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오소영 기자] 독일이 원전 2기의 수명 연장을 모색한다.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여파로 가스 수급에 어려움을 겪으며 대안으로 원전 가동을 검토하는 분위기다. 9일 업계에 따르면 독일 경제기후부는 지난달 31일(현지시간) 기존 원전에 대한 제2차 스트레스 테스트를 완료했다. 스트레스 테스트는 원전이 극한 상황에서도 안전히 가동될 수 있는지를 확인하는 시험이다. 조사 결과 테스트 대상이었던 3기 중 이사르 2호기와 넥카르베스트하임 2호기의 연장이 바람직하다는 결론이 나왔다. 이사르 2호기는 독일 바이에른에 위치한 가압수형 원자로(PWR)로 1988년부터 상업가동에 돌입했다. 독일 넥카르베스트하임에 건설된 넥카르베스트하임 2호기도 동일한 규모로 같은 해부터 가동됐다. 2기 모두 스트레스 테스트에서 긍정적인 피드백을 얻으며 독일이 일정 기간 원전을 더 돌릴 수 있다는 관측이 제기된다. 유럽 최대 에너지 소비국인 독일은 전력 부족 우려가 커지고 있다. 러시아가 서방의 제재에 대한 보복 차원으로 가스 공급을 줄이고 있어서다. 러시아 국영 가스 기업 가스프롬은 독일 등 서유럽으로 연결되는 가스관 노르트스트림-1의 가동 중단과 재개를 반복해왔다. 앞서 유지보수를
[더구루=길소연 기자] 세계 최대 철강업체 중국 바오우철강(Baowu Steel)이 인도네시아에서 21억 달러(약 2조9000억원) 규모의 니켈을 개발한다. [유료기사코드] 9일 업계에 따르면 바오우철강은 중국 산동 신해 테크놀로지(Shandong Xinhai Technology Co Ltd)와 발레 인도네시아(PT Vale Indonesia Tbk, INCO)와 함께 인니 술라웨시의 니켈 가공 공장 개발을 위한 투자 계약을 체결했다. 3사는 프로젝트를 위해 합작 투자(JV)를 구성한다. 합작사는 발레 인도네시아가 지분 49%를 소유하고 산동신해와 바오우 철강이 51%의 지분을 공동으로 소유하게 된다. 페브리니 에디(Febriany Eddy) 발레 인도네시아법인 최고경영자(CEO)는 "인니 모로왈리 리젠시 바호도피(Bahodopi)에 위치한 이 프로젝트에는 21억 달러가 소요될 것"이라며 "이번 협약으로 2025년까지 공사가 완료될 수 있도록 현장에서 공사를 계속 진행하고 가속화할 것"이라고 밝혔다. 발레 인도네시아는 바호도피 프로젝트를 통해 니켈 함량이 연간 7만3000~8만t인 페로니켈을 생산할 것으로 보고 있다. 발레 인도네시아는 파트너들과 향후 스테인
[더구루=길소연 기자] 말레이시아 국영 석유기업 페트로나스가 아르헨티나 국영 에너지 기업 YPF와 협력해 남미서 액화천연가스(LNG)를 수출한다. LNG 프로젝트 잠재적 개발을 위한 공동 연구와 개발을 시행해 오는 2029년부터 LNG 수출을 목표로 한다. [유료기사코드] 9일 업계에 따르면 페트로나스는 아르헨티나 YPF와 협력해 남미에서 액화천연가스(LNG) 수출 프로젝트를 추진한다. 페트로나스와 YPF는 LNG 수출 프로젝트 건설의 타당성을 평가하기 위한 양해각서(MOU)에 서명했다. 양사는 MOU로 기업들이 업스트림 석유, 청정 에너지 솔루션, 석유 화학을 포함한 다른 분야에서 협력할 수 있다. MOU를 바탕으로 프로젝트가 승인되면 아르헨티나의 가스·석유 매장지 바카 무에르타(Vaca Muerta)에서 생산되는 LNG의 최대 2500만t으로 확장된다. 연간 500만t의 초기 물량이 예상된다. 바카 무에르타는 2011년 발견된 9억2700만 배럴 규모의 석유와 천연가스 매장지이다. 아르헨티나의 고금리와 셰일가스 발굴 기법상 발생할 수 있는 환경오염 문제 등으로 인하여 개발이 지연되고 있다. 페트로나스는 "최종 투자 결정은 재정 조건, 법률과 정책에 의해
