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정예린 기자] 기아 중국 옌청 공장이 누적 수출 50만 대를 돌파했다. 글로벌 수출 기지로서 옌청 공장의 생산 효율과 공급 능력을 입증, 향후 전 세계 판매망 확대와 안정적 수출 체계 구축에 탄력을 받을 것으로 기대된다. 17일 옌청시 관보에 따르면 기아기차유한공사(起亚汽车有限公司, 이하 기아기차)는 지난 15일(현지시간) 옌청항에서 차량 2000대를 현대글로비스의 '글로비스 선샤인'호에 선적하며 누적 수출 50만 대를 달성했다. 선적 차량에는 쏘나타, 세투스, 스포티지 투어, EV5 등 내연기관과 전기차 모델이 포함되며, 한국 부산항을 거쳐 전 세계로 판매될 예정이다. 50만 대 누적 수출은 작년 9월 30만 대 기록을 세운 이후 1년 2개월 만에 이뤄낸 성과다. 당시 옌청공장은 EV5 등 차량을 멕시코, 호주, 사우디아라비아, 칠레 등 76개국으로 수출했다. 누적 매출액은 36억 달러에 달했다. <본보 2024년 9월 참고 기아,中 공장, 누적 수출 30만대 돌파…"신흥국 수출 전략 통했다"> 기아기차는 지난 2018년 11월 옌청항에서 400대 환치(Huanchi) 차량을 이집트로 선적하며 옌청시에서 첫 해외 완성차 수출을 시작했다.
[더구루=정예린 기자] 한국타이어는 미국 테네시주 클락스빌 공장에 대한 투자 확대와 현지 인력 충원 계획을 재확인했다. 북미 내 생산 비중을 높여 수입 타이어에 대한 관세 부담을 완화하고, 안정적인 공급망을 구축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17일 지역방송 'WKRN 뉴스2(WKRN News 2)’에 따르면 롭 윌리엄스 한국타이어 북미본부장은 최근 이 매체와의 인터뷰에서 "클락스빌-몽고메리카운티 지역은 첨단 산업 분야에서 일할 수 있도록 훈련받은 숙련된 인력을 채용하기에 좋은 환경을 갖추고 있다"며 현지 인력 확보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그는 "우리는 포트 캠벨(Fort Campbell)과 오스틴 피 주립대(Austin Peay State University) 등과의 협력 관계를 통해 인재 채용에 도움을 받고 있다"며 "북미 내에서 테네시는 롤리-더럼 삼각지대와 비교될 정도로 첨단 기술 산업이 발달한 지역"이라고 평가했다. 롤리-더럼 삼각지대는 듀크대학교·노스캐롤라이나주립대학교·노스캐롤라이나대학교 채플힐 캠퍼스를 중심으로 연구기관과 하이테크 제조업이 밀집한 미국 동남부 대표 기술·연구 집적지다. 테네시 역시 고급 기술인력 수급과 제조업 확장에 유리한 환경을 갖
[더구루=길소연 기자] 폭스바겐 그룹이 전기차(EV) 시장의 새로운 주도권을 잡기 위해 전기차 가치 사슬의 핵심인 스페인 배터리 셀 제조 설비 구축에 박차를 가한다. 폭스바겐은 독일 잘츠기터(Salzgitter) 공장을 시작으로 스페인 발렌시아(Valencia), 캐나다 세인트 토마스(St. Thomas) 등에 기가팩토리를 구축, 표준화된 프로세스·장비·워크플로우를 적용해 경쟁력을 확보한다는 전략이다.
