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윤진웅 기자] 현대자동차 부품 협력사 삼기의 미국 2차전지 부품공장 설립이 탄력을 받고 있다. 앨라배마주 주정부가 공장 단지 인프라 조성을 위한 보조금을 지급했다. 지역 경제 발전 기여도를 고려한 결정인 만큼 향후 추가 보조금 혜택도 기대된다. 21일 미국 앨라배마주 주정부에 따르면 케이 아이비(Kay Ivey) 앨라배마주 주지사는 최근 메이컨 카운티 '터스키기 산업단지' 개발을 위한 보조금 50만 달러(한화 약 6억4470만 원)를 지원했다. 삼기 공장에 필요한 인프라 확충을 위해서다. 보조금은 미국주택도시개발부(US Department of Housing and Urban Development)를 통해 제공되며, 공장으로 연결되는 앨라배마 81과 I-85 도로를 잇는 상하수도 서비스 확장에 사용될 예정이다. 특히 이번 보조금은 지역 경제 발전 촉진을 위해 특별히 지급됐다. 앨라배마 대학 비즈니스·경제 연구 센터(Center for Business and Economic Research, CBER)의 분석에 따르면 삼기 현지 공장 설립에 따른 경제 효과는 연간 1억4020만달러(약 1780억원)에 달할 전망이다. 해당 지역 1인당 국내총생산(GDP
[더구루=윤진웅 기자] 현대차 협력사인 삼기가 미국 앨라배마주에 2차전지 부품공장을 설립한다. 삼기이브이의 북미 2차전지 부품 사업을 통해 오는 2025년까지 매출 2950억원을 달성하겠다는 목표다. 14일 미국 앨라배마 주정부에 따르면 삼기는 미구 앨라배마주 메이컨 카운티 '터스키기 산업단지'에 1억2800만 달러(약 1600억원)를 투자, 2차전지 부품공장을 짓는다. 공장 부지는 축구장 5개에 해당하는 17만9761㎡ 규모이며, 내년 1분기 가동을 시작, 2분기 본격 상업 생산에 나선다는 방침이다. 이미 메이컨 카운티 경제개발청(Macon County Economic Development Authority·MCEDA)과 공장 건설을 위한 최종 계약도 체결했다. 삼기는 현대차가 조지아주에 마련하는 전기차 전용 공장을 비롯해 LG에너지솔루션과 SK온 등 국내 배터리사에 2차전지 부품을 공급한다는 계획이다. 앨라배마 주정부는 170여개 일자리 창출 효과를 기대하고 앨라배마 주정부가 운영하는 인력개발기관 AIDT(Alabama Industrial Development Training)를 통해 직원 채용은 지원한다는 계획이다. 또한 MCEDA와 시당국도 적극 지원
[더구루=정예린 기자] 폴란드군이 국내에서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공급한 K239 천무 기반 폴란드형 다연장로켓 '호마르-K' 관련 교육을 받은 비하인드가 인터뷰와 공식 영상으로 공개됐다. 이번 훈련은 한화에어로스페이스와 WB일렉트로닉스, 우리 군이 공동으로 주관한 체계적 교육 프로그램으로, 양국 방산 협력 강화와 폴란드군의 첨단 무기 운용 역량 제고가 기대된다. [유료기사코드] 12일 폴란드 국방부 공식 군사 전문지 '폴스카 즈브로이나(Polska Zbrojna)'에 따르면 제1지역 군수기지(1.Regionalna Baza Logistyczna) 소속 토마시 쿠친스키 소령을 비롯한 폴란드군은 지난 5월 파주 제1포병여단에서 2주간 K239 천무 운용·정비 교육을 수료했다. 이번 훈련은 폴란드군이 한국산 다연장 로켓 시스템을 체계적으로 배운 첫 공식 프로그램이었다. 교육은 영어로 진행되며 동시통역이 제공됐고, 우리 군 소속 K239 천무 훈련센터 및 포병 전문가들이 강사로 나서 이론과 실습을 병행했다. 특히 △고장 대응 △기본 정비 △발사 시스템 이해 등 운용 현장에 직접 활용될 수 있는 기술 교육이 집중적으로 이뤄졌다. 훈련에 참여한 병력은 예상되는 대부분의
[더구루=홍성일 기자] 인공지능(AI)의 등장으로 테크 업계에 지각변동이 일어나고 있는 가운데 스마트폰 시대를 이끌었던 애플이 중대한 기로에 섰다는 분석이 나왔다. 애플이 그동안 금융 전략을 앞세워 몸값을 높여왔지만, 앞으로 생존을 위해서는 성장 전략이 필요하다는 분석이다. [유료기사코드] 12일 업계에 따르면 미국 경제매체 CNBC의 유명 방송인 짐 크레이머는 최근 보고서를 통해 애플의 성장이 정체되고 있다며 비판했다. 짐 크레이머는 "현재 애플은 스마트폰 생태계 지배력과 풍부한 현금을 바탕으로 견고한 재무구조를 유지하고 있지만 주가는 정체된 상태"라고 분석했다. 실제로 애플의 주가는 지난해 12월 31일 종가기준 주당 250.42달러였지만, 최근에는 주당 210달러선을 유지하고 있다. 올해 들어 주가가 20% 가까이 하락한 것. 반면 경쟁사인 마이크로소프트(MS)는 421달러에서 20% 가까이 성장해 500달러선을 넘어섰으며, 메타도 585달러에서 730달러선을 돌파하며 전고점 돌파를 시도하고 있다. 심지어 S&P 500 지수도 올해 7% 가까이 상승했다. 크레이머는 애플의 자사주 매입 의존과 AI 경쟁에서 뒤처진 것이 문제라고 지적했다. 짐 크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