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산·육아휴직 눈치 보지마세요"…쥬비스그룹 사내문화 눈길

[더구루=박상규 기자] 헬스케어 기업 쥬비스그룹이 사내 기혼자의 출산·육아휴직을 휴직을 보장하며 자유로운 기업문화를 만들어 가고 있다.

 

한창 일할 나이의 30대 기혼여성의 사회활동을 발목 잡는 것은 ‘육아’다. 지난해 통계청에 따르면 기혼여성 884만 4000명 가운데 경력단절 여성은 169만 9000명으로 19.2%를 차지했다. 이중 가장 활발히 사회 활동을 해야 할 연령대인 30대가 80만 6000명으로 가장 많았다.

 

이처럼 30대 미만 여성의 경력단절 사유 1위를 차지한 것은 바로 ‘육아’(38.2%)다. 이어 임신과 출산이 22.6%를 차지했다. 결국 기혼여성의 60% 이상이 임신, 출산, 육아로 인해 자신의 커리어를 포기한 채 경력단절을 경험하게 되는 셈이다.

 

쥬비스그룹은 이 같은 상황을 개선하기 위해 기업 차원에서 적극 나서고 있다.

 

 

◇출산휴가는 기본, 1년 육아 휴직까지 보장

 

출산을 앞두고 있는 쥬비스 다이어트의 신수연 센터장은 한결 마음이 편한 상태로 출산·육아 준비에 한창이다. 회사에 임신 사실을 알리자 기업 차원에서 먼저 출산휴가와 1년간의 육아휴직에 대해 적극 설명해주고 배려했기 때문이다.

 

신 센터장은 "회사가 먼저 임신을 배려해 주는 문화가 자리 잡혀 있어 마음에 부담감 없이 출산과 육아에 전념할 수 있어 감사하다"고 말했다.

 

◇출산·육아는 경력단절? 일에 대한 성취감과 책임감 높여

 

대다수 기혼 여성은 출산·육아를 경험하며 원치 않는 경력단절을 경험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쥬비스그룹은 출산·육아 휴직이 일에 대한 성취감과 책임감이 높이는 요소라고 본다.

 

쥬비스 인사팀 관계자는 "회사에 복귀해 업무를 하면서 사회적으로 인정을 받는 자신의 모습이 자녀에게 자랑스럽게 비춰질 수 있다는 생각에 이전보다 더 일에 대한 책임감도 높고 그에 따른 성취감도 올라가는 것 같다"고 밝혔다.

 

신수연 센터장도 "90일의 출산 휴가와 1년의 육아 휴직을 한 뒤 '과연 내가 회사에 다시 돌아왔을 때 적응을 할 수 있을까'라는 고민을 많이 하게 될 수밖에 없는데, 나보다 앞서 출산과 육아 휴직을 경험한 동료들이 회사에 복귀해 이전보다 더 활기차게 업무에 임하는 모습을 보면서 많은 힘을 얻고 있다"고 전했다.

 

 

◇남성도 육아휴가 당당하게 쓴다

 

쥬비스그룹은 여성뿐 아니라 남성 직원의 육아휴직도 적극 권장한다. 남성의 경우 퇴사 및 인사고과에 대한 불안감에 육아 휴직을 사용하는데 있어 부담감이 큰 게 현실이다. 현재도 일부 대기업을 제외하고는 남성의 육아휴직은 매우 드물다.

 

실제로 쥬비스 본사의 신원상 선임은 지난해 10월부터 육아 휴직에 들어가 '라떼파파'의 삶을 즐기는 중이다. 그는 "회사에서 육아 휴직에 대한 제도에 대해 이전부터 공지를 통해 많은 정보를 제공해 줬고 오히려 남성의 육아 휴직을 권장하는 분위기라 자연스럽게 이를 사용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쥬비스 그룹은 여성·남성 구분 없는 출산·육아휴직 외에도 다양한 복지를 제공하고 있다. 공휴일과 연계해 쉴 수 있는 집중 휴가제(리프레시데이), 업무시간 이후와 주말·공휴일에는 내부 시스템에 접속할 수 없도록 한 ‘셧다운 제도’ 등 ‘워라밸 중시 문화를 만들어 나가고 있다.










테크열전

더보기




더구루인사이트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