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오소영 기자] 인도네시아 노동조합이 한국가스공사와 일본 미쓰비시상사에 현지인 고용 소홀에 대한 책임을 묻고 동기-세노로(Donggi Senoro LNG, 이하 DSLNG) 사업에서 발을 빼라고 촉구했다. 가스공사는 현지 정부의 승인을 받아 고용 규모를 결정하는 만큼 채용에 아무 문제가 없다는 입장이다. 인니 노동조합인 JARLI(Jaringan Advokasi Rakyat Lingkar Industri)는 지난 23일(현지시간) 가스공사와 미쓰비시상사가 DSLNG 가스전 사업 참여를 중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DSLNG는 인니 북부 술라웨시섬에 위치한 세노로·마틴독 가스전을 개발하고 천연가스 액화 플랜트를 건설해 LNG를 생산·판매하는 투자개발형 사업이다. 대주주는 59.9%를 보유한 SLD(Sulawesi LNG Development)다. 가스공사와 미쓰비시상사는 SLD의 지분을 각각 14.975%, 44.925%로 나눠 갖고 DSLNG 사업에 참여하고 있다. JARLI는 DSLNG가 현지인 채용에 미흡했다고 지적했다. 이를 감추고자 외부에서 파견을 나온 근로자와 현지에서 뽑은 근로자 수의 차이에 대한 데이터를 공개하지 않고 있다고 강조했다. 인니
[더구루=정예린 기자] 중국해양석유총공사(CNOOC)가 모잠비크 대규모 신규 가스전 개발 사업권을 따냈다. 모잠비크가 천연가스 주요 매장국으로 급부상한 가운데 중국은 현지 투자를 확대, 공급망을 구축하고 사업 기회를 적극 모색하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28일 모잠비크 석유가스공사(INP)에 따르면 광물자원부는 지난 23일(현지시간) CNOOC와 이탈리아 에니(Eni)에 각각 5개와 1개 광구에 대한 석유가스탐사 라이선스 발급을 승인했다. 총 투자 규모는 3억7000만 달러(약 4710억원)에 이를 전망이다. CNOOC와 에니가 확보한 가스전은 남부 앙고시(Angoche)와 남동부 사비강(Save) 지역에 위치하고 있다. 에니가 앙고시 소재 1개 광구를, 나머지 광구는 CNOOC가 탐사·개발한다. 양사는 최소 4개의 심해 유정을 시추할 계획이다. 총 면적은 3만1200km2에 이른다. 광물자원부는 작년 11월 16개 광구에 대한 공개 입찰을 시작했다. △로부마(Rovuma) 5개 △앙고시 7개 △잠베지(Zambeze) 2개 △사비강 2개 등이다. 1년여의 심사 기간을 거쳐 CNOCC와 에니가 최종 사업권을 확보했다. 나머지 10개 광구에 대한 입찰은 아직 이
[더구루=길소연 기자] LG전자 프리미엄 TV 콘텐츠를 강화한다. 유명 셰프가 출연하는 마조르도모 미디어와 손을 잡고 LG 채널을 위한 오리지널 콘텐츠를 제작한다. 스마트 TV 시장 내 소비자에게 가치를 제공하려는 LG의 전략의 일환이다. 28일 업계에 따르면 LG전자 미국법인은 마조르도모 미디어와 오리지널 콘텐츠를 제작하기 위해 다년간의 파트너십을 체결했다. 이번 파트너십으로 LG 채널에 독점적인 콘텐츠와 광고 기회를 제공한다. 무료 스트리밍 콘텐츠는 이달 말 LG 채널에서 마조르도모 TV를 볼 수 있으며 매주 새로운 에피소드가 추가된 여러 원본 시리즈를 선보인다. 데이비드 장이 출연하는 마조르도모 TV는 먼저 미국과 캐나다에서 먼저 출시될 예정이며 내년에는 25개 이상의 국제 영토로 확장할 계획이다. 저명한 셰프이자 레스토랑 경영자인 데이비드 장(David Chang) 마조르도모 미디어 설립자는 "요리 콘텐츠를 탐색할 수 있도록 LG가 준 신뢰와 창의성에 감사하다"며 "시청자에게 정직하고 재미있고 유용한 프로그래밍 슬레이트를 제공하기 위해 많은 실험을 할 것"이라고 말했다. 마조르도모 미디어는 전문 스토리텔러와 세계 정상급 요리 전문가가 주도하는 콘텐츠
