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정예린 기자] 한화솔루션이 미국 태양광 웨이퍼 제조사 '1366테크놀로지(1366 Technologies)'와의 10년 동행을 매듭지은 것으로 뒤늦게 확인됐다. 보유 지분을 정리하고 공동 프로젝트도 중단, 독자 행보를 걷기로 했다. 7일 한화솔루션에 따르면 회사는 1366테크놀로지와의 파트너십을 종료했다. 구체적은 배경은 알려지지 않았지만 양사 간 기술적 이견에 따른 전략적 차원의 결정인 것으로 전해진다. 1366테크놀로지는 빌 게이츠가 설립한 투자기업 '브레이크스루에너지벤처스'가 베팅한 미국 스타트업 '큐빅PV'의 전신이다. 지난 2021년 미국 헌트 페로브스카이트 테크놀로지(Hunt Perovskite Technologies, HPT)와 합병해 큐빅PV를 출범했다. 한화와 1366테크놀로지 간 인연은 지난 2010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한화솔루션(당시 한화케미칼)은 56억5400만원을 투자해 1366테크놀로지 지분 6.3%(1000만 주)를 인수했다. 양사 간 파트너십은 한화솔루션이 태양광 사업을 본격적으로 추진하면서 점차 확대됐다. 한화큐셀은 1366테크놀로지와 계약을 체결, 2017년부터 5년간 웨이퍼 700MW를 공급받았다. 2019년에는
[더구루=길소연 기자] HD현대인프라코어가 두산인프라코어 시절 출시한 100t급 초대형 굴착기를 디벨론(Develon) 브랜드명으로 교체해 첫 선을 보였다. 7일 업계에 따르면 HD현대인프라코어는 최근 디벨론 100t급 굴착기 'DX1000LC-7'을 출시했다. 대형 건설 및 채석 작업용 굴착기 중 가장 큰 사이즈다. 디벨론은 HD현대인프라코어가 지난 1월 새롭게 공개한 건설장비 브랜드다. 지난 1월 18일 기존 브랜드 두산을 대신할 새 브랜드 디벨론을 론칭했다. 디벨론 DX1000LC-7은 629마력의 영국 퍼킨스(Perkins) 엔진으로 작동하며 유압 및 엔진 출력을 최적화해 연료를 절약하고 효율성을 높이는 전자식 통합연비기술 ‘D-ECOPOWER(D-에코파워)가 장착됐다. 네 가지 전원 모드와 작업 모드가 있다. 엔진은 북미 환경 기준 Tier 4 Final 배기가스 배출 표준을 충족하기 위해 디젤 미립자 필터와 디젤 배기 유체를 사용한다. 추가 강도를 위해 스윙 베어링에 볼 베어링 대신 크로스 디자인을 적용했다. 수명이 길어지고, 돌파력이 높기 때문에 기계를 거칠게 다룰 수 있다. 조엘 에스칼란테(Joel Escalante) HD현대인프라코어 수석 제
[더구루=김도담 기자] 중국이 전기차 배터리 시장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아프리카 진출에 속도를 낸다. 특히 단순 자원 채굴에 그치지 않고, 생산 공장 설립으로 범위를 확대해 안정적 소재 수급과 시장 확장을 모두 노린다. [유료기사코드] 7일 외신과 전기차 업계에 따르면 중국 전기차 배터리 업체인 궈쉬안가오커(国轩高科)가 모로코에 연간 생산량 100GWh 규모의 배터리 생산공장 설립을 추진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로이터 통신에 따르면 해당 공장 설립에 투자하는 비용은 최대 63억 달러(약 8조1881억원)에 달할 전망이다. 궈쉬안가오커와 모로코 정부는 이번 공장 설립을 위해 지속적인 대화를 이어가고 있다. 모로코는 코발트, 인산염 등 주요 원자재 산업 체인을 갖췄고, 르노자동차, 스텔란티스 등 글로벌 완성차 업체들이 생산 공장을 운영 중이다. 또 소형 전기차를 중심으로 시장도 빠르게 크고 있다. 이에 궈쉬안가오커는 배터리 생산기지를 구축, 시장 선점은 물론 전기차 배터리 핵심 소재도 확보하겠다는 복안이다. 미국 뱅크오브아메리카(BoA)에 따르면 핵심 소재의 수급 불균형과 가격 급등으로 2025년부터 전기차 배터리 공급이 부족할 전망이다. 공장 설립이라는
