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홍성환 기자] KB국민카드 인도네시아법인의 국제 신용등급이 상향됐다. 모회사의 우수한 대외 신인도가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글로벌 신용펑가사 피치가 14일 KB파이낸시아 멀티파이낸스의 신용등급을 'AA+'에서 'AAA'로 상향 조정했다. 이와 함께 등급 전망을 '안정적(Stable)'으로 평가했다. 피치는 "KB파이낸시아의 신용등급 개선은 모회사인 국민카드와 지주사인 KB금융그룹의 신용 프로필이 개선된 것을 반영했다"며 "KB금융그룹의 상반기 실적은 국민카드 등 비은행 부문의 수익성 개선에 힘입어 크게 개선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KB파이낸시아는 KB금융그룹 인도네시아 사업의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며 "인도네시아에 진출한 자회사간 시너지 효과가 증대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전했다. KB파이낸시아는 자동차·오토바이·내구재 할부금융 사업을 하는 여신전문금융사다. 국민카드는 지난 2020년 이 회사 지분 80%를 인수하며 자회사로 편입했다. 인수 당시 여신 취급액 기준 오토바이 담보 대출과 내구재 대출은 각각 업계 3위, 자동차 담보 대출은 업계 5위 수준이다. KB파이낸시아 상반기 순이익은 733억 루피아(약 70억원)로 전년
[더구루=최영희 기자] 화웨이가 전 세계 5G 코어 솔루션 및 사용 사례에서 4년 연속 리더로 선정됐다. 14일 글로벌 시장조사기관 글로벌데이터는 '5G 모바일 코어: 경쟁 환경 평가(5G Mobile Core: Competitive Landscape Assessment)' 보고서에서 화웨이 5G 코어 포트폴리오가 가장 강력하다고 평가했다. 특히 이번 보고서에서 화웨이는 2위 기업과의 격차를 지난해보다 2.3배 더 벌리며, 화웨이 5G 코어 솔루션의 압도적인 기술력과 안정성을 다시 한번 인정받았다. 보고서에 따르면 다수의 글로벌 코어 네트워크가 클라우드화되고 5G로 전환됨에 따라, 네트워크 안정성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며 결과적으로 네트워크 신뢰성 설계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러한 추세로 인해 5G 코어 네트워크 솔루션이 라이브 네트워크에서 어떻게 작동하는지가 상용화 준비 여부를 평가하는데 매우 중요해졌다. 또한 2G, 3G, 4G, 5G 비독립형(Non-Standalone, NSA) 및 5G 독립형(Stand Alone, SA) 네트워크의 공존이 장기화되는 만큼, 장비 공급업체는 5G SA로의 원활한 네트워크 진화를 촉진하고, 복잡한 O&M과 같은
[더구루=한아름 기자] 오리온이 중국에서 감자칩 라인업을 확대하며 시장 점유율 확대를 지속 추진한다. 젊은 층의 취향에 맞는 제품을 선봬 현지 매출 성장세에 기대감이 실린다. 14일 오리온 중국 법인에 따르면 스윙칩 ‘하오요우취(好友趣)’의 제품군을 확대했다. 이번에 추가된 하오요우치 라인업은 △장쑤성 김 △원난성 흑송로 △이스라엘 홍자몽 등 3종류다. 신선한 지역 특산물을 활용한 것이 특징이다. 오리온 중국은 중국 젊은 층의 취향을 반영해 제품군을 개발했다고 설명한 만큼 향후 성장세가 기대된다고 내다봤다. 특히 하오요우취 신제품은 중국 젊은 층의 최대 관심사 중 하나인 건강과 웰빙 트렌드에 부합한다는 게 이들이 설명이다. 김은 미국, 일본 등 해외 시장에서 웰빙 간식으로 주목받고 있다는 점을 강조했다. 지난해 5월 중국 청년 소비 빅데이터에 따르면 18~25세 청년 소비 취향 3위로 건강과 웰빙이 꼽혔다. 오리온 중국은 "이번 신제품은 신선한 지역 특산물과 생감자가 어우러진 것이 특징"이라며 "라인업을 지속 확대해 젊은 소비자에 궁금증을 자아내고 입맛을 사로잡겠다"고 말했다. 한편 하오요우취는 2006년 중국 출시 이후 16년 연속 성장세를 기록하고 있다.