[더구루=한아름 기자] 부광약품이 투자 결실을 봤다. 부광약품이 투자한 미국 에이서테라퓨틱스(Acer Therapeutics·이하 에이서)의 신약이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허가를 받았다. [유료기사코드] 28일 FDA에 따르면 에이서의 요소회로질환(UCD) 치료제 '올프루바'(Olpruva·ACER-001)를 품목허가를 했다. 이번 허가에 따라 올프루바는 미국에서 UCD에 대한 보조요법으로 쓰일 예정이다. UCD는 요소회로 내 혈류에서 암모니아를 제거하는 효소의 부족으로 발생하는 유전성 질환이다. 에이서는 이번 허가를 획득하기 위해 제삼자의 데이터를 활용해 FDA에 제출했다. 이는 연방식품의약품화장품법(FDCA) 제 505조에 따른 것이다. 앞서 UD 보조요법으로 승인을 받은 약물 뷰페닐(Bupenyl)의 임상 안전성·효능 데이터를 인용해, 올프루바와 생물학적 가용성 및 동등성을 평가한 데이터를 FDA에 제출했으며, FDA가 해당 결과를 바탕으로 승인을 내줬다. 올프루바가 FDA 문턱을 넘으면서 부광약품의 선견지명이 빛을 발했다는 평가다. 에이서가 미국 외 다른 지역에서도 올프루바 승인을 획득한다면 큰 폭의 매출을 견인할 수 있을 것이란 기대다. 부
[더구루=한아름 기자] CJ푸드빌 뚜레쥬르가 미국 캘리포니아주 로즈빌 진출을 검토하고 나섰다. 지난달 버지니아주에 매장을 개점한 데 이어 캘리포니아주에 출점 계획을 세웠다. 현지 시장에서 K-베이커리를 선도하고 영토 확장에 적극 나서고 있는 모습이다. 28일 업계에 따르면 뚜레쥬르 미국법인은 캘리포니아주 로즈빌에 오픈을 적극 추진하고 있다. 뚜레쥬르는 로즈빌 페어웨이 크릭 쇼핑센터(Roseville's Fairway Creek Shopping Center) 입점을 검토하고 있다. 페어웨이 크릭 쇼핑센터엔 식음료 매장 8곳과 네일케어 숍, 가구 판매점이 입점해있는 데다 인근에 코스트코와 홈 디포 등 매장이 근접해 유동 인구가 많다. 집객 효과가 뛰어나 뚜레쥬르 매장 오픈 시, 매출이 크게 늘어날 것이란 전망이다. 뚜레쥬르는 미국에서 본격 몸집 키우기에 집중하고 있다. 올 상반기에만 매장 41곳과 신규 프랜차이즈 계약을 체결했다. 하반기에도 K베이커리 전파에 힘을 쓰고 있다. 유타주와 버지니아주, 코네티컷주에 출점하며 뚜레쥬르 DNA를 전파하고 있다. 현지 생산 역량도 강화한다. 미국 현지에 대규모 제빵 공장을 짓겠다는 계획을 갖고, 공장 부지를 물색하고 있다.
[더구루=홍성환 기자] 한국동서발전이 최근 레고랜드 사태로 인해 자본 시장이 위축됨에 따라 춘천에너지에 유동성을 지원한다. 28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동서발전은 최근 이사회를 열고 '춘천에너지 ABCP 차환 관련 조건부 자금보충 시행' 안건을 논의했다. 이는 지난 10월 레고랜드 사태 이후 자본 시장 경색으로 자산유동화기업어음(ABCP) 발행이 불확실해진 데 따른 것이다. 지분율에 따라 동서발전은 888억원의 신용 공여를 제공할 예정이다. 춘천에너지는 포스코건설과 동서발전이 열병합발전소 운영을 위해 설립한 SPC(특수목적법인)다. 액화천연가스(LNG)를 연료로 사용해 춘천시 4개 지구에 열을 공급하고 전력을 전력거래소에 판매 하고 있다. 포스코건설이 지분율 49.1%로 최대 주주에 있고, 동서발전은 29.9%로 2대 주주다. 나머지 21.0%는 칸서스자산운용이 보유 중이다.