[더구루=정등용 기자] 현대자동차가 글로벌 4대 시장의 수장을 모두 현지인으로 배치해 그 배경에 관심이 쏠린다. 업계에서는 현지 시장 전문성 확보와 함께 해외법인의 자율성을 강화하기 위한 차원이라는 데 무게가 실린다. 16일 현대차에 따르면, 현대차 중국법인인 베이징현대(BHMC)는 최근 법인장(총경리)으로 리펑강 전 FAW-아우디 부총경리를 선임했다. 중국인이 총경리를 맡은 건 설립 23년 만에 처음이다. 이보다 앞서 현대차는 인도법인 최고경영자(CEO)에도 현지인 타룬 가르그 최고운영책임자(COO)를 내정했다. 이 역시 지난 1996년 현대차가 인도에 진출한 이후 첫 인도인 CEO다. 이로써 현대차의 핵심 시장이라 할 수 있는 북미·유럽·인도·중국 모두 현지인이 수장을 맡게 됐다. 유럽 법인의 경우 자비에르 마르티넷, 북미 법인의 경우 랜디 파커가 각각 법인장을 역임하고 있다. 현대차의 이 같은 행보는 현지 시장 전문성을 확보하고 해외법인의 자율성을 강화하기 위한 목적으로 해석된다. 현지 시장의 요구에 빠르게 대응하고 현지에 특화된 마케팅·제품 전략을 추진할 수 있도록 하겠다는 것이다. 글로벌 브랜드 이미지 제고에도 도움이 될 것이란 분석이 나온다. 외국
[더구루=홍성일 기자] 기아의 대표 준중형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스포티지가 신형 모델을 앞세워 브라질 시장을 공략한다. 현지 판매법인은 자동차 팬들의 이목이 집중되는 모터쇼에서 신형 스포티지를 공개해 바람몰이에 나설 예정이다. 15일 업계에 따르면 기아 브라질판매법인(Kia Motors Brazil)은 최근 2026년형 스포티지의 사전등록을 개시했다. 기아 브라질판매법인은 오는 22일(현지시간)부터 30일까지 상파울루 안헴비 지구에서 개최되는 '상파울루 국제모터쇼'에서 신형 스포티지를 공개한다. 또한 전동화 목적기반모빌리티(Purpose Built Vehicle, PBV) PV5도 선보인다. 브라질에 출시되는 차량은 5세대 스포티지 페이스리프트(부분변경) 모델이다. 해당 모델은 국내에서는 지난해 11월부터 판매되고 있다. 신형 스포티지는 전면부 디자인이 대대적으로 변경됐다. 우선 전면 헤드램프가 기아의 디자인 철학인 '오퍼짓 유나이티드'를 반영한 스타맵 라이팅 시그니처 조명으로 변경됐다. 이에 기존 헤드램프보다 수직으로 길어져 차량 전면부의 볼륨감이 한층 살아났다. 또한 범퍼도 기존보다 각진 디자인을 채택했다. 후면부에는 큰 변화가 없었다. 인테리어의
[더구루=정예린 기자] "사실상 메르세데스-벤츠의 모든 차량에 한국 기업의 기술이 탑재돼 있다." 올라 칼레니우스 메르세데스-벤츠 그룹 AG 이사회 의장 겸 최고경영자(CEO)는 14일 인천 파라다이스시티에서 열린 '미래 전략 간담회'에서 "주요 파트너사인 삼성과 LG의 기술이 벤츠 자동차 라인업에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각 분야 최고 파트너와 협력해 고객에 월드클래스 경험을 선사하는 것이 목표"라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삼성와 LG는 기술에 있어 폭넓은 포트폴리오를 가지고 있고 혁신도 깊이 있는 내공 가진 회사들"이라고 평가하며 "(어제 양사 관계자를 만나) '다음은 무엇인가(What’s next)'를 주제로 다음 혁신과 기술이 무엇인지, 어떻게 한계 지평 넘어가며 미래 도약할 것인가에 대한 대화를 나누고 3~4년 이후 계획들을 논의했다"고 덧붙였다. 한국 시장의 중요성을 반영하듯 메르세데스-벤츠는 아시아 시장과의 협업을 강화하기 위해 내년 1월 1일 서울에 아시아 지역의 구매·공급사 품질과 사업 개발을 총괄하는 거점을 설립한다. 독일에서 축적한 경험을 국내 고객에게 맞춤형으로 제공하고, 차량 설계 단계에서 현지 고객 특성을 적극 반영하는 전략적 기능을
