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홍성환 기자] 현대건설이 사우디아라비아에서 780억원 규모 변전소 공사를 수주하는데 성공했다. 최근 사우디 전력 인프라 공사를 연이어 따내며 경쟁력을 인정받은 모습이다. 25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현대건설은 사우디 전력청(SEC)과 북부 국경도시 라파에 들어서는 가스절연변전소(380/132㎸) 공사를 최종 수주했다. 수주액은 7112만 달러(약 780억원)다. 앞서 현대건설은 지난해 11월 진행된 입찰에서 13개 참여자 가운데 가장 낮은 가격을 제출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 계약은 일괄 턴키 방식으로 설계·조달·시공(EPC)을 비롯해 기자재 공급, 시운전 등을 모두 수행한다. 공사 기간은 착공 후 29개월이다. 현대건설은 사우디 현지 업체들과의 치열한 경쟁 속에서 송변전 공사를 잇따라 수주하고 있다. 지난 10일(현지시간) 하일~알주프 변전소 구간 송전선 공사를 따냈고, 지난해 5월에도 파이살리아 태양광 변전소 사업을 수주했다. 현대건설은 그동안 사우디에서 송전공사 30개, 변전공사 23개를 성공적으로 수행했다. 사우디 정부는 오는 2030년까지 국가 전체 전력 생산량을 120GW로 확대할 계획으로, 노후한 송배전망 개선 사업에 투자를 확대하고 있어
[더구루=홍성환 기자] 대우건설과 현대중공업이 건설 중인 쿠웨이트 알주루 정유공장이 올해 주목해야 할 국제 건설 프로젝트 '톱5'로 꼽혔다. 24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건설 전문매체 컨스트럭션다이브(Construction Dive)는 알주르 정유공장을 비롯해 홍콩국제공항 확장, 호주 빅토리아크로스타워, 사우디아라비아 홍해국제공항, 폴란드 P180오피스빌딩 등 5개 사업을 올해 주목할 프로젝트로 선정했다. 쿠웨이트 국영정유회사(KNPC)가 발주한 알주르 정유공장 프로젝트는 일일 생산량 61만5000배럴의 저유황 연료 생산을 위한 정유공장을 건설하는 사업이다. 대우건설과 현대중공업, 글로벌 엔지니어링업체 플루어가 지난 2015년 EPC(설계·구매·시공) 계약을 맺고 이 사업을 수행 중이다. 총사업비는 160억 달러(약 17조원)에 달한다. 영국 건설사 발포어비티가 시공을 맡은 홍콩국제공항 확장 공사는 총사업비 16억 달러(약 1조7600억원) 규모다. 발포어비티의 합작투자사 감몬이 제2터미널 본관과 연결 교량, 도로 등의 공사를 담당한다. 공사 기간은 4년이다. 확장 공사가 끝나면 수용 승객이 크게 늘릴 것으로 예상된다. 호주 개발사 렌드리스가 개발하는 호주 시
[더구루=홍성환 기자] 베트남 대표 휴양지 하롱베이 지역에 한국식 최고급 리조트형 아파트가 들어선다. 21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베트남 부동산 개발업체 NHO(National Housing Organization)는 한국 투자자들과 함께 베트남 꽝닌성 하롱시에 복합주상 아파트 '드래곤 캐슬(The Dragon Castle) 하롱'을 개발하고 있다. 한국인 건축가가 한국형 주상복합 아파트 스타일로 설계한 단지다. 1만3000㎡ 부지에 1275가구 규모로 지어진다. 학교와 녹지공원, 인피니티풀, 체육시설, 음식점 등 다양한 부대 시설이 들어선다. 오는 2022년 완공 예정으로, 현재 분양이 진행 중이다. 최근 들어 하롱시가 현지 부동산 개발업체의 주요 투자처로 주목을 받으며 대형 부동산 개발 프로젝트가 잇따라 진행되고 있다. 베트남의 삼성으로 불리는 빈그룹은 하롱시 일대에 4110만㎡ 규모 신도시 개발을 추진한다. 빈그룹은 자회사 빈홈과 합작법인을 설립, 총 232조3700억동(약 11조원)을 투자해 친환경 복합도시를 조성할 계획이다. 태국계 아마타그룹도 '아마타 시티 하롱'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산업단지를 비롯해 주거·교육시설 등으로 조성된다. 1단계 사
