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M 이어 닛산도 트럼프 反연비규제 소송 지지 철회…현대·기아차는 '아직'

내달 '친환경차 확대' 내건 바이든 정부 출범…동참 행렬 이어질듯

 

[더구루=김도담 기자] 일본 닛산자동차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이끄는 현 미국 연방정부의 '반 연비규제 소송'에 대한 지지를 철회했다. 친환경차 보급을 최우선 정책으로 내건 조 바이든 대통령 당선자에 발 맞추는 모양새다.

 

현대·기아차를 비롯한 일부 자동차 회사는 여전히 반 연비규제 소송에 대한 지지를 유지하고 있지만 정권 교체가 임박한 만큼 지지를 철회하는 회사는 더 늘어날 전망이다.

 

7일(현지시간) 로이터통신 보도에 따르면 닛산은 트럼프 정부의 반 연비규제 소송에 대한 지지를 철회했다고 공식 발표했다.

 

닛산도 바이든 차기 미국 정권에 줄 서고 있는 미국 자동차 회사의 행렬에 합류한 것이다.

 

미국 최대 자동차 회사인 제네럴모터스(GM)는 이보다 앞선 지난달(11월) 25일 트럼프 정부에 대한 지지를 철회했었다. <본지 2020년 11월 25일자 참고 GM, 트럼프 캘리포니아 연비규제 소송 지지 철회…현대차·토요타도 동참?>

 

트럼프 정권 아래 있던 미국 연방정부는 지난해(2019년) 캘리포니아 주 정부가 독자적으로 자동차 회사에 연비 효율 개선과 배출가스 저감(제로 에미션) 노력을 의무화하는 법안을 시행하려 하자 이를 막기 위한 소송을 제기했다. 또 GM을 중심으로 미국 내에서 자동차를 판매하는 거의 모든 회사가 트럼프 정부에 대한 지지의 뜻을 밝히며 이 소송에 동참했다. 주요 회사 중 여기에 동참하지 않은 회사는 포드와 혼다, 폭스바겐뿐이었다.

 

내연기관 엔진 차량 중심의 기존 자동차 회사로선 캘리포니아 주 정부의 급진적 법안에 대한 타격이 불가피하다. 캘리포니아 주 자체가 미국 전체 자동차 판매량의 11%에 이르는 최대 시장일 뿐 아니라 미국 내 50개 주 중 절반에 이르는 22개 주가 캘리포니아 주의 방침을 지지했기 때문이다. 캘리포니아 주 정부는 한 발 더 나아가 올 9월 2035년까지 모든 내연기관 엔진 자동차 판매를 금지하겠다는 계획도 발표했다.

 

그러나 이번 대선에서 친환경차 정책을 앞세운 민주당의 조 바이든 후보가 미국 대통령으로 당선되며 상황은 180도 뒤바뀌었다.

 

미국 자동차 업계에선 여전히 이번 소송에 대한 의견이 분분한 것으로 알려졌다. GM과 닛산을 중심으로 속속 지지 철회 기조로 돌아섰으나 현대·기아차를 비롯해 일본 마쓰다와 미쓰비시, 스바루 같은 자동차 제조사와 전미자동차판매사협회(NADA)는 여전히 지지 입장을 유지 중이다. 전기차를 비롯한 친환경차로의 전환은 업계 대부분이 기정사실로 받아들이고 있지만 그 속도가 빠르면 빠를수록 회사의 부담은 커질 수 있다.

 

그러나 내년 1월부터 바이든 정부가 출범하는 만큼 더 많은 회사가 이번 소송에 대한 지지 철회 행렬에 동참할 전망이다. 바이든 체제의 미국 연방정부는 전기차 중심의 친환경차 확대 정책을 최우선으로 내건 만큼 이번 소송 자체가 무색해질 수 있기 때문이다.

 

호세 뮤노스(Jose Munoz) 현대차 미국판매법인 최고경영자(CEO) 겸 글로벌 최고운영책임자(COO)는 지난달 미국 자동차기자협회(APA)와의 전화 인터뷰에서 "현대차는 바이든 정부와 함께 전기차와 수소차 대중화를 위한 인프라(infrastructure)를 개발할 것"이라고 말했었다. <본보 2020년 11월 10일자 참고 현대차 글로벌 COO "美 바이든 정부와 협력해 전기·수소차 인프라 구축">

 










테크열전

더보기




더구루인사이트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