[더구루=홍성일 기자] 기아의 전동화 목적기반모빌리티(Purpose Built Vehicle, PBV) 'PV5'의 브라질 출시가 눈 앞으로 다가왔다. 브라질 현지에서는 PV5가 과거 선풍적 인기를 끌었던 '베스타(Besta)'의 후계자가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1997년부터 2005년까지 판매된 베스타는 일주일에 최대 1000대 가량 판매되며 브라질 시장에서 승합차의 대명사로 군림했다. 현지 딜러사는 PV5를 앞세워 모터쇼에도 참가, 출시 전 바람몰이부터 나설 예정이다. 14일 브라질 현지 자동차매체 아우토에스포르테(Autoesporte) 따르면 기아 PV5는 현재 브라질에서 형식 승인 절차를 진행하고 있다. 형식 승인은 제품 출시 전 안전 규정 등을 충족하는지 사전에 확인하는 절차로, 신차 출시를 위한 핵심 단계이다. PV5는 화물용 카고 모델과 승객용 패신저 모델 등 두 가지 버전으로 판매될 것으로 보인다. 출시 시기는 내년 하반기다. 현지에서 예상하고 있는 판매가격은 20만 헤알(약 5520만원)이다. PV5 판매를 맡은 기아 브라질 딜러사인 간디니 그룹은 오는 22일(현지시간)부터 30일까지 상파울루 안헴비 지구에서 개최되는 '상파울루 국제모터쇼
[더구루=홍성일 기자] 독일 완성차 업체 폭스바겐이 내년도 투자 계획안 승인을 연기했다. 미국 정부의 관세와 중국 시장 판매 둔화 등으로 인한 재정 압박이 투자 계획안 승인 연기의 원인이 됐다는 분석이다.
[더구루=김예지 기자] 페라리가 브랜드 역사상 가장 강력한 양산 모델인 플러그인 하이브리드(PHEV) 슈퍼 스포츠카 '849 테스타로사(849 Testarossa)'를 국내 최초로 공개하고 한국 고객들의 이목을 집중시키고 있다. 14일 페라리는 서울 반얀트리 클럽 앤 스파에서 코리아 프리미어 행사를 개최하고, SF90 스트라달레를 잇는 새로운 플래그십 모델 849 테스타로사를 선보였다. 이 모델은 단순히 일상적인 편안함과 성능의 균형을 맞춘 '스포츠 카'를 넘어선, 매 순간 성능의 한계에 도전하고 차량의 극한을 시험하는 드라이버들을 위한 '파일럿 카'로 정의된다. 모델명 '테스타로사'는 1950년대 전설적인 레이싱카 '500 TR'의 붉은색 캠 커버에서 유래한 이름이다. 페라리 역사상 가장 강력하고 상징적인 엔진을 의미한다. 849 테스타로사는 이 전설적인 이름을 계승하며 페라리 레이싱 DNA와 엔지니어링의 정수를 담았다. 849 테스타로사의 성능은 페라리 양산 모델의 역사를 새로 썼다는 평가다. 핵심 파워트레인은 830cv를 발휘하는 완전히 재설계된 4.0리터 V8 트윈터보 엔진에 3개의 전기모터가 결합되어 있다. 이 조합을 통해 총 1050cv의 폭발적인