[더구루=최영희 기자] 바이오마커(생체표지자) 기반 혁신신약 개발 기업 메드팩토는 췌장암 관련 백토서팁 병용요법 임상 중간데이터를 미국암연구학회 췌장암 특별 컨퍼런스(AACR Special Conference on Pancreatic Cancer)에서 포스터 발표했다고 14일 밝혔다. 13일부터 16일(현지시간)까지 미국 보스턴에서 열리는 미국암연구학회(AACR) 췌장암 특별 컨퍼런스에서는 췌장암 치료와 관련한 다양한 임상 데이터가 공개된다. 메드팩토는 이번 컨퍼런스에서 췌장암 대상 백토서팁-폴폭스(FOLFOX) 병용요법에 대한 임상 1b(연구자임상) 중간 데이터를 공개했다. 구체적으로 췌장암 대상 백토서팁-폴폭스(FOLFOX) 병용요법에 대한 임상 1b에서 백토서팁 200mg를 1일 2회 투여한 13명 환자의 전체 생존기간 중간값(mOS)는 9.3개월이었다. 또한 객관적 반응률(ORR)이 23.1%였고, 38.5%는 암덩어리가 더 커지지 않는 안전병변(SD: stable disease)으로 확인됐다. 이에 따른 임상적 유용성(Clinical benefit)은 61.5%다. 또한 무진행 생존기간 중앙값(mPFS)는 4.2개월이었다. 반면 젬시타빈 실패환자 대
[더구루=홍성일 기자] 소셜 모바일게임 개발사 넷스피크 게임즈(Netspeak Games)가 투자 유치에 성공하며 첫번째 타이틀 개발에 속도를 낸다. [유료기사코드] 14일 업계에 따르면 넷스피크 게임즈는 지난주 시리즈A 투자 라운드를 통해 1200만 달러(약 170억원)를 조달했다. 이번 투자 라운드는 레이크스타와 프로젝트A가 공동으로 주도했으며 메이커스 펀드, 펄어비스의 자회사 CCP 게임즈의 힐마르 베이가르 페투르손(Hilmar Veigar Pétursson) CEO, 캐서린 츄 케플러 인터렉티브 투자 이사 등 앤젤투자자들이 참여했다. 넷스피크 게임즈는 2019년 영국에 설립됐으며 소셜 공간 구축을 중점으로 하는 2020년 중반부터 소셜 모바일 게임 '선샤인 데이즈'를 개발하고 있다. 션샤인 데이즈는 소셜 요소가 가미된 라이프 스타일 게임으로 커뮤니티와 함께 선샤인 밸리에 마을을 구축한다. 넷스피크 게임즈는 설립 이후 소니, EA(일렉트로닉아츠), 락스타, 스퀘어 에닉스, 페이로드 스튜디오, 락우드 퍼블리싱, 세가, 킹 등 글로벌 게임사 출신 인재들을 확보했으며 최근 그 범위를 확장하고 있다. 넷스피크 게임즈는 이번에 투자받은 자금을 추가 인재확보와 선
[더구루=김형수 기자] 아이슬란드 바이오시밀러 업체 알보텍(Alvotech)이 개발 중인 스텔라라(Stelera) 바이오시밀러 AVT04(우스테키누맙)이 오는 2027년 매출 6억달러(약 8360억원)를 넘본다. 에보텍은 올 연말까지 글로벌 주요 규제기관으로부터 AVT04에 대한 승인을 획득하기 위한 움직임에도 나섰다. [유료기사코드] 14일 업계에 따르면 에보텍이 AVT04 임상시험에서 나온 긍정적 결과를 확인하고 시장 출시를 본격적으로 노린다. 에보텍과 독점적 전략 파트너 관계를 맺고 있는 테바 파마슈티컬스(Teva Pharmaceuticals)와 스타다(STADA)가 각각 미국과 유럽에서 AVT04를 상업화에 박차를 가한다. 