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정등용 기자] 미래에셋자산운용 홍콩법인이 중국 전력장비 제조업체 ‘장쑤 화첸 트랜스포머(Jiangsu Huachen Transformer)’에 대한 방문조사를 진행했다. 장쑤 화첸 트랜스포머는 지난 9일(이하 현지시간) 본사 회의실에서 미래에셋자산운용 홍콩법인, HSBC 증권, 이스트 캐피탈, 자오상 증권 등 4개사의 방문조사를 진행했다고 11일 공시했다. 장쑤 화첸 트랜스포머는 이번 방문조사에서 질의 응답 시간을 가졌으며 주요 내용을 공개했다. 이에 따르면 장쑤 화첸 트랜스포머는 “송배전 및 제어 장비 산업 분야에서 중국 정부의 에너지 전략과 밀접하게 연관돼 있으며, 풍력·태양광 설치·에너지 저장 산업에 대한 계획을 수립했다”고 밝혔다. 또 “생산 능력 측면에서는 신재생 에너지 관련 프로젝트가 올 하반기 일부 가동될 예정이며, 이때 추가 생산 능력이 확보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덧붙였다. 해외 사업과 관련해 장쑤 화첸 트랜스포머는 “국제 사업부를 설립하고 해외 업무 팀을 구성했으며, 국제 전시회에 참가하고 해외 채널을 구축하는 등 마케팅 전략을 새롭게 수립해 돌파구를 모색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수주 잔고는 지난달 말 기준 약 15억 위안(약 290
[더구루=김나윤 기자] 최근 암호화폐 거래소에서 알트코인의 거래량이 폭발적으로 증가했다. 그 중에서도 리플코인은(XRP)이 한 달 새 50% 가까이 상승하는 등 급등세를 나타내고 있다. 이 과정에서 "한국 투자자들의 영향력이 컸다"는 분석이 나왔다. 가상자산 관련 해외 매체인 bitcoinsistemi, beincrypto 등에 따르면 지난 12일 하루 동안 업비트(Upbit)와 빗썸(Bithumb)에서 XRP 거래량은 총 6억4500만 달러(약 8882억 원)를 기록했다. 같은 날 스텔라(LXM)는 약 4억6000만 달러(약 6334억 원), 바운스(AUCTION)는 약 2억7700만 달러(약 3814억 원)의 거래가 이뤄졌다. XRP의 순매수 압력은 2.6달러(약 3580원)에서 3달러(약 4130원)로 증가했다. 지난 12일 업비트에서 XRP는 5억 달러(약 6882억 원) 가량이 거래되었는데 이는 비트코인과 이더리움의 거래량을 합친 것을 능가하는 수준이다. 이러한 움직임은 알트코인의 가격을 주도하는 한국 투자자들의 지배력이 커지고 있음을 강조한다. 지난달 22일 업비트에서 최저 2670원에 거래돼던 XRP는 14일 현재 3985원으로 4000원에 가깝
[더구루=홍성환 기자] 아랍에미리트(UAE) 아부다비 국부펀드 무바달라(Mubadala)가 영국 디지털 은행 레볼루트(Revolut)에 대한 투자를 검토하고 있다. 14일 영국 스카이뉴스 등에 따르면 무바달라는 레볼루트 주요 주주와 1억 달러(약 1400억원) 규모 지분 투자를 논의하고 있다. 2016년에 설립된 레볼루트는 유럽을 중심으로 현재 5500만명의 고객을 보유하고 있다. 주요 투자자로는 일본 소프트뱅크, 영국 벤처캐피털 발더튼 등이 있다. 기업가치는 330억 달러(약 45조원)로 평가받는다. 레볼루트는 설립 초창기부터 적극적으로 해외 진출을 추진해 왔다. 2018년 리투아니아를 통해 유럽중앙은행(ECB)으로부터 은행 라이선스를 획득했다. 이어 2019년 호주와 싱가포르, 2020년 미국과 일본에 각각 진출해 외화통장, 환전, 외화송금, 직불카드 서비스를 시작했다. 2022년부터는 유럽 권역에서 영업을 본격적으로 확장하며 벨기에, 덴마크, 핀란드, 독일, 아이슬란드, 리히텐슈타인, 룩셈부르크, 네덜란드, 스페인, 스웨덴 등 10개 유럽 국가에서 은행 서비스를 개시했다. 레볼루트는 현재 기업공개(IPO)를 검토 중이다. 영국 런던보다 미국 뉴욕 증시에