[더구루=홍성환 기자] 삼성물산이 대만 타오위안국제공항 제3터미널 토목공사 수주 2단계 입찰을 통과했다. 이에 최종 검토 단계만 남겨뒀다. 이르면 이달 중으로 결과가 나올 전망이다. 20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타이위안국제공항공사(TIAC)는 지난 18일(현지시간) 제3터미널 토목공사 2단계 입찰에서 삼성물산·룽공엔지니어링 컨소시엄을 최종 프레젠테이션 참여자로 선정했다. 이에 오는 28일 최종 검토를 시작할 예정이다. 이를 거쳐 최종 사업자를 발표한다. 앞서 지난해 8월 삼성물산·룽공엔지니어링 컨소시엄과 일본 타이세이건설·콘티넨탈엔지니어링 컨소시엄 2곳이 1단계 입찰을 통과했다. 당초 지난달 초 2단계 입찰을 진행할 예정이었지만, 이들 컨소시엄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코로나19)를 이유로 일정 연기를 요청하며 한 달간 미뤄졌다. <본보 2020년 11월 27일자 참고 : '삼성물산 눈독' 대만 타오위안공항 3터미널 입찰 지연…"실무진 격리로 준비 부족"> 타이위안국제공항공사는 오는 2024년부터 단계적으로 제3터미널을 오픈할 예정이다. 제3터미널 공사가 끝나면 연간 4500만명의 승객을 수용할 수 있게 된다. 지난 1979년 문을 연 타오위안공항은 대
[더구루=홍성환 기자] 삼성엔지니어링과 대우건설이 입찰에 참여한 10억 달러(약 1조1040억원) 규모 쿠웨이트 가스플랜드 사업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코로나19) 여파로 지연되고 있다. 지난해 9월 예비입찰을 진행한 뒤로 사업자 선정 작업이 사실상 멈춘 모습이다. 18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쿠웨이트 국영석유회사 KOC는 쥐라기 가스플랜트 공사 4번·5번 패키지 본입찰 일정이 미뤄지고 있다. 예비입찰을 통과한 적격예비후보 기업 가운데 한 곳이 지난달 이와 관련해 KOC 측에 문의했지만, 아직 명확한 답변을 내놓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입찰 기한이 연장될 가능성이 높아졌다. 쥐라기 가스플랜트 4번, 5번 패키지는 하루 1억5000만 입방피트의 천연가스와 5만 배럴의 원유를 생산하는 시설을 건설하는 사업이다. 이와 함께 유황처리시설, 수처리장, 기타 부대시설 공사를 포함한다. 공사 기간은 22개월이다. 수주 기업은 완공 후 5년간 시설 운영과 관리도 맡는다. 삼성엔지니어링, 대우건설 등을 비롯해 중국 시노펙, 일본 JGC, 영국 페트로팩, 미국 KBR(Kellogg Brown & Root) 등 11개 기업이 지난해 9월 적격예비후보 기업으로 선정됐다
[더구루=홍성환 기자] 베트남 복합리조트 단지 노바월드 판티엣을 개발하는 부동산 개발업체 노바랜드그룹이 리조트 해안 상업시설에 입점할 기업 17곳을 유치했다. 롯데리아, 더페이스샵, 어퓨, 바닐라코 등 국내 브랜드가 대거 들어설 예정이다. 15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베트남 부동산·리조트 기업 노바랜드그룹은 지난 14일(현지시간) 호찌민에서 17개 식음료(F&B)·패션·뷰티 브랜드와 노바월드 판티엣 해안 상점가 운영 협약을 맺었다. 