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정예린 기자] 캐나다 '일렉트라 배터리 머티리얼즈(Electra Battery Materials·이하 일렉트라)' 최고경영자(CEO)가 최대 고객사인 LG에너지솔루션과의 흔들림 없는 동맹을 재확인했다. LG에너지솔루션은 북미 주요 소재 업체로 자리잡고 있는 일렉트라와의 파트너십을 통해 안정적인 현지 광물 공급망을 구축할 수 있을 전망이다. [유료기사코드] 트렌트 멜 일렉트라 CEO는 지난 20일(현지시간) 캐나다 BNN블룸버그와의 인터뷰에서 "LG에너지솔루션은 일렉트라 생산량의 60~80%를 차지할 것"이라며 "우리는 수요가 많기 때문에 다른 파트너를 통해 이 비중을 낮출 수도 있다"고 밝혔다. 이어 "LG에너지솔루션은 중국 대신 가장 큰 배터리 제조업체가 될 것"이라며 "LG에너지솔루션이 스텔란티스와 합작해 남부 온타리오에 짓고 있는 공장이 특히 주목할 만 하다"고 덧붙였다. LG에너지솔루션은 2022년 일렉트라와 올해부터 3년간 황산코발트 7000 톤(t)을 공급받는 계약을 체결했다. 이듬해 공급량과 공급 기간을 모두 확대했다. 2025년부터 2029년까지 1만9000t 규모의 황산코발트를 납품받는다. 하지만 일렉트라의 황산코발트 정제소 건설 프
[더구루=정예린 기자] 캐나다 일렉트라 배터리 머티리얼즈(Electra Battery Materials·이하 일렉트라)가 현지 정부로부터 보조금을 확보했다. 코발트 공장 증설 프로젝트에 투입, 사업 정상화에 속도를 낸다. [유료기사코드] 13일 일렉트라에 따르면 온타리오 북부 연방경제개발청(FedNor)은 최근 일렉트라에 500만 캐나다달러(약 49억원)의 보조금을 제공키로 했다. 일렉트라는 확보한 지원금을 온타리오주 황산코발트 제련소 건설 자금으로 사용할 계획이다. 일렉트라는 지난 2021년 6월 캐나다 온타리오주에서 유휴 정제소를 재개·확장하는 프로젝트에 착수했다. 연간 5000톤(t)의 생산능력을 6500t으로 늘린다는 목표다. 완공시 연간 최대 150만 대의 전기차에 사용할 수 있는 코발트 생산능력을 갖출 전망이다. 작년 5월 기준 △세부 엔지니어링 98% △장비 조달 85% △현장 인프라 조성 90%를 달성했었다. 글로벌 경기 침체와 인플레이션 등으로 인해 자금난을 겪으며 코발트 정제소 증설 작업이 일시 중단된 바 있다. 경영진 급여를 삭감하고 직원을 30명으로 줄이는 등 구조조정을 실시했지만 글로벌 인플레이션에 따른 비용 인상 속도를 따라 잡기에는
[더구루=정예린 기자] 미국 수소기업 '플러그파워'가 헤지펀드 운용사 '요크빌 어드바이저(Yorkville Advisors)'로부터 자금을 조달했다는 사실이 뒤늦게 알려졌다. 전환사채 상환과 수소 공급망 확장에 자금을 투입, 수익성 개선과 유동성 확보에 속도가 붙을 전망이다. [유료기사코드] 13일 플러그파워에 따르면 회사는 지난 4월 요크빌 어드바이저 최대 5억2500만 달러 규모의 담보부 채권 발행 계약을 체결하고, 첫 번째 트렌치로 2억1000만 달러를 인출했다. 이중 약 8250만 달러는 기존 전환사채 상환에 사용돼 주식 희석 가능성을 줄였고, 나머지 자금은 운영자금과 수소 생산 인프라 확장에 투입할 계획이다. 플러그파워는 이번 자금을 통해 연내 추가 지분 발행 없이 비용 절감과 자본 지출 축소, 운전자본 효율화를 통해 재무 건전성을 유지한다는 목표다. 지난 3월부터 시행한 비용 절감 프로그램은 연간 2억 달러 이상의 고정비 절감 효과를 기대하고 있으며, 공급망과 제조 공정 효율화를 중심으로 대부분의 조정이 완료된 상태라는 게 회사측 설명이다. 실적도 개선 흐름을 보이고 있다. 플러그파워는 올 1분기 매출을 1억3000만~1억3400만 달러로 잠정 집
[더구루=홍성일 기자] 중국 샤오미 오토가 전기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YU7과 함께 새로운 고급 주행보조시스템을 선보였다. 샤오미는 고급 주행보조시스템을 완전 자율주행차 기술로 발전시켜나간다는 목표다. [유료기사코드] 13일 업계에 따르면 샤오미 오토는 YU7의 인도에 앞서 업그레이드된 하이퍼 어시스티드 드라이빙(Hyper Assisted Driving, HAD) 주행보조시스템을 공개했다. 샤오미 오토는 새로운 HAD가 기존 버전과 비교해 가감속 제어 능력이 좋아져 승차감이 57% 가량 향상됐다고 소개했다. 또한 우회 성공률이 67%가 높아져 회차 상황에서 대응력이 높아졌으며, 교차로 통과율도 23% 증가해 실제 교통 상황에서 원활하게 통행할 수 있도록 발전했다고 강조했다. 새로운 HAD가 기존 버전보다 발전된 성능을 제공할 수 있는 배경에는 학습 데이터의 증가가 있다. 기존 버전은 300만개 클립을 학습한 시스템이었다. 클립이란 카메라와 라이다, 밀리미터파 레이더 등 다양한 센서가 수집한 데이터로, 30초에서 1분 사이 길이의 비디오 클립 형태로 만들어졌다. 새로운 HAD는 기존 버전보다 700만개나 많은 1000만개 클립을 학습했다. 샤오미는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