[더구루=길소연 기자] 세계 최대 해상 풍력 발전소 혼시2(Hornsea 2)가 본격 가동, 영국 140만 가구 이상에 전기를 공급한다. [유료기사코드] 9일 업계에 따르면 영국이 북해에 있는 부유식 해상 풍력 발전 단지 혼시2를 가동해 1.3GW 전력을 공급한다. 맨체스터 도시 정도는 충분히 사용 가능한 전기 공급이다. 혼시2는 요크셔 해안에서 89km 떨어져 있으며 청정 에너지를 생산하도록 설계됐다. 축구장 6만4000개와 비교하면 462km의 면적에 지멘스 가메사(Siemens Gamesa)에서 제조한 터빈이 165개가 장착됐다. 8메가와트 용량의 대형 터빈 여러 대를 사용했다. 터빈 블레이드는 길이가 81m이지만 하단 블레이드 끝은 해발 200m의 높이에 도달한다. 터빈은 한 번 회전하는 데 6초가 걸리며 영국의 한 가정에 24시간 동안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총 140만 가구 이상에 전력을 공급한다. 390km의 해저 케이블을 통해 링컨셔에 전송된 전력은 저장, 분배된다. 패트릭 하네트(Patrick Harnett) 혼시2 풍력 발전소 프로그램 책임자는 "영국은 해상 풍력 분야에서 세계적인 선두주자 중 하나"라며 "세계에서 가장 큰 해상 풍력 발전
[더구루=윤진웅 기자] 글로벌 물류 시장이 로봇과 드론을 활용한 스마트 물류 자동화 창고로 재편되고 있다. 인력 문제로 신경을 쓰지 않아도 되는데다 효율적인 재고 관리까지 가능하다는 점에서 호응을 얻고 있다는 것. 9일 미국 시장조사 업체 CB인사이트(CBinsights)에 따르면 오는 2024년 스마트 물류 자동화 관련 제품 시장 규모는 3260억 달러(한화 약 448조1848억원)에 이를 전망이다. 인력 부족 현상 심화에 따라 수요가 배가 될 것이라는 설명이다. 무엇보다 로봇과 드론 산업이 주목받고 있다. 로봇의 경우 어둠 속에서 작업이 가능하고 창고 내부 온도에 구애받지 않아 비용 절감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다. 드론은 공중을 날아다니며 무선 자동식별(RFID) 태그가 내장된 상품을 스캔해 장소와 수량 등의 실시간 데이터 수집·전송이 가능하다. 창고 인력의 업무 능력 제고를 위한 기술도 인기다. 협동 로봇과 파워 어시스트 수트가 대표적이다. 협동 로봇은 말그대로 사람과 함께 일하는 로봇 시스템이다. 파워 어시스트 수트는 무거운 짐을 들 수 있도록 돕는 기어를 말한다. 옷을 입 듯 착용해 활용할 수 있다. 현장 투입 전 AR과 VR을 통해 작업자 교육훈
[더구루=윤진웅 기자] 현대자동차가 러시아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시장을 장악하고 있다. 브랜드 해외 전략 소형 SUV 모델 크레타가 로컬 브랜드를 제치고 누적 판매 1위를 달리고 있다. 다만 최근 재고 부족 현상 심화를 겪고 있는 만큼 연말까지 왕좌를 유지하기에는 어려울 것이라는 전망이다. 9일 러시아 자동차 분석기관 АВТОСТАТ에 따르면 현대차 크레타는 올해 들어 7월까지 7개월간 러시아 SUV 시장에서 총 1만5195대가 판매됐다. 이는 전년 대비 63% 줄어든 수치로 월평균 약 2170대를 기록, 베스트셀링SUV에 꼽혔다. 현대차 브랜드 전체 판매량의 37.4%를 차지했다. 2위는 르노 더스터가 이름을 올렸다. 같은 기간 전년 대비 48% 하락한 1만2009대가 판매됐다. 브랜드 전체 판매량의 35.8% 비중을 나타냈다. 이어 라다 니바 트레블과 토요타 RAV4가 각각 전년 대비 44%와 60% 감소한 9018대와 8760대를 판매, 3위와 4위에 올랐다. 5위는 하발 졸리온이 차지했다. 톱5 SUV 중에서 유일하게 홀로 성장했다. 같은 기간 전년 대비 270% 세 자릿수 수직 성장한 6912대를 기록했다. 브랜드 내 판매 비중은 46.9%에
