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프리카 '광물 부국' 기니 "채굴권 무더기 취소" 왜?

2025.05.16 08:58:59

철광석 등 50여개 채굴권 전격 취소
군부 정부, 자원 민족주의 흐름 확산 영향

 

[더구루=진유진 기자] 서아프리카 광물 부국 기니가 채굴권 수십 건을 취소했다. 군부 집권 이후 자원 민족주의 흐름 때문이라는 분석이다.

 

기니 정부 관계자는 15일(현지시간) 로이터 통신을 통해 "총 46개 광산업체의 채굴 면허를 취소했으며, 최대 53개에 이를 수 있다"고 밝혔다. 대상에는 보크사이트, 금, 다이아몬드, 흑연 등 주요 광물 자원 채굴권이 포함됐다.

 

자원 통제 강화 움직임은 지난 2021년 쿠데타 이후 집권한 군부의 정책 기조와 맞닿아 있다. 말리, 부르키나파소, 니제르 등 인접한 군정 국가들도 최근 자원 민족주의 성향을 강화하고 있다.

 

한 범아프리카 컨설팅 고문은 "이번 면허 취소는 행정 정비로 볼 수 있지만, 정부가 자원 개발을 엄격히 관리하겠다는 경고로 해석할 수 있다"고 밝혔다.

 

기니는 알루미늄 원료인 보크사이트 매장량 세계 1위 국가다. 지난해 1억4640만 톤의 보크사이트를 수출했으며, 올해는 2억 톤 이상을 채굴할 것으로 예상된다. 철광석, 다이아몬드, 금, 우라늄 등도 풍부하다. 영국 경제분석기관 이코노미스트 인텔리전스 유닛(Economist Intelligence Unit)은 "기니에 보크사이트 400억 톤, 철광석 100억 톤 이상이 매장돼 있다"고 추정한다.

 

그러나 인구 1350만명의 기니는 1인당 국내총생산(GDP)이 1000달러(약 115만원)에 불과하며, 국민 절반 이상이 빈곤선 이하에서 생활하고 있다. 자원 풍요가 생활 개선으로 이어지지 않는 '자원의 저주'라는 말이 나오는 이유다.

 

국제 인권 단체 휴먼 라이츠 워치(Human Rights Watch)는 지난 2018년 보고서에서 "기니 정부가 보크사이트 수출 확대를 위해 다국적 기업을 유치하는 과정에서 지역 주민의 토지와 수자원을 침해했다"고 지적했다. 당시 일부 주민은 "국가는 부유해졌지만, 우리는 더러운 공기만 얻었다"고 분노를 터뜨리기도 했다.

진유진 기자 newjins@theguru.co.kr
Copyright © 2019 THE GURU. All rights reserved.












발행소: 서울시 영등포구 여의나루로 81 한마루빌딩 4층 | 등록번호 : 서울 아 05006 | 등록일 : 2018-03-06 | 발행일 : 2018-03-06 대표전화 : 02-6094-1236 | 팩스 : 02-6094-1237 | 제호 : 더구루(THE GURU) | 발행인·편집인 : 윤정남 THE GURU 모든 콘텐츠(영상·기사·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 2019 THE GURU. All rights reserved. mail to theaclip@theguru.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