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더구루=김나윤 기자] G7과 유럽연합(EU)이 중국의 희토류 공급망 지배력에 대응하기 위해 가격 하한선 도입을 포함한 다양한 조치를 논의 중이다. 추출이 까다롭고 가공 비용이 높은 희토류는 휴대전화, 전기차, 풍력터빈, 방위 산업 등 첨단 제조업의 필수 원재료로 꼽힌다.
광물 전문 매체 마이닝닷컴은 “G7과 EU의 가격 하한선이 시행된다면 수십 년 동안 중국 의존도가 높았던 서방 국가 기업들에게 자국 내 생산 확대를 위한 강력한 인센티브가 될 것”이라고 지난 24일(현지시간) 보도했다. G7은 미국, 영국, 프랑스, 독일, 이탈리아, 캐나다, 일본의 7개 주요 선진 경제대국이다.
로이터에 따르면 G7 관계자들이 최근 시카고에서 모임을 갖고 중국산 희토류 의존도를 줄이는 방안을 집중 논의했다. 회의에서는 희토류 생산 기업이 중국으로 이전하지 않도록 외국인 투자 규제 기준을 강화하는 문제, 특정 국가에서의 조달을 제한하는 지리적 제한 도입 여부 등이 주요 의제로 다뤄졌다.
다만 모든 회원국이 이에 전적으로 동의한 것은 아닌 것으로 전해졌다.
회의에서는 특히 미국이 지난 7월 도입한 정부 보조금 기반의 가격 하한선 개념이 공식적으로 거론됐다. 한 관계자는 “캐나다는 이 접근에 긍정적 반응을 보였고 호주 역시 별도로 가격 하한선 도입을 검토 중”이라고 말했다.
이밖에 중국이 생산 과정에서 사용하는 재생 불가능 에너지 비중을 기준으로 탄소세와 관세 부과 가능성도 함께 검토했다. 이는 희토류 공급의 환경적 비용까지 고려하겠다는 취지다.
이번 움직임은 중국이 무역 갈등을 이유로 희토류와 관련 자석 수출을 제한하며 사실상 독점적 지위를 활용한 데 따른 것이다.
이후 무역 긴장이 완화되면서 수출이 재개됐지만 서방 국가들은 여전히 공급 불안에 대한 우려를 거두지 못하고 있다. EU 내 다수 최종 수요기업들은 공급 차질로 인한 셧다운 위험에 직면해 있는 상황이다.
중국은 현재 전 세계 희토류 광산 생산을 장악하고 있고 전체 처리 능력의 90% 이상을 통제한다. 일본을 제외한 G7 국가들은 희토류와 영구자석 등 핵심 소재를 사실상 중국에만 의존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