[더구루=윤진웅 기자] 현대자동차가 인도 시장에 N라인 2호 모델인 베뉴 N라인을 출시했다. 지난해 선보인 1호 모델 'i20 N라인'의 인기를 이어갈지 관심이다. 현대차는 지난 6일 인도 공식 SNS를 통해 베뉴 N라인 현지 출시를 알렸다. 사전 예약을 시작한지 약 2주 만이다. 앞서 HMIL은 지난달 25일 해당 모델에 대한 사전 예약을 접수한 바 있다. 예약 금액은 2만1000루피(한화 약 36만원)였다. 베뉴 N라인은 지난 6월 인도 시장에 출시된 베뉴 부분 변경 모델을 기반으로 고성능 N 시리즈로부터 영감을 받은 디자인과 개선된 주행 성능이 추가된 것이 특징이다. 총 5가지 색상으로 제공되며 실내외 곳곳에 N라인을 강조하는 표식을 심어 특별함을 더했다. 파워트레인은 1.0리터 터보차저 3기통 가솔린 엔진과 7단 DCT 자동변속기 조합으로 최대 120마력, 최대 토크 172Nm의 성능을 갖췄다. 운전자 편의 사양도 대거 추가됐다. 현대차 커넥티드 카 서비스 '블루링크'는 물론 아마존 인공지능 알렉사(Alexa)와 구글 보이스 어시스턴트가 포함된 H2C(Home to Car)도 탑재됐다. 이번 베뉴 N라인 출시는 지난해 1호 모델로 투입된 i20 N라인
[더구루=윤진웅 기자] 글로벌 신생 패션 브랜드와 한국과 이탈리아 패션 스쿨 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기아 디자이너 어워드'(Kia Designers Award) 결선 진출자 명단이 공개됐다. 오는 20일 개막하는 밀라노 패션 위크에서 우승자를 가린다. 기아는 7일(현지시간) 기아 디자이너 어워드 결선에 진출할 최종 후보로 △Edoardo Terribilini △Camilla Ruggerini △Gianluca Regazzo △Lei Ann Orsi △Francesco Matera △DassùYAmoroso 등 총 6명을 선정했다고 밝혔다. 지난 2월 공모를 시작한 지 약 7개월 만이다. <본보 2022년 2월 28일 참고 기아, 伊 국립패션협회와 파트너십…기아 디자이너 어워드 공모> 특별 기술 심사위원단에 의해 선정된 이들 결선 진출자 6명의 작품은 오는 20일 이탈리아디자인협회(ADI) 디자인 박물관에서 열리는 밀라노 패션 위크에 전시된다. 패션 위크에 참석하는 일반 대중을 대상으로 투표를 진행, 최종 우승자를 가린다. 신형 스포티지 모델을 기반으로 제작된 의상인 만큼 최종 우승자의 작품은 스포티지 특별 에디션으로 재탄생될 예정이다. 주세페 비티
[더구루=김형수 기자] 싱가포르 창이공항 제4터미널이 오는 13일 재개장한다. 창이공항의 여객 수용 능력 확대에 따라 롯데면세점과 신라면세점의 매출 증대도 기대된다. 연간 1600만명에 달하는 여객 수요가 점쳐진다. 9일 창이공항그룹(CAG)에 따르면 제4터미널은 21개 게이트를 갖추고 있다. 롯데면세점은 단독으로 주류·담배 매장을 운영하고 있다. 롯데면세점이 해외에서 운영하는 매장 가운데 최대 규모를 지니고 있다. 창이공항 제1터미널~제3터미널 출국장과 입국장에서 면세점을 운영하고 있다. 신라면세점은 창이공항 제1터미널~제4터미널에서 점포를 운영하며 뷰티와 시계 등 다채로운 상품을 판매하고 있다. 창이공항을 찾는 방문객 숫자가 회복세를 접어든 가운데 롯데면세점과 신라면세점 현지 사업도 탄력을 받을 수 있을 것이란 전망이다. 지난 2분기 창이공항 여객 수송규모는 733만명으로 코로나 19 이전의 43.6% 수준을 기록했다. 창이공항 제4터미널 첫 도착 항공편은 오는 13일 오후 3시5분 도착 예정인 케에시퍼시픽 CX739편이다. 첫 출발 비행편은 오후 6시에 홍콩으로 출발하는 CX716편이다. 이후 대한항공, 에어아시아, 세부 퍼시픽, 제주항공, 비엣젯에어