[더구루=홍성환 기자] 한국수출입은행이 인도 중소기업이 전기차 구매를 구매하는 것을 지원한다. 인도 중소기업개발은행(Sidbi)은 한국 대외경제협력기금(EDCF), 한국-세계은행 신탁기금, 인도 국가개혁위원회(NITI Aayog) 등과 중소기업 전기차 구매 유동성 지원을 위한 제휴를 맺었다고 7일 밝혔다. 이는 전기차 생태계 확대를 위해 마련된 중소기업 전용 대출 프로그램이다. EDCF, 한국-세계은행 신탁기금을 재정적 지원을 하고, 국가개혁위원회가 기술 지원에 나선다. 이를 통해 중소기업에 약 150만대의 전기차 구매를 지원한다는 방침이다. 인도 정부의 강한 전기차 육성 정책에 힘입어 내연기관에서 전기차로 빠르게 전환하고 있다. 코트라의 '인도 전기차시장 현황' 보고서에 따르면 인도 전기차 등록 수는 작년 말 기준 약 200만대에 달한다.
[더구루=김도담 기자] LG전자가 인수한 오스트리아 헤드램프 전문 기업 ZKW(이하 LG ZKW)가 폴스타3 헤드라이트를 담당한다. 7일 자동차 업계에 따르면 LG ZKW는 전기차 모델 폴스타3에 '미러Z'(mirrorZ) 기술을 적용한 첨단 지능형 헤드램프를 공급, 탑재한다. 이번에 공급하는 헤드램프는 전방 카메라를 통해 마주 오는 차량을 감지한다. 디지털 라이트 프로세싱(Digital Light Processing) 기술을 사용해 자동으로 빛을 어둡게 하고, 정밀하고 원활하게 초점을 맞출 수 있다. 또 130만 화소 LED(발광다이오드) 모듈을 탑재했으며, 마주 오는 차량을 확인하면 상향등의 눈부심을 줄이도록 자동으로 조절한다. 눈부심을 줄여주는 상향등과 함께 전조등을 자동으로 켜준다. 경고기능도 적용해 안전성을 높이고,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돕는다. LG ZKW은 이번 공급에 앞서 폴스타2에도 프리미엄 LED 헤드라이트를 제공했다. 폴스타 외에도 BMW·다임러·포드·GM 등 주요 완성차 그룹에 헤드램프를 납품중이며, 지난해에는 랜드로버와 플래그십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5세대 '올 뉴 레인지로버'에도 지능형 LED 헤드라이트 공급 계약을
[더구루=최영희 기자] 엑셈 자회사이자 데이터베이스(DB) 보안 전문기업 신시웨이의 비정형 데이터 암호화 솔루션 '페트라 파일 사이퍼 V3.2'가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TA)로부터 GS인증 최고 등급인 1등급을 획득했다고 7일 밝혔다. GS(Good Softrware)인증은 소프트웨어 제품의 품질확보 및 소프트웨어 개발 기업의 판로지원을 위해 소프트웨어산업 진흥법 및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고시에 따라 소프트웨어의 품질을 인증하는 제도다. 페트라 파일 사이퍼는 에이전트(Agent)와 API 방식을 통해 비정형 파일 암호화를 지원한다. 이미지, 로그 파일, 녹취 파일 등에 대해 서버 내에 설치된 에이전트로 실시간 암호화를 지원하며, SAM(Sequential Access Method) 파일, CSV 파일 등 일정한 형식을 갖춘 파일들의 특정 영역 및 패턴 정보를 통한 암호화가 가능하다. 스케줄링을 기반으로 한 에이전트 방식은 실시간으로 파일을 암호화할 뿐 아니라 프로그램의 API 수정을 최소화해 효율적인 암호화 관리가 가능하다. API 방식은 애플리케이션 서버에 암·복호화 라이브러리를 설치하고 성능 부하를 최소화해 애플리케이션 및 배치(Batch) 프로그램의 보안성
