 해석된다. 북미의 젤리 비타민 시장은 오는 2028년까지 매년 11% 수준의 성장률을 나타낼 것으로 예상된다. 글로벌 젤리 비타민 시장에서 지난 2021년 한 해 동안 출시된 상품은 6
[더구루=김다정 기자] 최근 미국 증시에 데뷔한 콜롬비아 제약사 프로캡스(Procaps)가 탄탄한 자금력을 바탕으로 공격적인 인수합병(M&A)을 예고했다. 10일 업계에 따르면 카밀로 카마초(Camilo Camacho)프로캡스의 사장은 최근 콜롬비아 현지 매체와의 인터뷰에서 나스닥 상장 이후 회사의 미래 구상에 대해 밝혔다. 프로캡스는 콜롬비아 북부 바랑키야에 본사를 둔 제약사다. 5개 대륙, 50개 이상 국가에 의약품과 기능성식품, 병원용품을 판매하고 있다. 특히 중남미 제약업계 최초로 나스닥 시장에 진출한 기업이다. 프로캡스는 나스닥에 상장한 기업인수목적회사(SPAC·스팩)인 유니온애퀴지션(Union Acquisition)과 합병을 통한 우회상장으로, 지난달 30일부터 'PROC'와 'PROCW' 기호로 나스닥 시장에서 거래되고 있다 이날 인터뷰에서 카밀로 사장은 "이 IPO는 우리의 성장 전략의 핵심이 될 중요한 자원의 원천"이라며 "이 자원을 생산 능력을 확장하는 데 투자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번 IPO 이후 가장 먼저 나타나게 될 변화로는 공장의 확장을 꼽았다. 현재 프로캡스는 생산 시설과 포트폴리오 확장 등에서 비즈니스 결합할 수 있는
[더구루=홍성환 기자] 콜롬비아 제약사 프로캡스(Procaps)가 미국 증시 상장과 동시에 사모 회사채 발행을 통해 1350억원을 조달한다. 14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프로캡스는 1억1500만 달러(약 1350억원) 규모로 10년 만기 선순위 채권을 발행할 계획이다. 푸르덴셜프라이빗캐피탈이 회사채 발행을 주관하며, PGIM와 시그나인베스트먼트 등이 참여할 예정이다. 프로캡스는 내달 중으로 사모투자를 마감한다는 방침이다. 조달한 자금은 부채 상환과 운영 자금으로 사용할 계획이다. 루벤 민스키 프로캡스 회장은 "선순위 채권 발행을 통해 이자 비용 절감, 만기 연장 등 재무 구조를 개선해 성장 전략을 추구할 수 있는 재정적 유연성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프로캡스는 콜롬비아 북부 바랑키야에 본사를 둔 제약사다. 5개 대륙, 50개 이상 국가에 의약품과 기능성식품, 병원용품을 판매하고 있다. 현재 나스닥에 상장한 기업인수목적회사(SPAC·스팩)인 유니온애퀴지션(Union Acquisition)과 합병을 통한 우회 상장을 추진 중이다. 이달 말 합병을 완료하고 거래를 시작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번 기업공개(IPO)를 통해 2억3750만 달러(약 2780억
[더구루=정예린 기자] 폴란드군이 국내에서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공급한 K239 천무 기반 폴란드형 다연장로켓 '호마르-K' 관련 교육을 받은 비하인드가 인터뷰와 공식 영상으로 공개됐다. 이번 훈련은 한화에어로스페이스와 WB일렉트로닉스, 우리 군이 공동으로 주관한 체계적 교육 프로그램으로, 양국 방산 협력 강화와 폴란드군의 첨단 무기 운용 역량 제고가 기대된다. [유료기사코드] 12일 폴란드 국방부 공식 군사 전문지 '폴스카 즈브로이나(Polska Zbrojna)'에 따르면 제1지역 군수기지(1.Regionalna Baza Logistyczna) 소속 토마시 쿠친스키 소령을 비롯한 폴란드군은 지난 5월 파주 제1포병여단에서 2주간 K239 천무 운용·정비 교육을 수료했다. 이번 훈련은 폴란드군이 한국산 다연장 로켓 시스템을 체계적으로 배운 첫 공식 프로그램이었다. 교육은 영어로 진행되며 동시통역이 제공됐고, 우리 군 소속 K239 천무 훈련센터 및 포병 전문가들이 강사로 나서 이론과 실습을 병행했다. 특히 △고장 대응 △기본 정비 △발사 시스템 이해 등 운용 현장에 직접 활용될 수 있는 기술 교육이 집중적으로 이뤄졌다. 훈련에 참여한 병력은 예상되는 대부분의
[더구루=홍성일 기자] 인공지능(AI)의 등장으로 테크 업계에 지각변동이 일어나고 있는 가운데 스마트폰 시대를 이끌었던 애플이 중대한 기로에 섰다는 분석이 나왔다. 애플이 그동안 금융 전략을 앞세워 몸값을 높여왔지만, 앞으로 생존을 위해서는 성장 전략이 필요하다는 분석이다. [유료기사코드] 12일 업계에 따르면 미국 경제매체 CNBC의 유명 방송인 짐 크레이머는 최근 보고서를 통해 애플의 성장이 정체되고 있다며 비판했다. 짐 크레이머는 "현재 애플은 스마트폰 생태계 지배력과 풍부한 현금을 바탕으로 견고한 재무구조를 유지하고 있지만 주가는 정체된 상태"라고 분석했다. 실제로 애플의 주가는 지난해 12월 31일 종가기준 주당 250.42달러였지만, 최근에는 주당 210달러선을 유지하고 있다. 올해 들어 주가가 20% 가까이 하락한 것. 반면 경쟁사인 마이크로소프트(MS)는 421달러에서 20% 가까이 성장해 500달러선을 넘어섰으며, 메타도 585달러에서 730달러선을 돌파하며 전고점 돌파를 시도하고 있다. 심지어 S&P 500 지수도 올해 7% 가까이 상승했다. 크레이머는 애플의 자사주 매입 의존과 AI 경쟁에서 뒤처진 것이 문제라고 지적했다. 짐 크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