[더구루=정등용 기자] 스탠다드 차타드 뱅크(Standard Chartered Bank)와 베타플러스(BetaPlus)가 싱가포르에 디지털은행을 공동 설립했다. 9일 은행권에 따르면 스탠다드 차타드 뱅크와 베타플러스는 2억8500만 달러(약 3919억 원)를 투자해 싱가포르에서 디지털은행 트러스트 뱅크(Trust Bank)를 출범시켰다. 스탠다드 차타드 뱅크와 베타플러스의 트러스트 뱅크 지분율은 각각 60%와 40%에 이른다. 트러스트 뱅크 저축 계좌는 1.4%의 이자율을 제공한다. 특히 이 저축 계좌는 예금과 신용카드, 가족·개인 상해보험 외에 베타플러스의 계열사인 페어프라이스 그룹(FairPrice Group) 보상·로열티 프로그램과 연계 돼 있다. 싱 패스(SingPass) 계정이 있는 고객의 경우 트러스트 뱅크에 가입하면 몇 분 안에 디지털 카드를 즉시 사용할 수 있다. 디지털 카드는 신용카드와 체크카드로 동시에 쓸 수 있기 때문에 고객이 여러 장의 카드를 소지할 필요가 없다. 드와이파얀 새드후 트러스트 뱅크 대표는 “우리는 디지털은행에 대한 새로운 표준을 세울 것”이라며 “광범위한 제품 범위와 숨겨진 수수료가 없는 완전히 투명한 제품 디자인, 매우
[더구루=홍성일 기자] 중국 바이트댄스의 숏폼 동영상 플랫폼 '틱톡'이 나이지리아 등 아프리카 사업을 담당할 직원들의 채용을 개시했다. 9일 업계에 따르면 틱톡은 사하라 사막 이남 지역의 나이지리아, 케냐, 남아프리카공화국 사업을 주도할 책임자급 직원의 채용을 진행하고 있다. 틱톡이 채용하는 부문은 라이프스타일·교육 콘텐츠 파트너십 매니저와 유통 담당 비즈니스 디벨롭먼트 매니저다. 라이프스타일·교육 콘텐츠 파트너십 매니저는 사하라 사막 이남 아프리카 지역에서의 라이프스타일, 교육 부문 현지화 전략을 수립 주도하는 역할을 맡게되며 유통 담당 비즈니스 디벨롭먼트 매니저는 통신, 제품, 개발자를 연결해 새로운 비즈니스 기회를 만들어내는 일을 맡게된다. 바이트댄스가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 지역 사업을 이끌 담당자들을 강화하는 것은 이 지역에서 틱톡이 상당한 인기를 끌고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나이지리아에서 소셜 미디어를 사용하는 인구는 3400만명 정도로 이 중 47.7%가 틱톡을 이용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모바일 시장조사기관 센서타워에 따르면 틱톡은 2022년 1분기 전세계에서 가장 많이 다운로드된 앱으로 이 기간 1억8600만 건 이상의 다운로드가 이뤄