[더구루=김도담 기자] 사우디아라비아에 수산화리튬 공장이 들어선다. 이 공장이 안정적으로 운영되면 BMW는 전기차 배터리 핵심 소재를 원활히 공급받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7일 업계에 따르면 호주 유로피언리튬(European Lithium)이 사우디아라비아 오베이칸 그룹과 수산화리튬 생산공장을 공동설립하기로 했다. 50대 50 조인트벤처로 설립하는 이 공장은 리튬 농축물을 수산화리튬으로 전환하는 공정을 진행한다. 수산화리튬은 배터리 4대 소재 중 하나인 양극재 생산에 쓰인다. 특히 니켈 비중 90% 이상으로 에너지밀도를 향상할 수 있는 하이니켈 배터리에 활용돼 수요가 빠르게 늘고 있다. 이 공장에서 생산된 수산화리튬은 BMW의 전기차 배터리 소재로 활용될 전망이다. 유로피언리튬은 BMW와 지난해 12월 장기구매계약(Offtake Agreement)을 체결, 2026년부터 2031년까지 6년간 수산화리튬을 공급하기로 했다. 한편 전기차 시장이 나날이 커지면서 전기차 배터리 핵심 소재를 확보하기 위한 경쟁도 치열해지고 있다. 비단 배터리 업체 뿐만 아니라 글로벌 완성차 업체에서도 전기차 배터리 원자재 확보에 직접 나서고 있을 정도. 전기차 시장을 주도하기 위
[더구루=김형수 기자] 에이블씨엔씨 화장품 브랜드 미샤가 일본 뷰티 시장을 확 잡았다. 미샤 비타씨플러스 잡티씨 탄력 앰플은 일본 SNS 미용 미디어 미미TV(MimiTV)에서 발표한 ‘2023년 상반기 미미TV 베스트 코스메틱 스킨케어 미용액·부스터·오일 2999엔(약 2만8000원) 이하 부문’ 순위에서 1위를 차지했다. 촉촉하면서도 자극이 적은 사용감이 높이 평가받은 것으로 풀이된다. 미미TV는 7일 "미샤 비타씨플러스 잡티씨 탄력 앰플은 촉촉하게 사용할 수 있는 비타민C 미용액"이라면서 "자극없이 쓸 수 있다는 점이 훌륭하다"고 호평했다. 미미TV는 미미TV 유저 1801명을 대상으로 수행한 인기 투표 결과를 바탕으로 해당 랭킹을 선정했다. 미미TV는 화장품 신상품, 미용 트렌드 관련 정보 전달을 전문으로 하는 SNS 매체다. 인스타그램, 트위터 등을 통해 570만명이 넘는 SNS 팔로워를 확보하고 있다. 미샤 비타씨플러스 잡티씨 탄력 앰플은 비타C 리포솜 포뮬러가 33% 함유된 주름개선·미백 기능성 화장품이다. 순도 99%의 비타민C와 인지질 구조의 캡슐로 안정화한 비타씨 리포솜이 유효성분을 효과적으로 피부에 전달한다. 이를 통해 피부 탄성복원력,
[더구루=한아름 기자] LG생활건강이 대만 시장 공략에 드라이브를 걸었다. 현지에서 생활용품 할인 프로모션에 나서며 중화권 사업 위상을 강화한다. 7일 업계에 따르면 LG생활건강이 편의점 세븐일레븐과 손잡고 대만 생활용품 시장 확대에 나섰다. 지난 2일부터 4일간 △페리오 △소피 등 생활용품 할인 이벤트를 진행했다. 특히 소피 나이트는 3개 구입 시 139 대만달러(약 5900원)에 판매됐다. 제품 한 개에 정상 가격은 99대만달러(약 4200원)로, 3개 구입 시 50% 이상 할인된 가격에 판매했다. 