[더구루=김나윤 기자] 체코중앙은행(CNB)이 미국 AI기업 팔란티어(Palantir)에 대한 지분을 크게 늘렸다. 미국 기술주에 대한 투자 비중을 확대하기 위함으로 보인다. CNB는 최근 팔란티어의 주식 4만9135주를 추가 매입하면서 총 보유 주식 수를 51만9950주로 늘렸다. 팔란티어는 미국 정부, 국방부, 정보기관 등과 협업하며 데이터 분석과 AI 기반 플랫폼을 제공하는 기술 기업이다. 팔란티어의 주가는 올해 상반기 동안 약 80% 급등했다. AI와 정부기관용 데이터툴 수요 증가에 따른 것이다. 웨드부시 증권의 애널리스트 댄 아이브스는 "팔란티어는 AI 산업에서 축구 선수 '메시 같은 존재'"라며 "수조 달러 규모의 AI 생태계에서 가장 큰 수혜 기업 중 하나가 될 것"이라고 평가했다. 한편 CNB는 팔란티어 외에 코인베이스(Coinbase) 주식도 최근 신규 편입했다. CNB는 올해 2분기 코인베이스 주식 5만1732주, 약1800만 달러(약 248억 원) 치를 추가 매입하며 미국 주식시장 내 기술과 혁신 산업에 대한 노출을 확대했다. 코인베이스는 세계 최대 암호화폐 거래소 중 하나이다. 최근에는 비트코인 현물 ETF(상장지수펀드) 수요 확대로 주
[더구루=정등용 기자] 우즈베키스탄 건설산업이 빠른 속도로 성장하고 있다. 한국 건설사에도 새로운 기회가 될 전망이다. 13일 우즈베키스탄 통계청에 따르면, 우즈베키스탄 건설산업은 지난 2020년부터 2023년까지 꾸준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2020년에는 약 6억9900만 달러(약 9600억원) 규모의 건설 공사가 완료됐으며, 이후 2021년 약 8억5200만 달러(약 1조1700억원), 2022년 약 10억3800만 달러(약 1조4200억원), 2023년 약 11억8900만 달러(약 1조6300억원)으로 증가했다. 지난해 상반기에는 6억3300만 달러(약 8700억원)의 실적을 기록했다. 지역별로 봤을 땐 지난해 상반기 기준 수도 타슈켄트가 약 1억5300만 달러(약 2100억원)로 가장 높은 실적을 달성했다. 반면 지방의 경우 시르다리야주가 가장 높은 약 1356만 달러(약 180억원)를 기록하는 등 수도권과 10배 넘는 현격한 격차를 보였다. 건설 유형별로는 건물 및 구조물이 약 4억3600만 달러(약 6000억원)로 전체의 68.9%를 차지해 가장 큰 비중을 나타냈다. 이어 토목 시설이 21.1%, 전문 건설업이 10%로 뒤를 이었다. 건설 분야
[더구루=정등용 기자] 베트남이 남북 고속철 사업에 속도를 내고 있다. 본격적인 기술 선정 절차에 돌입하면서다. 12일 베트남 정부에 따르면 쩐 홍 하 부총리는 지난 8일 쩐 홍 민 건설부 장관, 응우옌 만 훙 과학기술부 장관과 남북 고속철 사업의 기술 표준 및 규정 체계 개발에 관한 회의를 주재했다. 쩐 홍 민 장관은 “현재 남북 고속철 사업에 적용되는 기술 표준과 규정은 517개이며, 이 중 베트남 표준 및 규정이 218개, 외국 표준 및 규정이 299개”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고속철 사업과 같은 대규모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데 있어 효율성과 안전성을 보장하기 위해서는 외국 표준을 적용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다만 참석자들은 베트남이 아직 고속철도에 대한 구체적인 투자자와 기술을 선정하지 않은 만큼, 늦어도 내년까지 전체 노선에 대한 국가 표준 시스템을 구축하는 데 뜻을 같이 했다. 이 기간 동안 건설부와 과학기술부는 실무 요건에 부합하는 표준 및 규정을 지속적으로 검토·연구·개발하기로 합의했다. 쩐 홍 민 건설부 장관은 “한국과 중국, 일본, 일부 유럽 국가 등 철도 개발 경험이 있는 국가들로부터 외국 표준 및 규정을 수집했다”며 “철근 콘크
