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오소영 기자] KCC가 글로벌 실리콘 기업인 '모멘티브퍼포먼스머티리얼스(MPM)'의 잔여 지분 인수를 마쳤다. 지분 100%를 확보해 시너지를 도모하고 지난해 약세를 보였던 실리콘 사업의 실적 회복에 나선다. 16일 KCC에 따르면 이 회사는 지난 14일 사모투자 합작회사 'MOM PEF'가 보유한 모멘티브 지분 4만941주 인수를 완료했다. 지난 3월 사모펀드 운용사인 SJL파트너스와 주식 매매 계약을 맺은 후 약 두 달 만이다. KCC는 MPM의 모기업인 모멘티브 홀딩스의 지분 60%를 갖고 있다. 남은 지분 40%는 MOM PEF가 소유한다. MOM PEF는 KCC 49.8%와 기타주주 50.2%의 지분으로 구성되는데 KCC는 기타주주분을 이번에 매입한 것이다. 잔여 지분 인수에 든 비용은 4050억원가량이다. KCC는 2019년 MPM 지분 매입 당시 컨소시엄 파트너인 SJL파트너스에 미국 증시 상장을 약속했었다. MPM 인수 후 5년이 지난 시점인 올해 5월을 데드라인으로 잡았다. 뉴욕거래소 상장을 통해 SJL이 지분 엑시트(시장 매각)에 성공하고 수익을 얻도록 하겠다는 전략이었다. 작년 8월 씨티글로벌마켓증권과 모건스탠리, 골드만삭스 등을
[더구루=오소영 기자] 내년 2분기 가동 예정인 KCC글라스 인도네시아 공장이 완공도 되기 전에 중국 최대 빌딩 자재 기업에 건축용 유리를 공급하는 계약을 성사시켰다. 이번 계약으로 동남아시아를 비롯한 글로벌 시장 공략에 나선다는 정몽익 회장의 전략에도 청신호가 켜진 셈이다. 28일 업계에 따르면 KCC글라스 인도네시아법인은 지난 26일(현지시간) 자카르타에서 열린 '자카르타·상하이 해외투자 심포지엄'에서 중국 최대 빌딩 자재 기업인 중국건축재료집단유한공사(CNBM) 산하 태양광 사업부문 법인 CTIEC와 판유리 공급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중국 국영기업인 CNBM그룹은 현재 300개 넘는 제조시설과 계열사를 보유한 현지 최대 빌딩 자재 기업이다. 국내에서는 HD한국조선해양과 프랑스 아반시스가 합작해 설립한 아반시스 코리아를 인수했다. KCC글라스는 CNBM과의 협력으로 완공에 앞서 안정적인 판매처를 확보하게 됐다. KCC글라스는 지난 2021년 인도네시아 중부 자바 바탕 산업단지 내에 총 46만 ㎡(약 14만평) 규모의 신규 유리 공장을 착공했다. 해당 공장은 2024년 2분기 본격 양산에 돌입할 예정이다. 완공 시 하루 생산량만으로 63빌딩을 두 겹으로 두
[더구루=오소영 기자] KCC의 미국 자회사 모멘티브 퍼포먼스 머티리얼즈(Momentive Performance Materials, 이하 모멘티브)가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에 박차를 가한다. 2025년까지의 로드맵을 발표하고 유엔 글로벌 컴팩트(UNGC)에도 가입했다. 모멘티브는 23일 지속가능 경영 전략을 담은 'ESG 책무(Commitment)'를 발표했다. 사람과 제품, 지구 등 세 분야로 나눠 2025년까지 달성할 세부 목표를 담았다. 모멘티브는 직원들의 성별 다양성을 50% 향상시키고 2023년까지 성별 임금 평등 여부를 평가한다. 2025년까지 지속가능성을 고려한 제품 비중을 75%로 높이고 지속가능성 표준을 마련해 신제품 출시에 반영하도록 한다. 환경 측면에서도 △온실가스와 유해 폐기물 등을 25% 줄이고 △재생에너지 공급 비중을 50%로 높이며 △물 소비량을 10% 감축한다. 모멘티브는 UNGC의 회원국으로도 활동한다. UNGC는 2000년 7월 발족한 UN 산하 자발적 기업 시민 이니셔티브다. 기업 활동에 있어 인권·친환경·노동·차별 반대·반부패 등의 10대 원칙 준수를 핵심으로 삼고 있다. 전 세계 157개국 1만4000여 개 기
[더구루=정예린 기자] 미국 반도체 설계자산(IP) 업체 '램버스(Rambus)'가 차세대 인공지능(AI) PC 시대를 겨냥한 메모리 모듈 칩셋을 출시하며 사업 확장에 나섰다. 서버용 메모리 칩셋 기술력을 입증한 데 이어 신제품을 통해 노트북, 데스크탑 등 클라이언트용 메모리 모듈 시장 진입 신호탄을 쐈다. [유료기사코드] 20일 램버스에 따르면 회사는 최근 차세대 D램 모듈 규격에 최적화된 전력관리반도체(PMIC) 2종 'PMIC5200'과 'PMIC5120'을 공개했다. 신제품은 인텔과 마이크론 등 주요 기업의 차세대 AI PC 플랫폼에 적용될 예정이다. PMIC5200과 PMIC5120은 업계가 주목하는 신형 메모리 모듈 폼팩터에 특화됐다. PMIC5200은 'LPCAMM(Low Power Compression Attached Memory Module)2'를, PMIC5120은 'CSODIMM(Compressed Small Outline Dual In-line Memory Module)'와 'CUDIMM(Compressed Unbuffered Dual In-line Memory Module)'을 지원한다. LPCAMM2는 LPDDR 패키지 기반 신개념
[더구루=홍성일 기자] 장애를 가진 미국의 한 크리에이터가 테슬라 사이버트럭의 자율주행기능 FSD(Full Self Driving)를 극찬하는 영상을 업로드해 눈길을 끌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20일 업계에 따르면 86핸즈(86hands)라는 영상 크리에이터는 테슬라 엑스(X, 옛 트위터)에 FSD 사용 모습을 공유하고 "손 없이 태어났지만 FSD 덕분에 인생이 바꼈다"며 "감사하다(thank you)"라고 밝혔다. 86핸즈의 영상은 테슬라가 진행하고 있는 FSD 체험 영상 모집 이벤트에 업로드 되며 공개됐다. 테슬라는 18일(현지시간)부터 테슬라 이용자에게 운전 중 FSD의 도움을 받는 모습을 담은 영상을 공유받고 있다. 업로드된 영상에는 86핸즈가 사이버트럭에 탑승해 FSD를 사용하는 모습이 담겼다. 86핸즈는 선천적으로 팔과 손에 기형을 가지고 태어난 장애인이다. 그는 장애를 이겨내고 놀라운 게임 솜씨를 선보여 172만명의 유튜브 구독자를 보유하고 있기도 하다. 86핸즈는 영상을 통해 FSD 외에도 사이버트럭에 탑재된 스티어 바이 와이어와 후륜 조향 기능에 대해서도 고평가했다. 스티어 바이 와이어는 운전자의 조향 명령을 전기 신호로 변환해 방향을 제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