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김형수 기자] 한국 화장품이 세계 최대 규모의 뷰티 시장으로 꼽히는 미국에서 존재감을 키워나가고 있다. LG생활건강과 아모레퍼시픽은 적극적으로 인수에 나서며 미국 시장 공략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18일 코트라에 따르면 지난해 미국에서 수입한 한국 뷰티 관련 상품 액수는 7억1215만 달러(약 9931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프랑스, 캐나다에 이어 3위에 해당하는 규모다. 지난 2020년 대비 증감률로 따지면 한국 뷰티 상품 수입액은 32.2%가 늘어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했다. 프랑스 뷰티 상품 수입액은 11.3%, 캐나다 뷰티 상품 수입액은 25.1% 늘어났다. 한국 화장품은 다양하고 좋은 품질의 상품을 합리적인 가격에 선보이며 미국 시장에서 인기를 끌고 있다는 분석이다. 시장조사 전문기관 스타티스타(Statista)가 발표한 지난해 미국 소비자의 한국 화장품에 대한 인식 설문조사 결과를 보면 응답자의 26.7%는 다양한 제품을, 24.5%는 효과적이고 좋은 품질을, 23.1%는 품질 대비 저렴함 가격을 한국 화장품의 긍정 요소로 꼽았다. 이처럼 미국 소비자들 사이에서 한국 뷰티에 대한 긍정적 인식이 확산되는 것과 더불어 수요도 늘어나자
[더구루=한아름 기자] 미국에서 노령화가 가속됨에 따라 홈케어 시장이 탄력을 받을 것으로 전망된다. 미국 내 의료 인력이 부족한 데다 의료비도 비싸 홈케어로 건강을 지키고자 하는 노인이 늘고 있다는 이유에서다. 18일 CVS헬스에 따르면 지난 5일 홈케어 서비스 기업인 시그니파이 헬스(Sigify Health)를 80억 달러에 인수했다. CVS헬스는 미국 최대 소매 약국인 CVS 파머시를 보유한 기업으로, 이번 인수를 통해 홈 헬스케어 산업 역량도 확보했다는 평가다. 이밖에 아마존과 유니이티드헬스 그룹도 홈케어 기업 인수에 관심을 보이고 있어 시장 확대에 기대감이 실린다. 대기업들이 홈케어 산업에 주목하면서 미국 시장 규모도 빠르게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시장조사기관 IBIS 월드에 따르면 올해 미국 홈케어 시장 규모는 1200억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4.1% 늘었다. 미국 홈케어 시장은 5년 간 연평균 성장률 6%를 기록하면서 2027년엔 1605억 달러 규모가 될 것이란 기대다. 미국 홈케어 시장이 주목받는 이유는 노인 인구가 증가하고 있어서다. 2020년부터 40년 간 미국 노인 인구는 5600만 명에서 9470만명으로 69%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
[더구루=오소영 기자] 석탄화력 발전소를 원전으로 전환하면 일자리가 늘고 온실가스 배출량이 큰 폭으로 감소할 수 있다는 미국 정부의 연구 결과가 나왔다. 특히 뉴스케일파워의 소형모듈원자로(SMR)로 대체되면 정규직 일자리 수가 650개 이상 증가할 것으로 추정된다. [유료기사코드] 미 에너지부(DOE)는 지난 13일(현지시간) 석탄화력을 원전으로 전환할 시 발생할 경제·환경적 효과를 종합적으로 분석한 보고서를 발표했다. DOE는 인구 밀도와 지진 위험, 홍수 가능성, 습지 등 10가지 변수를 바탕으로 부지를 검토했다. 그 결과 노후화된 발전소 157개와 현재 운영 중인 발전소 237개를 원전으로 바꿀 수 있다고 예상했다. 잠재 부지(총 발전용량 250GW 이상)의 80%는 고급 원전으로의 전환이 적합하다고 평가했다. 기존 부지와 사무실 건물, 송·배전 인프라 등을 재사용해 건설 비용을 15~35% 절약하고 다양한 크기와 유형의 원전을 지을 수 있다. 석탄화력에서 원전으로 전환이 완료되면 미국의 원전 발전용량은 350GW를 넘을 전망이다. 현재 미국은 95GW의 원전을 보유하고 있다. 일자리와 세수 증대도 기대된다. 기존 석탄화력 부지가 동일한 규모의 원전으로