[더구루=홍성환 기자] SK에코플랜트가 국내 최대 규모의 인천 부평 데이터센터 개발 사업의 자금조달에 성공했다. 싱가포르 디지털 플랫폼 기업 디지털엣지(Digital Edge)는 11일 "부평 데이터센터 2차 사업인 '에스이엘쓰리(SEL3)' 프로젝트와 관련해 8000억원 규모 녹색대출을 확보했다"고 밝혔다. 60㎿(메가와트)급 데이터센터인 에스이엘쓰리는 지난 5월 착공됐고, 2027년 4분기 서비스 준비 단계(Ready-for-Service)를 완료하는 것이 목표다. 부평 데이터센터는 부평구 청천동 국가산업단지 내에 국내 최대 규모인 총 96㎿(메가와트) 하이퍼 스케일급 상업용 데이터센터를 조성하는 것이다. SK에코플랜트와 디지털엣지가 공동 개발한다. 지분율은 SK에코플랜트 49%, 디지털엣지 51%다. 총사업비는 약 1조원 규모다. 이 사업은 1·2차 사업으로 나눠 진행한다. 1차 사업인 '에스이엘투(SEL2)'는 작년 10월 완료됐다. 클라우드 및 디지털 플랫폼 기업 등의 임차인을 확보했다. <본보 2024년 10월 16일자 참고 : SK에코플랜트, 국내 최대 데이터센터 가동 초읽기> SK에코플랜트는 이번 사업을 통해 기존에 보유한 데이터센터
[더구루=정등용 기자] 포스코이앤씨가 베트남 반장(Van Giang)신도시 개발 사업에 출사표를 던졌다. 11일 한국해외인프라도시개발지원공사(KIND)에 따르면 포스코이앤씨는 지난달 베트남 기업 쑤언까우(XuanCau), KIND와 하노이 반장신도시 공동 개발을 위한 MOU를 맺었다. 베트남은 현재 반장 지역 신도시 개발에 힘을 쏟고 있다. 지난 2021년에는 반장 지역 내 다이안(Dai An) 신도시 개발을 위해 14억 달러(약 1조9200억원) 규모의 프로젝트를 승인하기도 했다. 한편, KIND는 베트남과 필리핀, 라오스의 인프라⋅도시개발사업 협력을 위해 추가 MOU를 체결했다. 베트남 롱안성 산업단지 및 도시 개발을 공동 추진하기 위해 현지 ‘로얄 그룹(Royal Group)’과 MOU를 맺었다. 또 필리핀 물 분야 사업 공동 추진을 위해 필리핀 최대 민간 수도 공급기업 ‘메이닐라드(Maynilad)’와 MOU를 체결했다. 이 밖에 라오스 도시개발사업을 위해 후보지를 직접 방문, 입지 여건과 주변 현황을 점검했다. 더불어 라오스 관계기관과 개발 방향, 투자 구도, 향후 계획 등 사업 추진 계획을 협의했다. 이번 해외출장에는 김복환 KIND 사장, 김중한
[더구루=김명은 기자] BBQ가 일본에서 여름 시즌 한정 새로운 음료 3종을 출시했다. 치킨 성수기인 여름을 맞아 음료 라인업을 강화해 매출을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이는 청량하고 달콤한 과일로 여름 한정 음료를 출시하는 일본 식음료 브랜드의 트렌드에 맞춘 현지화 전략이기도 하다. 14일 BBQ의 일본 파트너사인 와타미에 따르면 여름 한정 '화이트피치&홋카이도 멜론' 3종이 지난 10일 출시돼 일본 내 전국 'BBQ 올리브 치킨 카페'에서 판매되고 있다. 이번 신제품은 화이트피치(백도)의 은은한 단맛과 홋카이도산 멜론의 풍부한 향을 살린 시원한 아이스 음료다. 프랑스산 프리미엄 시럽 '1883 메종루탕'과 홋카이도산 멜론 퓨레를 사용해 고급스러운 맛을 구현했다. 라씨(요거트, 우유, 꿀 등이 섞인 음료)와 레모네이드 베이스에 과육과 젤리를 더해 시각적 즐거움과 함께 색다른 식감까지도 제공한다. 백도의 향긋한 단맛과 레몬의 상큼함이 어우러진 '화이트피치 레모네이드', 요거트 베이스에 백도 과육을 듬뿍 넣어 과일 본연의 맛을 강조한 ' 화이트피치 라씨', 멜론 퓨레와 오렌지색 멜론 소스, 젤리로 시각적 만족도까지 높인 '홋카이도 멜론 라씨' 등 3종으로 구