롯데리아·배스킨라빈스·핫팟스토리 등 F&B 브랜드와 리복·나이키골드·피터밀러 등 패션 브랜드, 더페이스샵·어퓨·바닐라엔코·AHC 등 뷰티 브랜드가 참여했다. 해변 테마파크 옆에 상업거리가 들어설 예정으로, 완공 이후 엔터테인먼트, 쇼핑, 외식 등의 시너지로 큰 수요를 창출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회사 측은 설명했다. 노바월드 판티엣은 노바랜드가 판티엣 지역 해안가 1000만㎡ 부지에 개발하는 대규모 복합리조트 단지다. 빌라와 테마파크, 워터파크, 골프장, 체육시설, 병원, 쇼핑몰 등을 조성한다. 총투자액은 50억 달러(약 5조5000억원)에 달한다. 오는 2023년 완공이 목표다. 대명소노그룹은 리조트 개발과 운영에 참여
[더구루=홍성환 기자] 대우건설이 베트남 건설사 릴라마와 손잡고 베트남 꽝쩌1 화력발전소 사업 수주를 추진한다. 베트남 정부에 투명하고 공정한 평가를 요청하는 공문까지 보내며 높은 관심을 보이고 있다. 14일 관련 업계 및 현지 언론에 따르면 대우건설·릴라마 컨소시엄은 꽝쩌1 화력발전소 설계·조달·시공(EPC) 사업자 선정과 관련해 쯔엉 호아 빈 베트남 수석부총리에 서한을 보냈다. 이들 컨소시엄은 서한을 통해 공정한 평가를 요청했다. 이에 쯔엉 호아 빈 수석부총리는 기획투자부, 재무부, 건설부 등 관련 부처에 사업자 선정 과정에 문제가 없는지 자세히 살필 것을 지시했다. 꽝쩌1 화력발전소 사업은 베트남 중부 해안의 꽝빈성에 600㎿(메가와트)급 화력발전소 2기를 건설하는 것이다. 총사업비는 30조동(약 1조4310억원) 규모다. 베트남전력공사(EVN)는 지난 6월 입찰공고를 내고 사업자 선정 작업을 진행 중이다. 앞서 대우건설과 릴라마는 지난 2019년 10월 베트남 남동쪽 중꿧 경제개발구역에 들어서는 복합화력발전소 사업과 관련해 공동참여 업무협약(MOU)을 맺기도 했다. 한편, 대우건설은 오만, 나이지리아, 모로코, 알제리, 리비아 등에서 화력발전소 공사를
[더구루=홍성환 기자] 현대엔지니어링이 인도네시아 발릭파판 정유공장 고도화 사업과 관련해 현지 지질조사업체와 하청계약을 체결했다. 14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현대엔지니어링과 르까야사 인더스트리, 페르타미나 등으로 구성된 발릭파판 정유공장 고도화 사업 JO(Joint Operation)는 프라타마 위드야(Pratama Widya)와 920억 루피아(약 72억원) 규모 하청계약을 맺었다. 프라타마 위드야는 지질 조사·컨설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업체다. 말뚝 설치 등 깊은 기초 작업과 옹벽 설치, 그라우팅 및 지반 개량, 경사면 강화 등을 주로 수행한다. 발릭파판 정유공장 고도화 사업은 인도네시아 국영정유공사 페르타미나가 자카르타 북동쪽으로 약 1000㎞ 떨어진 보르네오섬 동칼리만탄주(州)에 있는 정유공장을 현대화하는 것이다. 원유 정제 능력을 일일 26만배럴에서 36만배럴로 확대하고 설비를 추가해 강화되는 환경 규제인 유로5(EURO V) 기준을 만족하는 친환경 연료를 생산하게 된다. 현대엔지니어링은 지난 2019년 9월 이 사업을 수주했다. 이어 지난해 2월과 9월 각각 황회수설비(SRU)·수소생산설비(HMU) 설치 공사, 수소첨가분해시설 증설 공사를 따내며 발
