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정등용 기자] '뉴럴링크'의 뇌-컴퓨터 인터페이스(BCI) 장치를 뇌에 이식한 환자가 유튜브 영상을 제작하는 데까지 성공했다. 의사소통에 이어 유튜브 영상 제작까지 성공하면서 뉴럴링크의 기술력도 빠른 속도로 고도화 하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7일 미국 인터넷 매체 비즈니스 인사이더에 따르면 뉴럴링크의 BCI 장치를 뇌에 이식한 브래드 스미스는 최근 자신의 X(구 트위터) 계정을 통해 직접 제작한 영상을 공개했다. '일론 머스크가 나를 다시 말할 수 있게 했다'라는 제목의 이 영상은 9분42초 분량으로, 스미스가 두뇌 칩에 연결된 맥북 프로로 직접 제작했다. 스미스는 맥북 프로에서 커서를 움직이는 방법을 시연했으며, 혀를 움직이고 턱을 당기는 방식으로 마우스를 클릭하는 방식도 선보였다. 이번 영상은 뉴럴링크 기술로 편집된 첫 번째 영상일 뿐만 아니라 스미스가 직접 AI로 생성한 내레이션까지 더해져 그 의미가 남다르다는 평가다. 내레이션은 스미스가 말하는 능력을 잃기 전 녹음한 음성을 바탕으로 만들어졌다. 앞서 뉴럴링크의 창립자인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는 지난달 자신의 X 계정을 통해 "스미스가 의사소통에 성공했다"는 소식을 전하기도
[더구루=오소영 기자] 미국 육군이 차세대 로봇전투차량(RCV)과 자주포 도입을 연기한다. 예산 감축에 따른 결정으로 보인다. K9 자주포를 앞세운 한화에어로스페이스의 미국 진출 속도도 덩달아 늦춰질 전망이다. [유료기사코드] 7일 미국 군사 전문지 브레이킹 디펜스(Breaking Defense)에 따르면 미 육군 지상 전투 시스템 프로그램 총괄 책임자인 글렌 딘 소장은 지난 1일(현지시간) 내부 이메일에서 "RCV 개발을 중단할 것"이라며 "로봇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의 미래는 불확실하다"라고 전했다. 육군은 RCV를 도입하기 위해 공급사를 물색해왔다. 지난달 초 텍스트론 시스템즈(Textron Systems)의 립소 3(Ripsaw 3)를 낙점한 것으로 알려졌다. 곧 계약을 진행할 것으로 전망됐으나 예산과 단독 공급사 선정을 둘러싼 문제로 무산될 공산이 크다. 미 육군은 8%의 예산 감축을 추진하며 삭감 대상 중 하나로 RCV 도입 프로그램을 지목했다. 대당 약 300만 달러(약 40억원)에 달하는 비용을 지불해야 하는 만큼 단 하나의 공급사와 계약을 택하면 안 된다는 지적도 제기됐다. 복수의 회사로 꾸려진 컨소시엄과 계약을 맺어야 한다는 주장으로, 가장 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