[더구루=김명은 기자] 한국에서 재탄생한 프랑스 패션 브랜드 '마리떼 프랑소와 저버(이하 마리떼)'가 일본 나고야에서 팝업 스토어를 연다. 국내 패션기업 레이어가 한국 판권을 사들이며 화려하게 귀환한 마리떼가 일본에서도 부활의 날갯짓을 하고 있다. 14일 일본 스트리트 패션 기업 유토리(yutori)에 따르면 다음달 13일부터 19일까지 일본 나고야 타카시마야 백화점에서 마리떼 팝업 이벤트가 진행된다. 오는 9월에는 일본 도쿄 신주쿠역에 위치한 대형 패션 쇼핑몰 '루미네 에스트(LUMINE EST)'에 입점한다. 유토리는 마리떼의 일본 내 판매 특약권을 갖고 있다. 이번 나고야 팝업에서는 2025년 봄·여름 시즌 신제품을 포함한 다양한 아이템을 선보이며, 브랜드 고유의 유럽 감성이 묻어나는 캐주얼 스타일을 제안할 예정이다. 팝업 방문객을 위한 특별 프로모션도 마련됐다. 마리떼 공식 인스타그램 계정을 팔로우한 구매자에게는 코스터(컵받침 형태의 작은 굿즈)가 증정되며, 일정 금액 이상 구매자에게는 한정판 기념품 가방과 트래블 파우치가 선착순으로 제공된다. 마리떼는 지난 1972년 프랑스에서 탄생한 브랜드로, 데님을 기반으로 한 독창적인 디자인으로 전 세계적인 사
[더구루=진유진 기자] 자연건강문화기업 김정문알로에가 창립 50주년을 맞아 일본 뷰티 시장에 본격 진출한다. 제주도산 알로에를 원료로 한 자연주의 스킨케어 브랜드 '로에큐어(loe CURE)'를 현지 유통채널에 입점하며, 여름철 피부 진정·보습 수요를 정조준한다. 14일 일본 내 화장품 전문점 '코스메 리메이크(COSME Re:MAKE)'에 따르면 김정문알로에 로에큐어 제품 예약 판매를 시작했다. 코스메 리메이크는 일본 수도권과 간사이 지역에 11개 매장을 보유한 한국 화장품 전문 유통망이다. 일본 내 로에큐어 정식 유통은 한류 화장품 유통 전문기업 '고려인삼사'가 담당한다. 이번에 출시된 로에큐어 제품은 △알로에 쉴드 쿨링 선스틱 △RE:AL 프레쉬 젤 △AL 슬라이스 젤리 마스크 등 총 3종이다. 모두 제주도 내 자사 알로에 농장에서 1000일간 재배한 생알로에를 주원료로 사용하며, 자극 없는 순한 성분과 온 가족이 사용할 수 있는 사용감을 강점으로 내세운다. 특히 쿨링 선스틱은 일본 오리콘(Oricon) 1위를 수상, 여름철 데일리 아이템으로 주목받고 있다. -6.4℃의 쿨링감과 가벼운 사용감이 특징이다. 프레쉬 젤은 알로에 유래 보습 성분을 88% 함
[더구루=진유진 기자] 국내 콘텐츠 업계 최초로 미국 나스닥에 상장한 케이웨이브미디어(K Wave Media)가 10억 달러(약 1조3770억원) 규모 자금 조달을 완료했다. 비트코인 중심의 공격적인 재무 전략에 본격 착수했다. 전환사채(CB) 발행으로 조달한 자금의 80% 이상을 비트코인 매입에 투입한다는 계획이다. 케이웨이브미디어는 지난 11일(현지시간) 미국계 글로벌 투자사 '앤슨 펀드(Anson Funds)'와 최대 5억 달러(약 6880억원) 규모 전환사채 발행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첫 단계에서는 앤슨 펀드가 운용하는 '앤슨 인베스트먼트 마스터 펀드 LP'와 '앤슨 이스트 마스터 펀드 LP'에 1500만 달러(약 206억원) 규모 전환사채와 워런트(지정 가격에 주식을 매입할 수 있는 권리)를 발행한다. 케이웨이브미디어는 조달 자금의 최소 80%를 비트코인 매입에 할당할 방침이다. 이번 계약은 앞서 발표한 5억 달러 규모 준비 주식 매입 계약(SEPA)에 이은 것이다. 이로써 케이웨이브미디어가 조달 가능한 총 자금은 10억 달러로 확대됐다. 회사 측은 현재까지 비트코인 88개를 매입한 상태다. 숫자 '88'은 아시아 문화권에서 행운과 번영의 상징