[더구루=한아름 기자] 엘앤피코스메틱의 화장품 브랜드 '메디힐'이 일본에서 '2022 립스 베스트 코스메틱(LIPS Best Cosmetics 2022) 토너패드·시트마스크 부문'에서 상위권을 차지했다. 립스는 일본 최대 뷰티 플랫폼 중 하나로, 깐깐한 일본 소비자들로부터 제품력을 인정받았다는 평가다. 28일 업계에 따르면 립스가 선정한 2022 베스트 코스메틱 어워드에서 메디힐 티트리 카밍 에센스 패드가 토너 패드 부문에서 1위를 차지했다. △N.M.F 아쿠아링 앰플 마스크 △티트리 케어 솔루션 에센셜 마스크는 시트 마스크 부문에서 각각 2위, 3위에 올랐다. 일본 뷰티 플랫폼 1위 립스에서 진행한 2022 베스트 코스메틱 어워드는 그해 소비자들로부터 가장 주목받은 인기 제품을 발표하는 최대 화장품 시상식이다. 립스는 이번 시상식에선 소비자들의 솔직한 리뷰뿐 아니라 화장품·미용·의약품 전문가들의 분석을 바탕으로 선정했다고 설명했다. 화장품 판매량과 소비자 만족도 투표 결과 등이 포함됐다. 그 결과, 메디힐 제품이 상위권을 기록하며 현지 소비자들로부터 가장 많은 사랑과 신뢰를 받았다는 분석이다. 립스는 "메디힐은 지난 9월 재활용률이 낮은 화장품 용기를 개선
[더구루=정등용 기자] 기업은행 중국 쑤저우 지점이 중국 외환관리규정을 위반한 혐의로 당국으로 부터 벌금을 부과 받았다. 중국 장쑤성 외환관리국은 28일 기업은행 쑤저우 지점이 중화인민공화국 외환관리규정 제47조와 제48조를 위반했다며 299.04위안의 불법 소득을 몰수하고 57만5000위안의 벌금을 부과했다고 밝혔다. 장쑤성 외환관리국은 기업은행 쑤저우 지점이 외환관리규정 제47조와 제48조에서 강제하고 있는 재무·회계 보고서, 통계 보고서 및 기타 정보를 제출하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외환관리규정 제47조와 제48조에는 금융기관이 재무·회계 보고서와 통계 보고서 제출과 같은 외환관리규정을 위반할 경우 불법 소득을 몰수하고 벌금을 부과할 수 있도록 돼 있다. 사안이 심각하거나 정해진 기한 내에 시정이 이뤄지지 않을 경우 사업 중단 명령을 내릴 수도 있다. 장쑤성 외환관리국 관계자는 “외환관리규정에서 강제하고 있는 서류 제출 의무는 우리가 수 차례 강조하고 있는 부분 중 하나”라면서 “중국 내 지역 금융에 대한 관리를 앞으로도 강화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기업은행은 지난 2007년 12월 장쑤성 쑤저우 시에 지점을 열고 영업을 이어오고 있다. 쑤저우
[더구루=윤진웅 기자] 현대자동차 브랜드 최초 수소 하이브리드 롤링 랩(Rolling Lab) ‘N Vision 74’가 마세라티 등을 제치고 영국에서 '올해의 콘셉트카'로 꼽혔다. 이와 함께 혁신적인 디자인을 통한 환경문제 개선 활동도 인정받았다. 28일 업계에 따르면 현대차는 지난 7일 영국 런던 레스터 스퀘어에서 열린 제1회 카 디자인 뉴스 피플 어워즈(Car Design News People Awards)에서 2관왕을 차지했다. 롤링 랩 N Vision 74가 올해의 콘셉트카를 수상한 데 이어 브랜드 디자인 팀이 지속 가능한 디자인 팀(Most Sustainable Design Team)으로 선정됐다. N Vision 74의 경우 현대적이면서도 미래지향적인 디자인과 시대를 초월한 기술을 탑재했다는 평가를 받으며 최종 결선에 오른 마세라티와 볼보, 폭스바겐 등을 제치고 우승했다. 특히 현대차의 디자인 비전과 추진력을 보여주는 모델로 미래 자동차 디자인이 감성적이고 매력적일 수 있음을 보여주는 대표 콘셉트카라는 평가를 받았다. N Vision 74는 브랜드 최초 수소 하이브리드 롤링 랩으로 고성능 차량에 대한 N 브랜드의 중장기적 비전을 보여주는 콘셉트카