[더구루=김형수 기자] 싱가포르 시내 번화가에 자리한 굽네치킨 매장이 현지 언론에 의해 높은 평가를 받았다. 굽네치킨에 대한 현지 시장의 인지도 제고 및 판매 확대 등의 효과가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9일 싱가포르 음식전문 매체 잇북(eatbook)은 싱가포르 중심가에 있는 쇼핑몰 그레이트 월드(Great World)를 방문했을 때 가볼 만한 레스토랑으로 이곳 1층에 자리한 굽체치킨 매장을 꼽았다. 잇북은 굽네치킨이 오븐에 굽는 방식으로 건강하게 만든 한국식 치킨을 선보이는 곳이라고 소개했다. 기름없이 구워지기 때문에 칼로리 부담이 적다는 장점이 있다고 전했다. 닭고기는 육즙을 듬뿍 머금고 있으며 껍데기는 바삭바삭하기 때문에 충분히 만족스러운 경험을 할 수 있다고 했다. 해당 매장에서는 굽네 오리지널은 물론 소이갈릭, 볼케이노, 페퍼 스파이시 등 다양한 메뉴를 맛볼 수 있다. 그레이트 월드에 위치한 굽네치킨 매장은 지난 2020년 초 문을 연 굽네치킨의 싱가포르 1호점이다. 굽네치킨은 싱가포르에서 그레이트 월드점 이외에 배달 전용 매장인 세랑군점을 운영하고 있다. 굽네치킨은 지난 2014년 11월 홍콩 침사추이 1호점을 시작으로 지난해 11월부터는 말레이시아
[더구루=홍성일 기자] 위성 인터넷서비스 스타링크(Starlink)가 인도에서 '박리다매' 전략을 펼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이용자풀을 빠르게 늘리기 위해서라는 분석이다. 일단 스타링크는 인도 서비스 출시를 위한 승인 작업에 박차를 가한다는 계획이다. [유료기사코드] 28일 인도 경제전문매체 이코노믹타임즈(ET)에 따르면 스페이스X는 스타링크 인도 서비스 출시 초기 월 사용료를 10달러(약 1만4000원) 미만으로 책정하는 것을 검토하고 있다. 스타링크의 미국 월 사용료가 약 100달러인 것과 비교하면 10분의 1 수준이다. 이코노믹타임즈는 스페이스X가 스타링크 출시 초기에 이용자를 1000만명까지 빠르게 확보하기 위해 박리다매 정책을 꺼내든 것이라고 설명했다. 스페이스X는 월 사용료가 낮더라도 이용자풀을 빠르게 확장한다면 비용을 상쇄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또한 스페이스X는 스타링크에 이어 원웹과 릴라이언스 지오, 글로벌 스타 등의 위성 통신 서비스가 잇따라 출시될 것으로 전망되는 만큼 파격적 가격 정책으로 시장을 선점하겠다는 목표도 세운 것으로 알려졌다. 업계는 스타링크의 월 사용료가 저렴하게 책정되더라도 수신 접시 등 키트의 가격이 접근성
[더구루=정예린 기자] 미국 배터리 소재 스타트업 '나트리온(Natrion)'이 리튬 이온 배터리용 분리막 판매를 개시한다. 첫 미국산 활성 분리막으로, 미국 배터리 산업의 공급망 자립과 안정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유료기사코드] 나트리온은 27일(현지시간) 자사의 첫 번째 플래그십 활성 분리막 '젠-1(Gen-1)'을 공식 출시하고 조건부 선주문을 받는다고 발표했다. 현재 뉴욕주 업스테이트 지역에 위치한 생산시설에서 대량 생산 준비를 마치고 기가스케일 규모 양산을 진행 중이다. 젠-1 활성 분리막은 회사가 자체 개발한 특허기술인 리튬 고체 이온 복합체(Lithium Solid Ionic Composite, LISIC) 기술을 적용한 최초이자 유일한 미국산 배터리 분리막이다. 기존 분리막이 단순히 전극 간 물리적 격리와 액체 전해질 보유 역할만 했던 것과 달리, 나트리온의 활성 분리막은 액체 없이도 이온 전달이 가능해 배터리 성능과 안정성을 동시에 개선한다. 나트리온이 공개한 실험 결과에 따르면, 젠-1 활성 분리막이 적용된 리튬이온 파우치셀은 동일 조건에서 기존 분리막 대비 이론 용량을 10~15% 더 활용할 수 있어 실질적인 에너지 밀도가 크게 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