[더구루=홍성일 기자] 퀄컴이 인도에서 구글, 삼성전자와의 새로운 확장현실(XR) 협업 방안을 발표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왔다. 인도 XR 시장 공략을 위한 내용이 될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유료기사코드] 14일 업계에 따르면 퀄컴은 오는 21일(현지시간) 인도 뉴델리에서 XR 데이를 개최한다. 퀄컴은 이날 행사를 통해 스냅드래곤 프로세서를 기반으로 한 차세대 스마트 안경, 공간 컴퓨팅, 몰입형 경험 분야 기술을 선보인다. XR 기술은 증강현실(AR)과 가상현실(VR), 혼합현실(MR)을 포괄하는 개념이다. 행사에서는 퀄컴과 XR 분야 개발자, 파트너사 간의 새로운 협업 내용도 발표될 예정이다. 이에 퀄컴이 구글, 삼성전자와의 새로운 협업 내용을 발표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퀄컴과 구글, 삼성전자는 지난 2023년 2월 XR '삼각동맹'을 체결했다. 그리고 지난해 12월 프로젝트 무한(Project Moohan)을 선보였다. 프로젝트 무한은 삼성전자의 하드웨어, 구글의 OS(안드로이드 운영체제), 퀄컴의 '스냅드래곤 XR2+ 2세대' 등 각사의 강점을 모은 것이 특징이다. 삼성전자, 구글, 퀄컴이 공동 개발한 XR 플랫폼 '안드로이드 XR’을 적
[더구루=홍성일 기자] 일론 머스크의 xAI가 개발한 인공지능(AI) 모델 그록4(Grok4)가 혐오 발언, 머스크 발언 검색 논란에 이어 '밀정' 논란까지 불러일으키고 있다. AI가 인간의 행위에 대해 윤리적 판단을 내리면서, 판단 기준에 대한 논란이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 [유료기사코드] 14일 업계에 따르면 AI 채팅 플랫폼 T3 챗(T3 Chat)의 최고경영자(CEO)인 테오 브라운(Theo Browne)은 10일(현지시간) 엑스(X, 옛 트위터)를 통해 "그록4에 이메일 도구 호출 권한을 부여하지 말라. 정부에 연락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브라운 CEO는 자신의 주장을 증명하기 위해 진행한 다양한 테스트 데이터도 함께 공개했다. 테오 브라운이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이번 테스트는 이용자가 위법한 행위를 했을 것으로 의심될 때 AI모델이 미국 연방수사국(FBI)이나 식품의약국(FDA), 언론사에 이를 보고하는지 확인하는 스니치벤치(SnitchBench)를 통해 진행됐다. 스니치벤치를 이용하면 해당 상황에서 AI모델이 위법행위를 얼마나 적극적으로 당국에 통보하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스니치는 '일러바치다'라는 뜻의 영단어다. 브라운은 테스트를 위해 '베리
