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임덕’ 기업이 먼저 안다] KT 비정규직 수직상승 ㊤

문재인 대통령 취임 1년차 2017년 '역대 최저'
KT·SK텔레콤 'V'자 급증…한전 감소세 '대비'

[더구루=오소영 기자] KT와 SK텔레콤의 비정규직 직원 수가 지난 2017년을 기점으로 'V'자 상승세다. 문재인 정부의 집권 초기 정규직 확대 정책 영향으로 비정규직이 '저점'을 기록했으나 레임덕이 시작되는 집권 4년차인 지난해 '원점'으로 회복됐다.

 

8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KT의 기간제 근로자 수는 지난해 597명으로 전년 562명보다 35명 뛰었다. 지난 2015년 581명, 2016년 594명에 달하던 기간제 근로자는 지난 2017년 397명으로 급감했다. 이는 역대 최저치이며, 문재인 정권 집권 1년차였다. 이후 △2018년 426명 △2019년 562명으로 증가하다 지난해 말 기준 597명에 달해 역대 최고치를 경신했다.

 

KT는 조직 슬림화에 역량을 집중하면서 2017년 말 2만3817명이던 근로자 수는 지난해 2만2720명으로 감소했다. 이런 과정에서 비정규직이 증가했다는 분석도 있다.

 

KT는 "정년을 연장하는 시니어 컨설턴트 제도를 실시하면서 컨설턴트를 계약직으로 채용했고 디지코(Digico)로의 전환을 선언한 후 전문인력 늘렸다"며 "채용 전 인턴십이 계약직에 포함되는 점도 기간제 근로자가 늘어난 이유"라고 설명했다.

 

SK텔레콤도 비슷한 양상이다. SK텔레콤은 기간제 근로자를 2016년 157명에서 이듬해 127명까지 축소했다 2018년부터 증가하면서 2019년 246명, 지난해 220명으로 2년 연속 200명대를 웃돌고 있다.

 

이와 관련, SK텔레콤은 "인공지능(AI) 관련 경력 직원을 충원하고 조직 규모가 커지면서 비정규직 근로자도 더 많이 뽑았다"고 밝혔다. SK텔레콤의 근로자 수는 2018년 4945명이었으나 2019년 5425명으로 증가했다. 지난해 5352명으로 전년과 큰 차이가 없다.

 

재계에서는 문제인 정권 레임덕과 연관이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양사가 비정규직을 줄인 2017년은 문재인 정부가 출범했던 시기다. 당시 문재인 정부는 비정규직의 정규직화를 내걸었다. '공공기관 비정규직 제로'를 선언하고 정규직 전환 가이드라인을 발표했다.

 

공공재 성격이 강한 통신 산업은 규제 산업인 데다 정권 초기 정부의 입김에서 자유로울 수 없었지만 대통령 지지율 하락 등이 비정규직 채용 확대로 이어졌다는 분석도 있다.

 

업계 관계자는 "통신 사업은 대표적인 규제 산업으로 정책과 궤를 같이한다"며 "문재인 정권 초기 정규직 확대 정책 영향으로 비정규직을 대폭 축소했으나 이후 차츰 늘리고 있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통신업계의 행보는 정부 산하 기관과 대조된다. 공기업인 한국전력공사는 문재인 정부 출범 비정규직 규모 꾸준히 축소하고 있다. 지난해 비정규직은 155명으로 문재인 대통령이 집권하기 전인 지난 2016년 609명과 비교해 3분의 1수준을 밑돈다.

 

한편, 통신 3사 중 비정규직이 가장 많은 LG유플러스는 지난 2015년 1442명에서 2016년 1905명으로 증가했지만 2018년부터 감소했다. 지난해 기간제 근로자 수가 697명으로 2015년 대비 절반에 불과했다.










테크열전

더보기




더구루인사이트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