[더구루=길소연 기자] 액화천연가스(LNG) 운반선 건조에 뛰어든 중국 조선소가 연간 최대 30척의 신조선을 생산할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LNG 운반선 건조 강국인 한국 조선소를 바짝 추격한다. 18일 업계에 따르면 중국 조선소는 LNG 운반선 건조에 대한 중국 관심이 급증함에 따라 향후 몇 년 내 20~30척의 LNG 운반선을 생산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한다. 실제 장난조선소, 대련조선소(DSIC), 양즈장조선 등 3개 조선소가 제품 목록에 LNG 운반선을 추가했다. 이미 CMH 하이먼(Haimen)으로도 알려진 CMHI 장수(Jiangsu)가 LNG 운반선 설계를 준비했으며, 프랑스의 격납 시스템 설계자 GTT와 협력해 멤브레인 유형 화물 탱크 건설에 대한 라이센스를 확보하고 있다. 중국 최초 대형 LNG 운반선 건조 조선소인 후둥중화조선은 수년 동안 수주서를 늘리고 있다. 올 한해에만 LNG 운반선 36척을 수주했다. 후둥중화의 경우 현재 LNG 운반선 발주잔량이 30척 이상 규모로, 신조선을 수주한다 해도 2028년은 돼야 인도가 가능하다. 장난조선소는 애드녹(ADNOC)L&S를 위한 LNG 운반선 시리즈 건조에 여념이 없다. 아부다비국영석유
[더구루=홍성일 기자] 중국의 VR·AR이 활용범위를 확대하며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하지만 여전히 난점도 존재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18일 코트라 시안무역관은 중국 VR·AR 시장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시안무역관 최근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 VR 시장은 2017년 폭발적으로 성장하기 시작했다. 이 시기 중국 소비시장에 많은 VR상품이 출시됐으며 각 업종에 응용되기 시작했다. 중국 쳰잔산업연구원 데이터에 따르면 2017년 1억 위안에 불과했던 중국 VR산업 규모는 2018년 100위안으로 급성장했으며 2020년에는 413억5000만 위안에 달할 것으로 추산됐다. VR시장의 성장을 이끈 것은 VR모바일 게임과 영상 콘텐츠 였다. 실제로 2021년 중국 VR 콘텐츠 별 시장 점유율에서 VR모바일 게임은 34%, VR 영상은 32%를 점유했다. 수요도 빠르게 늘어나 중국 정보통신원 데이터에 따르면 2020년 VR·AR 단말기 출하량은 약 630만 대였지만 2024년에는 7500만 대까지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시장 규모는 4800억 위안으로 예상됐다. 활용사례도 게임과 영상에서 관광, 의료, 메타버스 등으로 빠르게 확대되고 있다. 관광 분야에서는