[더구루=홍성일 기자] 브라이언 암스트롱 (Brian Armstrong) 공동창업자 겸 최고경영자(CEO)가 암호화폐 산업의 현재와 미래에 대해서 의견을 밝혔다. 브라이언 암스트롱 CEO는 암호화폐 산업이 앞으로도 이어질 것이라고 확신했다. 28일 업계에 따르면 브라이언 암스트롱 CEO는 미국 인터넷 매체 액시오스(Axios)와의 인터뷰에서 "FTX붕괴 영향이 조금 더 전염될 수 있을 수 있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브라이언 암스트롱 CEO는 암호화폐 산업가 결국 멸망할 것이라는 비관론에 대해서 "생존적 위기는 아니다"라며 "암호화폐 산업이 수 년간 사기꾼과 그들의 부당한 행위 등으로 평판에 손해를 입어왔다. FTX의 경우에는 실제 사기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FTX 등이 산업을 대표하는 것은 아니다. 업계 많은 사람들이 합법적으로 열심히 일하고 있다"며 "그들에게 좌절감을 주는 것은 화려하게 포장된 사람들이 너무 많은 관심을 받는다는 것이다. 그들은 외향적인 사람들은 아니다"라고 말했다. 브라이언 암스트롱 CEO는 암호화폐 산업 규제에 대한 입장도 밝혔다. 암스트롱 CEO는 "2023년 2분기에는 암호화 관련 법이 통과될 가능성이 높다"며 바하마
[더구루=홍성환 기자] 삼성물산이 미국 중부 위스콘신주(州)에서 추진하는 태양광 사업을 본격화하고 있다. 미국 전역으로 태양광 사업을 확대하는 모습이다. 28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위스콘신주 콜롬비아카운티 당국은 랭던밀스 태양광 사업(Langdon Mills Solar Project)에 대한 환경 평가를 실시할 예정이다. 이 사업을 추진하는 특수목적법인인 랭던밀스솔라는 앞서 지난 10월 위스콘신공공서비스위원회(PSCW)에 CPCN(Certificate of Public Convenience and Necessity) 신청서를 제출했다. 이 사업은 콜롬비아카운티 코트랜드 지역 약 930만㎡ 부지에 200㎿(메가와트) 규모 태양광 시설을 건설하는 것이다. 삼성물산 상사부문이 참여한다. 오는 2024년 착공해 2026년 상업 운전을 시작하는 것이 목표다. 삼성물산은 미국을 중심으로 등 북미 지역 태양광 사업에 적극 참여하고 있다. 삼성물산은 이미 미국 캘리포니아주와 텍사스주 등 지역에서 다수의 태양광 사업을 개발해 수익화했다. 이와 함께 북동부 오하이오주에서도 태양광 사업을 검토하고 있다. 미국은 현재 전력 공급 중 3%를 차지하는 태양광 에너지 비중을 오는 20