[더구루=홍성환 기자] 국내 최대 종합환경기업 TSK코퍼레이션이 베트남 최대 환경기업인 비와세(BIWASE)의 지분을 인수했다. 베트남 시장 공략이 탄력을 받을 것으로 기대된다. 14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TSK코퍼레이션은 지난해 11월 비와세의 지분 6.4%(1200만주)를 154억8360만원에 인수했다. 앞서 TSK코퍼레이션은 지난 2019년 11월 바와세와 전략적 파트너십을 맺은 바 있다. 이번 지분 투자를 통해 양사 간 시너지가 더욱 확대될 것으로 기대된다. 양사는 파트너십 체결 이후 △수처리 △폐기물 처리 △폐기물 에너지 △토양정화 △도시광산 등 환경 분야에서 공동사업을 추진해왔다. TSK코퍼레이션은 종합환경기업으로 △하·폐수 처리·재이용 △순수·초순수 처리 △원자력·화력 발전용수 처리 △해수 담수화 △폐기물 에너지화(소각·연료화·스팀·발전) 및 최종 처리 △토양 정화 등의 사업을 펼치고 있다. 태영건설을 인적분할해 설립한 티와이홀딩스가 최대 주주이다. 베트남은 아시아에서 경제성장률이 가장 높은 신흥국으로 환경시장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시장 규모는 지난 2012년 기준 13억5100만 달러(약 1조4827억원)로, 2008~2012년 5년간 연평
[더구루=홍성환 기자] 대우건설이 베트남 하노이 스타레이크시티 사업에 속도를 내고 있다. 국내외 투자자와 스타레이크시티 내 주요 프로젝트에 대한 사업권 양도 계약을 맺으며 개발에 본격적으로 나선 모습이다. 13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대우건설 베트남 자회사 THT디벨롭먼트는 초고층 호텔·비즈니스 빌딩과 복합쇼핑몰 개발 사업권을 주요 투자기업에 이전했다. THT디벨롭먼트는 지난달 말 현지 부동산 개발업체 타세코인베스트에 B3CC2블록에 건설되는 복합빌딩 랜드마크55 사업권을 양도했다. 이 건물은 경남랜드마크타워, 롯데센터 하노이에 이어 하노이에서 세 번째로 높은 빌딩으로 질 예정이다. 호텔과 사무실, 무역센터 등으로 구성된다. 이와 함께 일본 유통 대기업 다카시마야의 계열사인 도신개발과 C1CC1블록에 추진하는 복합쇼핑몰 사업권 이전 계약을 맺었다. 도신개발은 17만㎡ 부지에 쇼핑과 엔터테인먼트 시설이 결합된 복합쇼핑몰을 건설할 계획이다. 스타레이크시티 사업은 1996년 대우건설이 베트남 정부에 신도시 조성을 제안하면서 시작한 최초의 한국형 신도시 수출 사업이다. 하노이 구도심 북서쪽에 있는 서호 지역에 210만4281㎡ 규모 신도시를 조성하는 것이다. 총사업비
[더구루=홍성환 기자] 한화건설이 참여하는 미국 시카고 초고층 호텔·아파트 복합건물 개발 사업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코로나19) 여파로 대폭 축소됐다. 전염병 확산으로 여행산업이 위축되고 부동산 시장이 얼어붙은 데 따른 것이다. 12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미국 부동산 개발업체 마젤란디벨로퍼그룹(Magellan Development Group)은 일리노이주(州) 시카고 레이크쇼어 이스트 지역에 개발 중인 복합건물 '파셀 오 타워(Parcel O tower)'의 계획을 변경했다. 이 사업에는 국내 한화건설이 파트너로 참여하고 있다. 앞서 한화건설은 지난 2010년 마젤란과 전략적 제휴를 체결한 이후 3건의 복합건물 사업을 진행한 바 있다. 애초 마젤란은 총 570개 객실 규모의 호텔 2곳과 640가구 규모 아파트로 구성된 복합건물을 개발할 예정이었다. 하지만 지난해 초 전 세계적으로 코로나19 사태가 터지면서 사업에 차질이 생겼다. 마젤란은 우선 여행산업 위축에 따라 호텔 계획을 절반으로 축소, 269개 객실 규모 호텔 1곳만 유치하기로 했다. 이와 함께 아파트 가구 수도 줄이는 것을 검토하고 있다. 대신 공유 사무실과 상업시설이 들어설 예정이다. 마젤란은 오는