[더구루=정예린 기자] 전기차 배터리 시장 성장으로 희귀금속 수요가 급증하고 있는 가운데 일본에서 폐전자기기가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버려지는 폐기물을 자원으로 재탄생시켜 친환경 트렌드에도 부합하다는 평가다. 18일 코트라(KOTRA)에 따르면 일본 환경성은 이달 초 폐전자기기에서 회수되는 금속량을 지난 2020년 연간 약 21만t에서 오는 2030년도까지 42만t으로 확대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일본 전자기기 폐기량은 한 해에 약 61만t에 이른다. 회수한 폐전자기기를 통해 리튬, 니켈, 코발트 등 전기차 배터리에 쓰이는 희귀금속과 구리, 아연 등 수입 의존도가 높은 자원을 추출한다는 계획이다. 확보한다는 원재료는 다시 전기차 배터리 제조 등에 사용한다. 이를 통해 자원 경쟁이 심화되고 있는 현 상황에 대응하고 전기차, 풍력·태양광 발전 장치 등을 확대해 2050년 탄소중립을 달성한다는 목표다. 환경성은 폐기판이나 폐기되는 전자기기류 등의 수입도 지원한다. 재활용 기술이 부족한 아시아 각국 정부와 연계해 물량을 확보하는 동시에 환경오염 감소시키는 효과를 기대하고 있다. 폐기판 등을 분쇄하고 금속을 선별하는 장치의 정비와 처리 능력 향상을 위해 일본 내 재활
[더구루=오소영 기자] 중국 윈난성이 폭염에 따른 전력난으로 전해 알루미늄 기업들에 생산량 축소를 요청했다. 중국 전체 생산량이 최대 40만t 줄어 글로벌 알루미늄 재고가 역대 최저치를 기록할 것이라는 분석이 제기된다. 18일 업계에 따르면 윈난성 정부는 전해 알루미늄 제조사에 감산을 지시했다. 감산 폭은 10~20%로 연말까지 감산이 지속된다면 중국 전체 생산량은 18~40만t 줄 것으로 예상된다. 윈난성 기업들은 현재 총 생산능력이 521만t에 달한다. 이 같은 조치는 전력난 탓이다. 윈난성은 수력발전이 전체 발전량의 70%를 차지한다. 수력발전소에서 생산한 전력으로 수요의 상당량을 충당하는 가운데 올해 기록적인 폭염으로 물 부족이 심화되며 전력난이 가중되고 있다. 7·8월 강수량은 전년 동월 대비 각각 36%, 24.6% 감소했다. 전체 강수량은 2011년 건기 때보다 낮다. 당분간 안정적인 전력 공급은 기대하기 어렵다. 4분기부터 건기에 접어들어 강수량이 3분기의 12~23%에 불과할 것으로 예상돼서다. 내년 4월 건기가 끝날 때까지 전력 수급이 타이트할 전망이다. 윈난성에 앞서 쓰촨성도 지난달 전해 알루미늄 기업에 생산 중단을 요청했었다. 현재 생산
[더구루=정등용 기자] 세계 최대 재보험사 로이드(Lloyd's)의 중개인인 라몬 인터내셔널(Ramon International)이 한국 시장에 첫 발을 내딛는다. 아시아를 비롯한 글로벌 재보험 시장 확대에도 속도가 붙을 전망이다. 17일 더구루 취재 결과 라몬 인터내셔널은 모그룹인 카스토 홀딩스(Kastor Holdings)를 통해 한국 보험중개업체인 CKI보험중개 지분 과반 이상을 인수했다. 이 인수 거래는 지난 8월25일 완료됐으며 CKI보험중개는 라몬 코리아로 사명을 변경하기로 했다. 신임 대표직은 기존 박재권 CKI보험중개 대표가 이어 받을 예정이다. 라몬 인터내셔널은 아시아 재보험 시장 확대를 위한 구심점으로 한국을 점 찍었다. 한국이 아시아에서 손 꼽히는 경제 대국인 점과 보험·재보험 시장도 빠른 속도로 성장 중인 부분이 고려됐다는 분석이다. 닉 앤드류스 라몬 인터내셔널 대표는 “이번 인수는 우리에게 획기적인 거래이자 흥미로운 기회”라면서 “아시아 시장에서 자리를 잡는 것은 우리의 오랜 야망이었고 한국 진출은 당연하고 자연스러운 선택”이라고 설명했다. 리 엘리스 라몬 인터내셔널 국제 부문 대표는 “우리의 글로벌 사업망과 한국 현지 기업의 강점이
