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루&이슈] 베이징1공장 매각했지만…현대차, 中 안정화 '산 너머 산'

2021.10.25 10:11:30

매각 후 공장 가동률도 40% 못 미쳐…생존 마지노선 60% 못 미쳐
현지 언론 "현지 판매 감소 지속 땐 베이징2~3공장 매각 불가피"

 

[더구루=김도담 기자] 현대자동차가 중국 전기차 회사인 리오토(Li Auto·理想汽車)에 베이징1공장 매각 작업을 공식 마무리했다. 약 60억위안(약 1조1000억원)에 달하는 현금을 확보하는 동시에 20%대까지 떨어진 현지 공장 가동률을 끌어올릴 여지가 생긴 것이다. <본보 2021년 10월18일자 참조 [단독] 베이징현대 '제1공장' 리오토에 매각 확정…순이구 당국 밝혀>

 

그러나 현대차의 중국 사업은 여전히 위기다. 아직 4개 공장이 남아 있고 현지 판매량은 좀처럼 반등할 기미가 없어 올해도 40만대 달성도 불투명한 상황이기 때문이다. 판매량을 끌어올리지 않는다면 공장 추가 매각도 불가피하다는 게 분석이다.

 

◇"현대차, 이미 생존 위한 가동률 밑돌아"

 

현지 자동차 전문매체 자동차연대기(汽車大事記) 지난 20일 보도에 따르면 "(중국) 자동차 업계에선 공장 가동률 80% 안전선이고 생존을 위해선 60%를 넘어야 한다는 얘기가 있다"며 "베이징현대(현대차 중국 합작법인)는 이미 생존을 위한 가동률을 크게 넘어선 위험한 상황"이라고 전했다.

 

베이징현대의 지난해 공장 가동률은 30.42%, 올 들어선 다시 20%대로 떨어졌다. <본보 2021년 6월25일자 참조 현대차 中공장 올 5월 가동률 23.55%…'4분의 3은 개점휴업'> 베이징 1공장 매각으로 생산능력이 연 30만대 줄었다고는 하지만 여전히 가동률 40%를 넘기기는 어려운 상황이다.

 

현대차는 지난 2002년 중국 현지 생산을 시작해 폭발적으로 성장했다. 2016년 한때 총 118만대를 현지 판매했다. 기아차를 포함하면 179만대다. 2002년 베이징 1공장 가동을 시작으로 베이징 2공장(2008년), 베이징 3공장(2012년), 창저우공장(2016년) 충칭공장(2017년)을 연이어 가동했다.

 

그러나 2017년 사드 갈등을 계기로 현지 판매량이 급감하더니 지난해 판매량은 44만대에 그쳤다. 기아를 포함해도 66만대다. 올해 역시 상황은 크게 다르지 않다. 올 1~9월 누적 판매량은 29만7000대, 기아 11만5000대를 포함해도 41만2000대에 그친다. 이대로면 목표했던 81만7000대(현대차 56만2000대, 기아 25만5000대)에 크게 못 미칠 전망이다. 이대로면 낮은 공장 가동률에 따른 적자 누적을 피하기 어렵다. 

 

◇베이징 2공장 매각 추진 않는다지만…"구조조정 불가피"

 

현지 업계는 현대차가 중국 내에서 추가적으로 강도 높은 구조조정하지 않을 수 없으리라 전망하고 있다. 베이징 1공장 매각으로 현지 생산능력이 165만대에서 135만대로 줄었다고는 하지만 여전히 판매량과 비교해선 턱없이 많기 때문이다.

 

현지에서 베이징 2공장 매각설이 나오는 것도 이 같은 배경으로 풀이된다. 중국 현지 언론, 그리고 국내 일부 언론은 지난 9월 현대차가 베이징 2공장을 추진하고 있으며 샤오미 등 기업이 물망에 오르고 있다고 보도했다. 베이징현대는 매각 계획 자체가 없다고 못박았으나 현지 언론 사이에선 베이징 2공장은 물론 베이징3공장 매각 가능성마저 제기되고 있다. <본보 2021년 9월10일자 참조 中 언론 "베이징현대, 제2공장 매각설 사실무근">

 

현대차는 전기차에서 활로를 모색하고 있다. 이르면 연내 현대차의 첫 전기차 전용 플랫폼을 적용한 아이오닉5를 현지 출시한다. 그러나 상하이에 공장을 차린 테슬라와 막대한 자금력을 확보한 중국 신흥 전기차 회사의 치열한 경쟁 속 얼마나 존재감을 보여줄지는 미지수다. 현대차는 현재 3종의 순수 전기차를 현지 판매하는데 올 1~8월 누적 판매량은 1300여대에 불과하다.

 

업계 관계자는 "중국 시장의 규모와 중요성을 고려했을 때 현대차그룹이 이곳을 포기할 가능성은 낮지만 이 추세라면 한계 브랜드를 면치 못할 수 있다"며 "이렇게 된다면 베이징 1공장은 물론 2~3공장 매각을 통해 손실을 막아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김도담 기자 dodam@theguru.co.kr
Copyright © 2019 THE GURU. All rights reserved.












발행소: 서울시 영등포구 여의나루로 81 한마루빌딩 4층 | 등록번호 : 서울 아 05006 | 등록일 : 2018-03-06 | 발행일 : 2018-03-06 대표전화 : 02-6094-1236 | 팩스 : 02-6094-1237 | 제호 : 더구루(THE GURU) | 발행인·편집인 : 윤정남 THE GURU 모든 콘텐츠(영상·기사·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 2019 THE GURU. All rights reserved. mail to theaclip@theguru.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