[더구루=오소영 기자] 방글라데시 국영석유회사 페트로방글라가 일본 도쿄가스를 마타바리(Matarbari) LNG 터미널 사업의 컨설팅사로 확정했다. 입찰에 본격 착수하며 사업에 관심을 표한 삼성물산과 포스코인터내셔널, 한국가스공사의 움직임이 바빠질 전망이다. 12일 업계에 따르면 도쿄가스는 페트로방글라와 마타바리 LNG 터미널 건설에 대한 컨설팅 사업 계약을 최종 체결했다. 컨설팅 사업 입찰이 시작된 지 약 18개월 만이다. 도쿄가스는 지난해 컨설팅사로 선정된 후 방글라데시 법무부와 내각의 검토를 거쳤다. 도쿄가스는 사업타당성 조사를 수행하고 입찰제안요청서(RFP) 발급을 준비한다. 입찰자 평가도 지원한다. 입찰이 코앞으로 다가오며 글로벌 에너지 회사들의 이목이 방글라데시로 향하고 있다. 마타바리 LNG 터미널은 방글라데시 남부 콕스바자르 지역에 연간 처리 용량 750만t 규모로 지어진다. 국내에서는 삼성물산이 입찰의향서(EOI)를 제출했다. 포스코인터내셔널은 가스공사, 방글라데시 유나이티드 그룹과 조인트벤처를 꾸려 참여한다. 이들과 함께 12개 기업이 경쟁을 펼칠 전망이다. 일각에서는 도쿄가스가 컨설팅을 맡은 만큼 LNG 터미널 건설도 일본 기업이 가져갈
[더구루=윤진웅 기자] 테슬라 모델S를 개조해 컨버터블이 공개, 주목을 끌고 있다. 테슬라 컨버터블 모델인 '로드스터' 공식 출시 지연으로 커스터마이징을 통해 개조하는 고객의 발길이 이어지고 있다는 것. …로드스터 속도내나 26일 업계에 따르면 이탈리아 전문 커스터마이징 업체 '아레스 디자인(Ares Design)'은 최근 테슬라 모델S 컨버터블 버전을 공개했다. 기존 뒷문을 제거해 2도어 컨버터블 형태로 가공한 점이 인상적이다. 파워 폴딩 소프트탑도 장착했다. 다만 소프트탑 공간 확보를 위해 루프와 B필러 등을 제거하는 과정에서 뒷좌석 공간은 줄었다. 아레스 디자인에 따르면 이번 모델S 컨버터블 버전은 고객 요청으로 제작됐다. 지난 2018년 작업을 시작해 약 3년 만에 완성했다. 뼈대부터 외장까지 신차 못지 않은 공을 들였다는 게 아레스의 설명이다. 특히 차량 후면에 전동식 캔버스 루프 시스템 등에 신경 썼다. 여기에 카본 파이버 바디키트, 커스텀 휠, 여러 색상 조합의 가죽 인테리어로 세련미까지 추가했다. 기존 테슬라 모델을 컨버터블로 바꾸는 시도는 계속되고 있다. 테슬라 컨버터블 모델 '로드스터'가 지연되고 있기 때문이다. 기다리다 지친 고객 상당수가
[더구루=김도담 기자] '중국판 테슬라' 패러데이 퓨처(Faraday Future)가 중국 굴지의 자동차 회사 지리자동차와 손잡고 전기차 생산을 추진 중이라는 얘기가 나왔다. 패러데이 퓨처는 현재 신차 개발 자금 마련에 어려움을 겪고 있으나 이번 계약 성사 땐 다시 활로를 찾을 전망이다. 미국 자동차매체 오토모티브뉴스 등은 25일(현지시간) 패러데이 퓨처가 중국 내 대도시 한 곳에서 전기차를 생산하고자 지리차의 생산협력 계약을 추진 중이라고 3명의 익명 관계자의 말을 인용해 중국 상하이발로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이들 관계자는 패러데이 퓨처가 지리차와의 협력으로 중국 대도시 한 곳에 연 생산능력 10만대 규모의 생산설비와 연구소를 갖추고 전기차를 생산하려 한다고 전했다. 또 지리차는 단순히 생산을 지원하는 데 그치지 않고 자율주행 기술을 포함한 엔지니어링, 스마트카 기술 지원도 제공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패러데이퓨처는 중국 사업가 지아위에팅이 2014년 설립한 전기차 스타트업이다. 설립 당시 중국 현지 언론으로부터 중국판 테슬라, 중국판 일론 머스크로 불리며 큰 관심을 끌었다. 2017년 첫 전기차 'FF 91'을 공개하며 2019년 출시하기로 했다. 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