[더구루=정등용 기자] 글로벌 대형 투자은행 JP모건이 가상자산 소프트웨어 업체 오네라(Ownera)에 투자했다. 오네라는 17일 JP모건과 LRC 그룹이 참여한 2000만 달러(약 279억 원) 규모의 시리즈A 펀딩 라운드를 발표했다. 이번 펀딩 라운드에는 이들 업체 외에도 △드레이퍼 고렌 홀름 △토켄투스 인베스트먼트 AG △어컴플라이스 블록체인 △폴리모픽 캐피털 △더 로파트 그룹 △아착스가 포함됐다. JP모건의 스콧 루카스 마켓스DLT 부문 대표가 오네라 이사회에 합류하는 가운데 나답 조하르 LRC 그룹 회장은 이사회 의장으로 부임한다. 에이미 벤 데이비드 오네라 대표는 “수십 개의 가상자산 플랫폼이 금융사들에 의해 시장 전반에 배포되고 있다”면서 “우리는 오픈 소스 네트워크를 사용해 이들을 하나의 글로벌 유통 및 유동성 네트워크로 매끄럽게 연결할 것”이라고 말했다. 오네라는 디지털 증권을 위한 글로벌 통합 상호 거래 파이프 라인을 만들어 고립된 토큰화 플랫폼과 거래 인터페이스를 효율적으로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오네라는 70개 금융기관 및 핀테크 그룹과 함께 모든 플랫폼을 상호 연결하는 분산 프로토콜인 핀P2P(FinP2P)를 설계했다. 핀P
[더구루=홍성일 기자] 캐나다의 게임 엔터테인먼트 기업 '게임온 엔터테인먼트 테크놀로지스(GameOn Entertainment Technologies)'가 항공기 NFT 기업 '크립토젯클럽(Crypto Jets Club)'과 손잡고 NFT(대체불가토큰)을 출시한다. 게임온 엔터는 13일(현지시간) 크립토젯클럽과 파트너십을 체결했다고 발표했다. 파트너십의 일환으로 두 회사는 2차례에 걸쳐 NFT를 출시한다. 크립토젯클럽은 미래 게임, 멤버시 유틸리티를 중점으로 하는 항공매니아 특화 메타버스다. 크립토젯클럽 생태계는 AR/VR로 구동되는 메타버스 속 NFT 개인 제트기 자산으로 구성된다. 클립토젯클럽은 제트기 NFT를 출시하기 위한 개발 작업을 진행 중이며 유저 참여, 유지와 수익 극대화를 위해 게임온의 기술을 사용할 계획이다. 게임온은 기술을 공유해주는 댓가로 15%의 지분을 획득, 수익을 공유받는다. 게임온 엔터는 이번 파트너십을 통해 웹3 생태계 확장에 속도를 낸다. 게임온 관계자는 "크립토젯클럽과 함께 일하게 돼 매우 기쁘다"며 "게임을 통해 웹3 생태계에서 브랜드를 확립하고 비즈니스 수익성 확대를 촉진할 것"이라고 말했다.
[더구루=홍성일 기자] 카우보이 벤처스의 설립자인 에일린 리는 2013년 10억 달러 이상, 설립된지 10년 미만의 스타트업을 칭하는 용어로 '유니콘'이라는 단어를 사용했다. 전설의 동물인 유니콘이라는 단어를 사용해 보기 힘들다는 의미를 담은 용어였다. 현재는 전세계적으로 많은 유니콘 기업이 탄생하고 있어 에일린 리가 설명하려던 바와는 달라졌지만 여전히 10억 달러 이상의 가치를 가지고 있는 비상장 스타트업을 유니콘 기업이라고 칭한다. 그리고 최근에는 100억 달러 이상 가치를 가진 신생기업을 '데카콘'이라고 부르고 있다. 이런 유니콘 기업은 지난해 빠른 속도로 증가했다. 하지만 글로벌 경제 상황이 안 좋아진 2022년 유니콘 기업의 탄생 속도도 현저하게 감소하고 있다. ◇2021년 영업일마다 2개이상씩 탄생한 유니콘…올해는? 시장조사기관인 CB인사이트는 14일 2022년 새로운 유니콘 탄생이 줄어들고 있다며 보고서를 공개했다. CB인사이트에 따르면 지난해 유니콘 기업은 총 537개가 탄생해 영업일 기준 1일 탄생 유니콘은 2개 이상이었다. 투자규모도 폭발적으로 증가해 전년대비 두 배 이상 증가한 6210억 달러에 달했다. 하지만 올해 스타트업에 대한 자금조