[더구루=홍성일 기자] 세계에서 가장 빠른 로봇개가 중국에 등장했다. 4족보행 로봇의 달리기 속도가 새로운 경쟁분야로 떠오르는 모양새다. [유료기사코드] 13일 업계에 따르면 저장대학교 연구팀은 지난 6일(현지시간) CMG 세계로봇기능대회(CMG世界机器人技能大赛)에서 4족보행 로봇 헤이바오(黑豹) 2.2를 선보였다. CMG 세계로봇기능대회는 차이나미디어그룹(CMG)와 알리바바가 공동주최하는 로봇 경연대회다. 저장대학교 연구팀이 공개한 헤이바오 2.2는 이번 대회에서 초당 10.3m라는 달리기 기록을 세웠다. 이는 현대차그룹 산하 로보틱스 기업 '보스턴다이내믹스'가 개발한 와일드캣의 8.89m/s를 뛰어넘은 기록이다. 저장대학교 연구팀은 헤이바오의 달리기 속도를 높이기 위해서 날쥐와 치타의 달리기 메커니즘을 연구해 적용했다고 밝혔다. 여기에 탄소섬유로 제작된 다리와 발톱이 있는 발바닥 디자인을 적용해 다리의 강성을 향상시켰으며, 발톱을 통해 접지력도 획기적으로 끌어올렸다고 설명했다. 이번 대회에서는 헤이바오 2.2와 인간의 100m 달리기 대결도 펼쳐졌다. 대결에서는 초반에 인간이 앞서나갔지만 중반부에 헤이바오가 역전하며 승리로 마무리됐다. 업계는 헤이바오의
◇해시드 대한민국 디지털 자산 산업의 새로운 이정표가 될 글로벌 웹3 프라이빗 콘퍼런스 '이스트포인트:서울 2025(EastPoint:Seoul 2025, 이하 이스트포인트)'가 1차 주요 연사 및 참가 기업을 공개했다. 오는 9월 22일 서울 용산구 소재 그랜드하얏트 서울에서 개최되는 이번 행사에는 정책 입안자부터 글로벌 기관·웹3 리더들까지 소수의 엄선된 초청 대상만 참석해 원화 스테이블코인, 토큰증권발행(STO), 전통 금융과 블록체인의 융합 등 디지털 금융 전환을 이끄는 핵심 어젠다에 대한 깊이 있는 논의를 진행할 예정이다. 이번 행사에는 민병덕 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 김재섭 국민의힘 국회의원, 이준석 개혁신당 국회의원 등 여야 정치권이 모두 참여해 스테이블코인 등 주요 현안에 대한 정책 방향을 논의한다. 이들은 라운드테이블 세션을 통해 글로벌 기관 및 주요 웹3 기업들과 교류한다. 특히 메인 패널 세션에서는 3당 의원이 모두 참여해 대한민국 디지털 자산 산업의 규제 환경과 향후 과제를 주제로 초당적 대화를 펼칠 예정이다. 여기에 국민은행, 신한은행, 하나은행, 우리은행 등 4대 은행을 비롯해 NH투자증권, 신한투자증권, 하나증권, 메리츠증권, DB증
[더구루=김은비 기자] 슬레이트 오토가 야심차게 내세웠던 ‘2만 달러 미만 전기 픽업트럭’이 사실상 무산됐다. 트럼프 행정부가 통과시킨 새 예산안으로 인해 핵심이었던 연방 세금 공제 혜택이 폐지되면서다. 13일 업계에 따르면 슬레이트 오토는 최근 공식 홈페이지에서 ‘세금 공제 후 2만 달러 미만’이라는 가격 문구를 삭제하고, “트럭의 시작가는 이제 2만 달러 중반대가 될 것”이라고 수정했다. 이는 트럼프 행정부 ‘하나의 크고 아름다운 법안(Big Beautiful Bill Act, OBBBA)’이 전기차 보조금 항목을 전면 폐지한 데 따른 조치다. 슬레이트 오토는 제프 베이조스가 투자한 전기차 스타트업으로, 전례 없는 ‘초저가 전기 픽업트럭’ 콘셉트로 시장의 관심을 끌었다. 단순한 기능만 제공하는 ‘미니멀 베이스 모델’을 앞세워 가격을 대폭 낮췄다. 기본 사양은 회색 단색 바디에 2인승, 단순한 게이지 클러스터, 플랫베드만을 갖췄고, 창문, 오디오, 인포테인먼트 시스템, 컵홀더 등은 모두 유료 옵션이다. 슬레이트 오토의 이러한 파격적인 전략은 공개 후 단 2주 만에 예약 건수 10만 건을 넘기며 시장에서 큰 반향을 일으켰다. 그러나 핵심 경쟁력이던 ‘세금 공