[더구루=김예지 기자] 현대자동차가 최근 베이징현대의 수장 자리에 중국 현지 최고경영자(CEO) 리펑강 전 FAW-아우디 부총경리를 임명한 것을 두고, 중국 자동차 업계와 시장에서 기대와 우려의 반응이 교차하고 있다. 베이징현대 합작사 설립이래 23년 만에 처음으로 한국 측 대표 권한을 중국 본토 경영진에게 전면 이양한 인사로, 현대차가 침체된 중국 시장 재도약을 위해 본격적인 현지화 전략을 가속화하겠다는 의지를 드러낸 것으로 해석된다. 13일 중국 매체 소후(Sohu)에 따르면 현지 자동차 업계는 리 총경리의 선임을 현대차의 ‘임기응변’이 아닌 '전략적 선택'으로 평가하며 높은 기대를 보이고 있다. 오랜 부진에 빠진 현대차의 중국 사업에 새로운 사고와 실행력을 불어넣을 적임자라는 분석이다. 현대차는 '중국인이 중국 시장을 더 잘 알고, 중국 소비자 수요를 더 정확히 파악한다'는 판단 아래 리더십 교체를 단행했다. 이를 통해 전략 실행력과 시장 적응성을 강화할 계획이다. 현대차는 앞서 오는 2030년까지 글로벌 판매 555만 대를 달성하고, 이 중 중국 시장 비중 8%, 전동화 모델 비중 60%를 목표로 제시했다. 이는 베이징현대가 발표한 순수전기 SUV ‘
[더구루=홍성일 기자] 폭스바겐이 미국 전기차기업 리비안과 설립한 합작사(JV) '리비안&폭스바겐그룹 테크놀로지(Rivian and VW Group Technology, LLC, 이하 RV테크)'에서 개발한 전기차용 소프트웨어를 내연기관차 모델에 적용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RV테크가 차량용 소프트웨어 개발 부문에서 성과를 보이면서 폭스바겐이 카리아드(Cariad) 악몽에서 벗어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더구루=김예지 기자] 삼성전자의 자회사 하만(HARMAN)이 '세계 최초'로 HDR10+ 오토모티브(Automotive) 인증을 획득하며 차량용 디스플레이 시장에 새로운 기준을 제시했다. 이번 인증은 차량 내 화면에서도 가정용 프리미엄 TV 수준의 △명암 △색 정확도 △밝기를 구현할 수 있음을 공식적으로 입증한 것이다. 운전자와 승객 모두에게 몰입감 있는 시각 경험을 제공할 수 있는 기술적 성과로 평가된다. 13일 하만에 따르면 HDR10+ 인증은 HDR10+ Technologies LLC가 개발한 기준에 따라 차량 내 다양한 조명 환경에서도 고명암비(High Dynamic Range, HDR) 콘텐츠를 정확하게 재현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에 부여된다. 하만은 삼성과 파나소닉과 협력해 HDR10+ Automotive 기술 사양을 수립했다. 이를 기반으로 하만의 레디 디스플레이(Ready Display) 라인업인 △NQ3 △NQ5 △NQ7 시리즈가 인증받았다. 하만의 레디 디스플레이는 삼성의 핵심 기술인 네오(Neo) QLED를 적용했다. HDR10+ Adaptive 알고리즘을 통해 주간 햇빛부터 야간 도심 조명까지 주변 환경에 맞춰 밝기와 색상을 자동으로 정
[더구루=길소연 기자] 폭스바겐 그룹이 전기차(EV) 시장의 새로운 주도권을 잡기 위해 전기차 가치 사슬의 핵심인 스페인 배터리 셀 제조 설비 구축에 박차를 가한다. 폭스바겐은 독일 잘츠기터(Salzgitter) 공장을 시작으로 스페인 발렌시아(Valencia), 캐나다 세인트 토마스(St. Thomas) 등에 기가팩토리를 구축, 표준화된 프로세스·장비·워크플로우를 적용해 경쟁력을 확보한다는 전략이다.
[더구루=홍성환 기자] 미국 에어택시 제조업체 조비 에비에이션(Joby Aviation)이 세계 최초로 거점 간 시험 비행에 성공했다. 에어택시 상용화가 속도를 높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