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더구루=홍성환 기자] 지난달 주요 손해보험사의 자동차보험 손해율이 85%를 넘어서며 적자폭이 더욱 커졌다. 2분기 실적에도 먹구름이 드리우고 있다.
25일 손해보험업계에 따르면 올해 4월 삼성화재·현대해상·DB손해보험·KB손해보험·메리츠화재 등 대형 5개사의 자동차보험 손해율은 85.1%(5개사 단순 평균 기준)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4.9%포인트 상승했다. 1~4월 누적 손해율은 83.1%로 전년 동기 대비 3.8%포인트 올랐다.
자동차보험 손해율은 사고보상금 합계를 보험료로 나눈 값이다. 보험업계에서는 통상 80%대의 손해율을 자동차보험 손익분기점으로 보고 있다. 이 선을 초과하면 보험사 입장에서는 손실이 발생하는 구조다.
업체별로 보면 DB손보가 87.9%로 가장 높았다. 이어 △현대해상(86.5%) △KB손보(84.7%) △메리츠화재(83.2%) △삼성화재(83%) 순이었다.
손해율 상승의 주요 원인으로 보험료 인하가 꼽힌다. 주요 손해보험사는 올해 초 자동차보험료를 평균 0.5~1% 인하했는데, 3~4월부터 적용됐다. 반면 차량 정비 요금과 부품비 상승, 교통량 증가 등이 손해율 악화로 이어졌다.
앞서 1분기에도 자동차보험 손해율 악화와 대형 산불 등 악재가 겹치며 주요 손해보험사의 실적이 역성장했다. 상황이 이렇자 손해보험사가 연내 자동차보험료 인상에 나설 것이란 관측도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