[더구루=김은비 기자] 테슬라가 미국 캘리포니아에 완전 태양광 충전소를 전격 오픈했다. 이 충전소는 미국 전력망과 연결하지 않고도 자급이 가능한 최초의 ‘오프그리드(Off-grid)’ 방식으로, 업계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13일 업계에 따르면 테슬라는 미국 캘리포니아 로스트 힐스(Lost Hills)에 완전 태양광 기반 전력 충전소 '프로젝트 오아시스(Project Oasis)'를 공식 개장했다. 현재 총 168기의 전기차 충전기 중 현재 84기가 운영 중이다. 프로젝트 오아시스는 테슬라가 최초로 선보이는 전력망에 의존하지 않는 슈퍼차저 메가사이트다. 주차장 전체 캐노피에는 태양광 패널이 설치돼 있으며 인근에는 11메가와트(MW) 규모의 태양광 발전소가 별도로 조성돼 있다. 생성된 전력은 총 10기의 대형 리튬이온 배터리인 메가 팩(Megapack)을 통해 총 39MWh 규모로 저장된다. 이는 하루 수백 회 충전도 감당할 수 있는 수준이다. 프로젝트 오아시스는 미국 내 전기차 충전 인프라 확장의 '모델 케이스'로 평가받고 있다. 공사 시작 후 단 8개월 만에 절반인 84기를 오픈한 것은 업계 기준으로도 매우 빠른 편이라는 평가다. 충전소 인허가 및 구축에는
[더구루=김은비 기자] 기아 소형 전기 SUV ‘EV2’가 알프스에서 고지대 주행 테스트 중 포착됐다. EV2 유럽 출시에 대한 가늠자로 업계는 평가하고 있다. 12일 전기차 매체 일렉트릭(Electrek) 등에 따르면 기아 EV2로 추정되는 프로토타입 차량이 최근 알프스 산맥 일대에서 테스트 주행 중인 모습이 포착됐다. 이 차량은 위장막을 둘러 전면과 후면을 두껍게 감쌌지만 전체적인 차체 실루엣과 디테일이 일부 드러났다. 포착된 차량은 독일 번호판과 테스트카(Testfahrt) 스티커를 부착했으며, 특히 전면 범퍼부터 C필러까지 이어지는 측면 라인은 기존 EV3 및 EV5와 유사한 기아 전기 SUV 패밀리룩을 유지했다. EV2는 대형 전기 SUV EV9에서 영감을 받은 박스형 디자인과 ‘스타맵(Star Map)’ LED 시그니처를 적용한 소형 전기 SUV다. 전장 4000mm 수준의 소형차로, EV3에 적용된 400볼트 E-GMP를 기반으로 리튬인산철(LFP)과 니켈·망간·코발트(NMC) 배터리를 모두 지원한다. 파워트레인은 전륜 구동 싱글모터로 구성, 도심 주행에 초점을 맞췄다. 판매 가격은 약 2만5000만 유로(4200만 원) 수준으로 책정될 예정이다
[더구루=김은비 기자] 현대자동차 고성능 전기차 ‘아이오닉 5 N’이 영국에서 '가장 주행 재미가 넘치는 차(Best Fun Car)'로 뽑혔다. 기아 EV9도 최고의 7인승 자동차로 나란히 선정됐다. 영국 자동차 전문 매체 ‘파커스(Parkers)’은 현대차 아이오닉 5 N을 ‘2025 파커스 신차 어워드’에서 ‘베스트 펀카(Best Fun Car)’로 선정됐다고 11일 밝혔다. 올해로 8회째를 맞은 파커스 신차 어워드는 전문 평가단이 운전의 즐거움을 주는 차를 엄선, 시상한다. 아이오닉 5 N은 전기차임에도 내연기관 핫해치를 뛰어넘는 주행 재미를 제공한다는 평가를 받았다. 키스 애덤스 파커스 에디터는 “아이오닉 5 N은 지금껏 본 전기차 기술 중 가장 큰 도약이며, 전통적인 운전 마니아조차 사고 싶어할 유일한 EV”라고 극찬했다. 아이오닉 5 N은 전기차 전용 플랫폼 ‘E-GMP’를 기반으로, 현대차 고성능 브랜드 ‘N’의 기술력이 더해진 모델이다. 최고 출력은 650마력(PS, N 그린 부스트 작동 시), 0~100㎞/h 가속 시 제로백은 3.4초에 불과하다. 최고 속도는 259km/h에 이른다. 특히 아이오닉 5 N은 성능 뿐만 아니라 감성 주행 요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