[더구루=홍성일 기자] 컴투스의 투자를 유치한 바 있는 미국의 블록체인 게임사 '5x5게이밍'이 오토체스 게임 '배틀오브킹덤(Battle of Kingdoms)'을 공개했다. 17일 업계에 따르면 5x5게이밍은 배틀오브킹덤을 공개하고 오는 4분기 중 정식 출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5x5게이밍이 개발한 배틀오브킹덤은 오토체스 스타일의 전략게임으로 NFT(대체불가토큰) 기술을 활용한 수집형 카드게임의 형태를 가지고 있다. 또한 기원전 1만 년 전부터 기원후 1800년까지의 인류 역사를 배경으로 다양한 병종과 캐릭터를 등장시켜 전략 게임의 재미도 살렸다. 특히 기존 P2E게임이 NFT를 구매해야 접근할 수 있었던것과는 달리 게임을 시작하고자 하는 모든 유저에게 무료 NFT 카드를 증정, 무료로 게임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한 것도 특징이다. 배틀오브킹덤은 4분기 중 안드로이드와 iOS 양대 모바일 OS를 기반으로 서비스가 개시된다. 5x5게이밍 관계자는 "우리는 RTS와 CCG게임, 세계사와 다양한 문화에 대한 열렬한 애호가"라며 "우리는 문화에 대한 열정과 숨겨진 역사의 이야기를 공유하기 위해 배틀오브킹덤을 개발했다"고 말했다. 한편 컴투스는 지난 2월 8일 5x
[더구루=홍성일 기자] 메타가 글로벌 에너지 기업 '어플라이드 에너지 서비시스(Applied Energy Services Corporation, AES)'와 태양광 에너지 공급 계약을 맺었다. 메타는 이번 계약을 통해 미국 중남부 지역 데이터센터 전력망을 강화한다. [유료기사코드] 26일 업계에 따르면 메타는 AES와 2건의 장기 전력 구매계약(PPA)를 체결했다. 이번 계약으로 메타는 총 650메가와트(MW) 규모 태양광 발전 용량을 확보하게 됐다. 이번 계약은 AES가 텍사스와 캔자스에서 진행하고 있는 태양광 발전 프로젝트에 따라 이뤄졌다. AES는 텍사스에서 400MW, 캔자스에서 250MW 규모 태양광 발전 시설을 구축하고 있다. 해당 시설이 완성되면 텍사스를 비롯한 미국 중남부 지역에 전력을 공급하는 사우스웨스트 파워 풀(SPP) 전력망과 연결된다. AES와 메타는 전력 공급 시작 시점과 기간 등 상세한 계약 내용은 공개하지 않았다. AES 대변인은 "통상 상업 운영 시작 2~3년 전에는 구매계약을 체결하며, 평균 계약 기간은 15~20년"이라고 설명했다. 메타는 AES에서 공급받은 전력을 텍사스 주와 캔자스 시티에 위치한 데이터센터 가동에 투입한다
[더구루=길소연 기자] 중국 1위 디스플레이 업체인 BOE(징둥팡, 京東方)가 8.6세대(유리원장 크기) 능동형 유기발광다이오드(AMOLED) 생산개시 채비에 들어갔다. HB테크놀러지, 한화모멘텀, 로체시스템즈 등 국내산 디스플레이 장비업체의 설비가 들어가는 BOE의 OLED 패널 생산기지는 중국 OLED 생산능력을 확대하는데 일조한다. BOE는 중국 최초이자 세계 첫 최신 세대 AMOLED 생산으로 글로벌 OLED 시장의 주도권을 확보한다는 전략이다. [유료기사코드] 26일 시장조사업체 위츠뷰(witsview)에 따르면 BOE는 쓰촨성 청두(成都) 하이테크 산업개발구에 건설한 AMOLED 공장에 공정 장비를 반입하기 시작했다. AMOLED 생산라인 반입 프로젝트는 당초 예정보다 4개월 앞당겨졌다. 공장이 지난해 3월 착공해 약 6개월만에 완공되자 설비 반입 작업도 빨라졌다. 반입되는 장비 중에는 국내 디스플레이 장비 업계의 장비도 있다. BOE는 지난해 마스크 결함검사 장비, 박막봉지(TFE) 에이징용 원적외선 오븐 장비, 8세대 원장 커팅장비를 공급하는 업체로 각각 HB테크놀러지, 한화모멘텀, 로체시스템즈 등을 선정했다. 자동광학검사(AOI) 장비에 특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