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더구루=정등용 기자] 이재명 정부 첫 국정감사를 앞두고 건설업계의 긴장감이 높아진다. 이재명 대통령이 건설 현장 안전 사고에 대한 강한 처벌을 강조했음에도 안전 사고가 끊이질 않자, 건설사 CEO의 국감장 소환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어서다.
21일 정치권에 따르면, 국회는 내달 13일부터 본격적인 국정감사에 돌입하기로 잠정 합의했다.
여야 국회의원들은 올해 국정감사에 건설사 CEO 소환을 검토하고 있다. 이재명 정부 들어 건설 현장 안전 사고에 대한 고강도 제재가 예고 됐지만, 여전히 중대재해와 부실시공 문제가 잇따라 발생하고 있기 때문이다.
건설 현장 안전 사고가 많았던 업체로는 현대엔지니어링과 포스코이앤씨가 거론된다. 특히 포스코이앤씨는 올해 들어서만 경기 광명시 신안산선 건설현장 붕괴 사망 사고와 경남 함양~울산 고속도로 건설현장 기계 끼임 사고 등 5건의 안전 사고가 연이어 발생했다. 이 때문에 취임 8개월이 된 정희민 사장이, 산업재해 사고 책임을 지고 지난달 사퇴했다.
최근 5년(2020~2024년)으로 범위를 넓혀 보면 산업재해로 인한 사망자가 가장 많았던 건설사는 현대건설로 17명이었다. 같은 기간 롯데건설(14명), 대우건설(13명) 역시 두 자릿수 사망자가 발생했다.
지난해 국정감사에는 전중선 포스코이앤씨 사장과 오세철 삼성물산 사장이 증인으로 불려 나왔다. 포스코이앤씨가 올해도 증인 명단에 포함된다면 2년 연속 국감 출석이 된다.
국회는 정부·여당을 중심으로 건설 현장 안전 강화를 위해 ‘건설안전특별법(건안법)’ 제정을 추진하고 있다. 이 법은 사망사고가 발생할 경우 발주처나 시공사 등 책임 주체에게 매출액의 최대 3%에 달하는 과징금을 부과하거나 최대 1년 간의 영업정지 처분을 내릴 수 있도록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