가격 경쟁력을 내세워 충성 고객을 확보한다는 전략으로 읽힌다. 특히 세븐일레븐은 대만 편의점 시장 점유율 70% 이상을 차지할 정도로 독보적인 유통망을 자랑하고 있는 만큼 LG생활건강의 브랜드력이 제고될 것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K드라마·K팝 열풍으로 대만 내 한국에 대한 선호도가 높아 향후 전망도 밝다. 앞서 LG생활건강은 대만에 이어 홍콩·싱가포르 등을 중심으로 중화권 시장 공략에 나서겠다는 계획을 제시했다. 대만에서 '후' '숨' '오휘' 'CNP' 등을 필두로 뷰티 사업을 확대하고 있으며 생활용품 시장에서 고객 접점을 확대하고 브랜드 위상을 높이겠다는
[더구루=정등용 기자] 우리 정부가 중국에 대한 광물 자원 의존도를 낮추는 데 속도를 내고 있다. 잠비아와 짐바브웨 등 아프리카 국가를 중심으로 광물 자원 공급망 확보에 주력하고 있다. 7일 한국광해광업공단에 따르면 강철준 광해안전본부장을 중심으로 한 우리 대표단은 지난달 22일부터 26일까지 잠비아 루사카를 찾아 잠비아 정부 주요 관료들과 회동했다. 이날 회동에서 우리 대표단은 잠비아 광업자원개발부와 광업 분야의 지속가능한 개발을 위한 MOU(업무협약)를 체결했다. 또한 전 주한 잠비아 대사와 전 광업부 국장 면담을 통해 후속 협업 발굴을 위한 양국간 광업 분야 협력 모델을 협의했다. 이번 광해광업공단의 잠비아 방문은 지난 2월 산업통상자원부가 발표한 ‘핵심광물 확보 전략’의 연장선상에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당시 산업통상자원부는 리튬과 니켈 등 10대 전략 핵심광물에 대한 중국 수입 의존도를 50%대로 낮추겠다는 목표를 제시한 바 있다. 이와 함께 산업통상자원부는 민간기업이 맡기 어려운 해외 자원탐사 기능을 광해광업공단이 수행하는 방안도 추진하고 있다. 지난달엔 안덕근 통상교섭본부장이 9일부터 11일까지 대통령 특사로 짐바브웨를 방문해 음낭가과 짐바브웨
[더구루=홍성환 기자] GS건설 자회사이자 세계적인 수처리 기업 GS이니마가 사우디아라비아 하수처리장 건설 사업 수주에 도전한다. 사우디아라비아 수협력공사(SWPC·Saudi Water Partnerships Company)는 수도 리야드에 들어서는 알하에르 하수처리장 사업과 관련해 입찰 제안서를 마감했다고 7일 밝혔다. GS이니마는 사우디아라비아 수처리 기업 알코라이예프(Alkhorayef Water and Power)와 컨소시엄을 구성해 입찰에 참여했다. 이외에 △악시오나·타우제아 컨소시엄 △알파나르 △미아호나·베식스 컨소시엄 등이 제안서를 냈다. 이 사업은 리야드에 하루 처리용량 20만㎥ 규모 하수처리장을 건설하는 공사다. 오는 2026년 3분기 상업 운전을 시작할 예정이다. 사업자는 25년간 운영·관리 업무도 맡게 된다. GS이니마는 글로벌 수처리 기업으로 해수담수화 기술, 하·폐수 정화시설 등을 갖췄다. GS건설은 신성장 동력 확보 차원에서 지난 2011년 이 회사를 인수했고, 지난 2019년 잔여 지분은 모두 매입하며 완전 자회사로 편입했다. 한편, 사우디아라비아는 대표적인 물부족 국가 가운데 하나로 다수의 수자원 프로젝트를 추진하는 중이다. 오는
