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더구루=홍성환 기자] 싱가포르 정부가 블록체인 글로벌 허브를 목표로 앞으로 3년간 블록체인 연구·개발(R&D)에 100억원을 투자한다. 싱가포르는 아시아 지역에서 블록체인에 가장 관심이 높은 국가로, 이미 많은 기업이 이곳에 본거지를 두고 있다.
12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싱가포르 정부는 900만 달러(약 100억원) 규모 블록체인 R&D 펀드를 조성했다. 이 재원을 바탕으로 국가 블록체인 혁신 프로그램(SBIP)을 추진한다. 이는 다양한 경제 분야에서 블록체인 기술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 마련된 사업으로, 최대 75개 블록체인 회사가 참여할 예정이다.
블록체인 응용 사례를 연구, 개발, 상용화하는 데 초점을 맞춰 3년 내에 무역, 물류, 공급망 등의 분야에서 17개 블록체인 프로젝트를 개발한다는 방침이다.
싱가포르는 아시아 지역에서 블록체인에 대한 투자에 가장 적극적인 국가다. 선진화된 금융 인프라와 개방적이고 명확한 규제를 바탕으로 암호화폐, 디지털자산 등 블록체인 업체가 선호하는 국가로 자리잡았다. 국내 기업도 상당수 싱가포르에 법인을 두고 있다.
싱가포르 정보통신미디어개발청(Infocomm Media Development Authority·IMDA) 관계자는 "최초의 산업 주도 블록체인 연구 프로그램을 통해 광범위한 산업에 블록체인 기술 활용을 확산시킬 것"이라며 "이러한 노력을 통해 강력한 블록체인 생태계를 구축하고 글로벌 허브 역할을 확립할 수 있을 것이다"고 했다.
한편, 우리 정부도 앞으로 5년간 블록체인 원천기술 개발에 1133억원을 투자할 계획이다. 구체적으로는 개발이 추진되는 블록체인 핵심 원천기술은 △합의 기술 △스마트 컨트랙트 보안 기술 △분산신원증명(DID) 기반 개인정보처리·신원관리 기술 △데이터 주권 보장 데이터 관리 기술이다.
탈중앙화를 유지하며 블록체인 참여자가 증가할 때에도 서비스의 안정적 성능 확보를 위한 합의 기술 개발을 추진한다. 합의기술은 블록체인 내에서 데이터가 담긴 블록을 생성하고 합의하는 알고리즘이다.
또 스마트 컨트랙트의 보안 취약점을 개선하기 위한 기술을 개발한다. 스마트 컨트랙트는 미리 작성된 코드에 따라 계약이 실행되기 때문에 사전에 취약점을 발견하지 못하면 이용자 피해로 이어질 수 있다. 블록체인 상의 개인정보 보호를 위한 분산신원증명 관리 기술과 데이터 활용 과정에서 프라이버시 보호 기술도 개발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