[더구루=이주연 기자] 구글이 웹3 생태계 확장에 나서고 있습니다. 구글은 클라우드 마켓플레이스를 통해 블록체인 네트워크 구축 틀을 제공해왔는데요. 여기에 더해 리시 람찬다니 전 블록파이 아시아 부사장과 아드리안 들라로체 콘센시스 엔지니어링 총괄 등 웹3 전문가들이 구글에 합류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구글 클라우드에서 다양한 웹3제품과 서비스가 출시될 걸로 전망되고 있습니다. 삼성전자가 26일 최근 라틴아메리카 전체를 포괄하는 메타버스 이니셔티브에 우리 돈 약 450억 원 이상을 투자했다고 밝혔습니다. 삼성전자는 투자 외에도 다양한 플랫폼을 활용한 이벤트를 개최하기도 했는데요. 게임 속 스마트시티 맵을 제공하는 등 메타버스 공간을 오픈하며 중남미 시장 공략에 나섰습니다. 삼성전자는 메타버스가 소셜미디어와 같이 Z세대를 연결할 수 있는 마케팅의 핵심인 만큼 메타버스 생태계 대응 전략을 이어갈 계획입니다. 기사 속 내용을 더 심층적으로 알아보기 위해서 홍성일 더구루 기자와 함께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 Q1. 웹3 생태계 구축을 위해 인사들을 영입하고 있다는 내용이었는데, 생태계 구축을 위해서 어떠한 작업들이 필요한 건가요. Q1-1. 구글 클라우드에서 웹3 제
[더구루=김은비 기자] 대만 파운드리 업체 TSMC가 1021억 원 규모 자회사 유휴 장비를 싱가포르 합작사에 공급한다. 이를 통해 지정학적 리스크를 분산하는 한편 생산 거점을 다변화, 아세안 내 차세대 반도체 '허브'를 본격 구축한다는 각오다. [유료기사코드] 16일 업계에 따르면 TSMC는 최근 이사회에서 약 22억1000만 대만달러(약 1021억 원) 상당 유휴 반도체 제조 장비를 싱가포르 합작사 ‘비전파워 반도체 제조(VSMC)’에 매각하는 안건을 승인했다. VSMC는 TSMC 대만 계열사인 뱅가드 인터내셔널 세미컨덕터(VIS)가 네덜란드 NXP와 손잡고 설립한 파운드리 법인이다. VSMC는 이번 장비 매입을 통해 130~40나노미터(㎚) 범용 공정 기술 기반 생산라인을 본격 가동한다는 방침이다. 오는 2027년부터 양산에 들어가 2029년까지 월 5만5000장의 웨이퍼를 생산한다는 목표다. 황후이란 VSMC 최고재무책임자(CFO)는 “이번에 도입되는 장비는 자동차 및 고성능 컴퓨팅 시장을 겨냥한 혼합 신호, 전력 관리, 아날로그 반도체 생산에 활용될 것”이라고 밝혔다. VSMC는 총 78억 달러(10조 8451억 원) 규모 투자로 설립되는 신규 합작
[더구루=홍성일 기자] 중국 전기전자 기업 샤오미(Xiaomi)가 자체 개발한 모바일 칩을 출시한다. 샤오미는 애플의 시스템온칩(SoC) 개발 전략을 벤치마킹해 모바일 생태계를 강화한다는 목표다. [유료기사코드] 레이쥔(Lei Jun) 샤오미 최고경영자(CEO)는 15일(현지시간) 자신의 웨이보를 통해 "샤오미가 독자 개발한 모바일 SoC인 엑스링O1(XringO1)이 5월 말 출시될 예정"이라고 밝혔다. 샤오미가 자체 개발한 엑스링O1은 영국 반도체 설계기업 Arm 아키텍처를 기반으로 개발됐다. 생산은 대만 TSMC의 3나노미터(nm) 공정을 이용한다. 유출된 정보에 따르면 엑스링O1은 3.2기가헤르츠(GHz) 프라임 코어 1개와 2.5GHz 퍼포먼스 코어 3개, 2.0GHz 효율성 코어 4개로 구성됐다. 성능은 2022년 출시된 퀄컴 스냅드래곤 8 젠2 모델과 유사한 것으로 알려졌다. 샤오미가 자체 모바일 칩 개발에 나선 배경에는 애플 벤치마킹 전략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애플은 지난 2010년 1세대 아이패드와 아이폰 4를 출시하면서 맞춤형 칩인 A4를 탑재하기 시작했다. 이후 A시리즈 칩은 아이폰과 아이패드의 강력한 성능을 상징하는 브랜드로 자리잡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