[더구루=길소연 기자] 미국 투자금융 회사인 레이몬드 제임스 파이낸설과 세계 최대 자산운용사 블랙록 등 외국계 금융기관이 포스코의 지분을 대거 늘렸다. 철강주에서 2차전지주로 탈바꿈한 포스코홀딩스의 주식을 매입해 지분율을 확대했다. 7일 업계에 따르면 레이몬드 제임스는 최근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에 제출한 13F 보고서(Form 13F)를 통해 4분기 동안 포스코 홀딩스의 주식 5450주를 약 29만7000달러(약 3억 8500만원)에 인수했다. 블랙록은 올 1분기 동안 포스코 주식에 대한 지위를 17.7% 높였다. 지난 분기 동안 21만190주를 추가로 취득한 후 현재 8268만3000달러(약 1070억원) 상당의 주식 139만5026주를 소유하고 있다. 미국 3대 자산운용사인 스테이트 스트리트도 주식을 매입했다. 회사는 지난 3분기 동안 포스코 지분을 2.1% 늘렸다. 현재 3080만6000달러(약 339억8600만원) 상당의 주식 84만1473주를 갖고 있다. 미국계 투자자문사인 GMO펀드(Grantham, Mayo, Van Otterloo& Co. LLC)는 3분기 동안 포스코 지분을 21.1% 늘렸다. 지난 분기에 10만1900주를 추가
[더구루=홍성일 기자] 대만 전자제품 위탁생산(EMS) 기업 위스트론(Wistron)이 엔비디아(NVIDIA)의 인공지능(AI) 서버 생산을 위해 미국 제조 시설 건설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엔비디아는 위스트론, 폭스콘 등과 손잡고 미국 AI 인프라 구축 프로젝트를 진행한다. [유료기사코드] 24일 업계에 따르면 제프 린(Jeff Lin) 위스트론 최고경영자(CEO)는 최근 개최된 연례 주주총회에서 "내년 중 미국 텍사스주 댈러스 공장을 준공하고 블랙웰(Blackwell) 아키텍처 기반 AI 서버 생산을 시작할 것"이라고 밝혔다. 위스트론 댈러스 공장은 엔비디아의 대대적인 미국 AI 인프라 구축 사업에 따라 건설된다. 엔비디아는 지난달 최대 5000억 달러(약 690조원)를 미국 AI 인프라 구축에 투자할 것이라고 밝혔다. 엔비디아는 AI 인프라 구축 사업에 필요한 슈퍼컴퓨터 등을 미국에서 생산하겠다고 밝히며 폭스콘, 위스트론과 협력할 것이라고 전했다. 이에 따라 폭스콘도 텍사스주 휴스턴에 새로운 공장을 건설하고 있다. 폭스콘 휴스턴 공장에서는 반도체 칩 테스트, 모듈 통합 작업 등이 진행된다. 위스트론은 엔비디아 외에 미국 내 추가 고객사 확보에도 나섰다.
[더구루=김은비 기자] 전기차 스타트업 리비안(Rivian)이 차세대 전기 SUV ‘R2’를 통해 본격적인 생산 혁신에 나선다. 핵심은 배선 길이의 획기적인 축소다. 리비안은 기존 R1 모델 대비 R2에서 배선을 대폭 축소하며 차량 경량화와 원가 절감이라는 '두 토끼 잡기'에 나섰다. [유료기사코드] 24일 업계에 따르면 RJ 스캐린지 리비안 최고경영자(CEO)는 자신의 엑스(X, 옛 트위터)에 "전면부 배선 설계도 변경을 통해 R2의 배선 하네스를 R1 대비 약 20kg 경량화 시켰다"고 밝혔다. 리비안은 약 3.2km(2마일) 배선 하네스 경량화 외에도 인라인 커넥터 수는 60% 줄였으며 전자 제어 장치(ECU) 수 역시 기존 17개에서 7개로 감소시켰다. 스캐린지 CEO는 “R2에 적용된 배선 하네스는 네트워크 아키텍처와 존별 ECU를 기반으로 설계돼, 공장 내 설치 편의성을 높이고 전체적인 시스템을 간소화한 것이 특징"이라며 "이를 통해 전선, 클립, 접속 횟수가 크게 줄어들며 생산성과 정비 효율성이 동시에 향상됐다"고 밝혔다. 리비안은 전기 모터 인버터 역시 효율화했다. 기존 R1S, R1T에 쓰이던 ‘엔듀로(Enduro)’ 유닛보다 부품 수를 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