알보텍으로서는 강력한 수익 모델을 손에 쥐게 되는 셈이다. 건선, 궤양성 대장염, 크론병 등의 치료제로 쓰이는 스텔라라의 매출은 지난 2017년 40억달러(약 5조5720억원)에서 지난해 94억달러(약 13조950억원)로 135% 늘어났다. 해당 기간 연평균 매출 성장률은 24%에 달한다. 지난 5월말 발표한 확증 임상시험에서 AVT04는 스텔라라와 치료학적 동등성을 나타냈다. 중등도에서 중증의 만성 건선을 앓는 환자를 대상으로 A
[더구루=정등용 기자] 글로벌 대형 투자은행(IB) JP모건이 아일랜드 헬스케어 솔루션 기업 렛츠겟체크(Lets Get Checked)에 투자했다. [유료기사코드] 14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JP모건 사업부 중 하나인 모건 헬스(Morgan Health)는 렛츠겟체크에 2000만 달러(약 278억 원)를 투자했다. 이번 투자는 캐스틴 캐피탈과 트랜스포메이션 캐피털이 주도한 시리즈 D-2 라운드의 일부로 진행됐다. 모건 헬스에 따르면 이번 투자와 별개로 JP모건의 부사장 겸 인사 책임자인 로빈 레오폴드가 렛츠겟체크 이사회에 합류할 예정이다. 렛츠겟체크는 이번 투자 자금을 활용해 사업 확장에 속도를 더한다는 계획이다. 지난 2015년 설립된 렛츠겟체크는 가정용 의료기트를 활용해 검사를 진행할 수 있는 앳홈 테스팅 키트(At-Home Testing Kit) 서비스로 사업을 시작했다. 이후 여러 기업과 협업을 통해 현재는 원격의료와 처방, 건강관리 등 다양한 서비스로의 연계로 수익 확대에 성공했다. 현재는 미국과 영국, 유럽 지역에 300개 이상의 비즈니스 고객과 파트너십을 맺고 있다. 또한 포춘(Fortune) 선정 500대 기업과 공공 건강 보험 부문에 서비스를
[더구루=홍성환 기자] 신한베트남은행이 현지 국세청 모바일 앱을 통한 세금 납부 서비스를 구축했다. 14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신한베트남은행은 국세청 모바일 앱과 통합을 완료했다. 이에 따라 신한베트남은행 고객은 국세청 'E-Tax' 모바일 앱에서 자신의 계좌를 연동해 각종 세금을 납부할 수 있게 됐다. 국세청 모바일 앱 통합은 베트남 정부가 추진하는 현금 없는 사회 전환 정책에 동참하는 동시에 디지털 금융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것이다. 베트남 정부는 현금 없는 사회로 전환하기 위해 오는 2025년까지 전체 결제 금액에서 현금 사용률을 8% 미만으로 낮춘다는 목표다. 앞서 신한베트남은행은 지난 2015년 국세청 홈페이지나 영업점에서 편리하게 각종 세금을 납부할 수 있는 시스템인 E-Tax 서비스를 외국계 은행 가운데 최초로 도입한 바 있다. 신한베트남은행은 베트남 내 외국계 은행 중 가장 많은 46개 네트워크를 운영 중이며 2021년 기준 총자산·순이익 등 재무실적 부문 외국계 은행 1위를 달성했다. 지난해엔 글로벌 경제·금융 전문지인 인터내셔널 비즈니스 매거진 선정 베트남 최우수 외국계 은행으로 2년 연속 선정됐다.
[더구루=홍성일 기자] 크래프톤의 모바일 배틀로얄 '펍지 모바일(PUBG Mobile)'의 인도네시아 커뮤니티가 재향군인 재단에 기부했다. 이번 행사를 통해 인도네시아 내 게임에 대한 여론에 긍정적인 영향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 펍지 모바일의 인도네시아 퍼블리싱을 담당하고 있는 텐센트 게임즈 인도네시아는 11일(현지시간) 77번째 인도네시아 독립기념일을 기념해 진행된 행사를 통해 마련된 3000만 루피아(약 280만원)를 재향군인 재단인 '사하밧 베테랑'에 기부했다고 밝혔다. 펍지 모바일 인도네시아는 독립기념일을 기념해 스트리머 등 콘텐츠 제작자들이 참가하는 대회부터 인도네시아 참전용사를 위한 기부금 모금 행사 등을 진행해왔다. 이번 기부금 모금에는 다수의 펍지 모바일 콘텐츠 크리에이터와 유저들이 참여했다. 콘텐츠 크리에이터들은 기부를 위한 특별 라이브 스트리밍을 진행하는 등 이번 이벤트를 위해 다양한 콘텐츠를 제작하기도 했다. 특히 이번 기부금 전달행사는 코로나19 팬데믹 발생 이후 처음으로 오프라인 기부금 전달식이 진행되며 위축된 재향군인 관련 활동이 본격적으로 재개되는데 시발점이 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사하밧 베테랑 관계자는 "펍지 모바일 커뮤니티는
[더구루=한아름 기자] SK바이오팜이 개발해 글로벌 판매 중인 뇌전증 치료제 '세노바메이트'의 임상 결과가 유명 학술지에 실렸다. 세노바메이트의 안전성과 유효성에 대한 임상 연구 데이터가 축적되면서 블록버스터급 신약으로 성장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14일 SK바이오팜 자회사 SK라이프사이언스에 따르면 뇌전증 환자 7명을 대상으로 세노바메이트를 투여했더니 기존 약물보다 질환을 관리하기 편리했다는 내용이 담긴 임상 결과가 유명 학술지 신경학 및 치료학(Neurology and Therapy)에 실렸다. 연구진은 임상 결과, 세노바메이트가 뇌전증 치료제 중에서 최적의 관리를 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며 약물의 우수성을 높게 평가했다. 특히 뇌전증 치료제를 복용하고 있음에도 발작이 멈추지 않는 환자에게 유용하다는 게 이들의 설명이다. 파벨 클라인 미드 애틀랜틱 뇌전증 센터 박사는 "일반적으로 뇌전증 환자에게 뇌전증 치료제와 함께 발작 방지제 요법(ASM)이 추가되는데, 많은 약이 투여될수록 부작용 가능성이 높아질 수 있어 약물을 선택하는 데 매우 신중해야 한다"며 "세노바메이트는 ASM 용량을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고 말했다. SK바이오팜은 임상 연구 데
[더구루=길소연 기자] 세아베스틸지주 자회사 세아창원특수강의 중동 시장 공략이 순항하고 있다. 사우디산업투자공사(Dussur)은 13일(현지시간) 트위터를 통해 "세아창원특수강과 아람코 합작법인인 SGSI(세아걸프스페셜스틸인더스터리)이 킹살만에너지파크(SPARK)과 공장 부지 임대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공장 시공 업체도 선정됐다. 세아창원특수강 합작법인은 사우디 센단 인터내셔널 컴퍼니(Sendan International Company, 이하 센단)와 설계·조달·건설(EPC) 계약을 체결했다. 공장은 17만7845㎡ 부지에서 개발된다. 연간 2만t의 고부가 스테인리스 무계목 강관과 튜브(Stainless Seamless Pipe & Tube)를 생산한다. 2025년 상업 생산을 목표로 하고 있다. 240개의 기술, 엔지니어링 일자리가 창출된다. 앞서 세아창원특수강은 지난달 8일 아람코가 대주주인 사우디산업투자공사와 대규모 합작 투자를 통해 사우디 스테인리스 무계목 강관·튜브 현지 생산 법인 'SGSI'(세아걸프스페셜스틸인더스터리)을 설립했다. 2억3000만달러(약 2900억원) 규모의 투자를 통해 세운 합작법인은 아람코가 사우디 동부지역에 에너
[더구루=정예린 기자] 현대차그룹이 전략적 투자한 크로아티아 전기차 회사 '리막(Rimac)'이 자율주행차 출시에 앞서 현지에 대규모 인프라를 조성한다. 향후 2년 내 로보택시 상용화를 목표로 한 '기아 공동 프로젝트' 로드맵에 발 맞춘 행보로 보인다. 14일 업계에 따르면 리막의 자율주행 자회사 '프로젝트 3 모빌리티(Project 3 Mobility)'는 크로아티아 수도 자그레브 인근 트레슈니예프치(Trešnjevci)에 '모빌리티 센터'를 짓는다. 오는 2024년 완공 예정이다. 모빌리티 센터에는 로보택시를 충전·보관 등 관리할 수 있는 시설과 주민들을 위한 공원, 광장 등 휴게 공간이 함께 들어선다. 로보택시 관리 시설은 2층 건물 5개동으로 나눠진다. 1층에는 차량 40대 수용이 가능한 주차 공간, 충전 스테이션, 차량 수리·청소 작업장, 검사 구역, 제어·관리실, 예비 부품 창고 등이 포함된다. 프로젝트 3 모빌리티는 자그레브시로부터 전폭적인 지원을 받고 있다. 50년 동안 해당 토지에 건설할 수 있는 권리를 부여받았다. 매년 부가가치세 없이 보조금 82만1000 쿠나(약 1억5152만원)도 받기로 했다. 프로젝트 3 모빌리티는 리막이 지난 201
[더구루=홍성일 기자] 미국 원자력 발전 개발사 엘리멘틀 파워(Elementl Power)가 오크리지국립연구소(ORNL)와 빠른 원자력 발전소 부지 선정을 위해 손잡았다. 엘리멘틀 파워는 ORNL과 계약을 토대로 구글 원자력 발전소 건설 속도를 끌어올린다는 계획이다. [유료기사코드] 26일 업계에 따르면 엘리멘틀 파워는 ORNL과 원자력 발전소 부지 선정 가속화를 위한 파트너십을 체결했다. ORNL은 협약에 따라 엘리멘틀 파워의 구글 원자력 발전소 부지 선정을 지원할 것이라고 전했다. 이번 파트너십은 구글과 엘리멘틀 파워 간 원자력 발전소 구축 계약에 이어 체결됐다. 구글과 엘리멘틀 파워는 이달 초 전략적 협약을 체결하고, 미국 내 원자력 발전소 3곳 건설하기로 했다. 구글에 따르면 해당 발전소는 1곳 당 최소 600메가와트(MW) 발전용량을 제공한다. 구글은 계약에 따라 초기 개발 자금을 지원하며, 엘리멘틀 파워는 원자력 발전소 부지 선정과 기술 평가, 설계·조달·시공 파트너사 물색 담당하기로 했다. 구글은 원자력 발전소 건설을 통해 24시간 안정적으로 데이터센터 전력을 공급할 '기저전력'을 확보한다는 목표다. 엘리멘틀 파워는 ORNL에서 'OR-세이지(S
[더구루=홍성일 기자] 메타가 글로벌 에너지 기업 '어플라이드 에너지 서비시스(Applied Energy Services Corporation, AES)'와 태양광 에너지 공급 계약을 맺었다. 메타는 이번 계약을 통해 미국 중남부 지역 데이터센터 전력망을 강화한다. [유료기사코드] 26일 업계에 따르면 메타는 AES와 2건의 장기 전력 구매계약(PPA)를 체결했다. 이번 계약으로 메타는 총 650메가와트(MW) 규모 태양광 발전 용량을 확보하게 됐다. 이번 계약은 AES가 텍사스와 캔자스에서 진행하고 있는 태양광 발전 프로젝트에 따라 이뤄졌다. AES는 텍사스에서 400MW, 캔자스에서 250MW 규모 태양광 발전 시설을 구축하고 있다. 해당 시설이 완성되면 텍사스를 비롯한 미국 중남부 지역에 전력을 공급하는 사우스웨스트 파워 풀(SPP) 전력망과 연결된다. AES와 메타는 전력 공급 시작 시점과 기간 등 상세한 계약 내용은 공개하지 않았다. AES 대변인은 "통상 상업 운영 시작 2~3년 전에는 구매계약을 체결하며, 평균 계약 기간은 15~20년"이라고 설명했다. 메타는 AES에서 공급받은 전력을 텍사스 주와 캔자스 시티에 위치한 데이터센터 가동에 투입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