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정등용 기자] 지난 5월 중국과 러시아 간 무역량이 우크라이나 전쟁 발발 이후 역대 최고치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서방 국가들의 제재를 받고 있는 러시아에 중국이 생명줄을 건네는 모습이다. 10일 중국 해관총서(세관) 자료에 따르면 지난 5월 중국과 러시아 간 무역액은 205억 달러(약 26조5700억 원)를 기록했다. 이 중 중국의 대(對)러시아 수입액은 113억 달러(약 14조6400억 원)에 이른다. 올해 1월부터 5월까지로 범위를 넓혀도 중국과 러시아 간 무역액은 큰 폭의 증가세를 보였다. 해당 기간 양국 간 무역액은 938억 달러(약 122조5000억 원)로 전년 동기 대비 40.7% 증가했다. 중국의 대러시아 수출액은 429억6000만 달러(약 56조 원) 작년 같은 기간에 비해 75.6% 늘었다. 러시아로부터의 수입액은 508억6000만 달러(약 66조3000억 원)로 전년 동기 대비 20.4% 증가했다. 지난해 2월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이 시작된 이후 서방 국가들의 경제 제재가 이어지자 중국이 러시아의 새로운 주요 교역국으로 떠오른 셈이다. 최근 몇 년 동안 중국과 러시아는 경제 및 외교 협력을 강화해왔다. 우크라이나 전쟁 후엔
[더구루=길소연 기자] 세계 4위 프랑스 해운선사 'CMA CGM'이 스페인 터미널 입지를 강화하기위해 중국 해운사가 보유한 터미널 지분을 인수한다. [유료기사코드] 9일 업계에 따르면 CMA CGM은 스페인 물류회사 TPIH 이베리아(TPIH Iberia)로부터 중원해운항구(Cosco Shipping Ports)가 보유한 CSP 발렌시아 지분 49%와 CSP 빌바오 38%를 각각 인수한다. 인수가는 비공개다. CSP 빌바오는 스페인과 북유럽의 주요 항구를 연결하며 95만TEU를 처리할 수 있다. 스페인 북부의 주요 터미널이자 이베리아 반도와 프랑스 남서부 내 단거리 컨테이너 운송의 주요 관문에 위치하고 있다. CSP 발렌시아는 약 350만TEU를 처리하며 스페인 최대 컨테이너 터미널 중 하나이자 마드리드로 가는 주요 관문이다. CMA CGM는 스페인 터미널 지분 인수로 지중해 전역의 터미널 운영에서 1070만TEU 용량을 갖게 된다. CMA CGM은 인수한 터미널에서 대서양을 통해 유럽 내 단거리 운송 서비스를 운영한다. 지중해는 아프리카, 아시아, 유럽의 교차로에 있어 해상 운송, 항만 운영 및 물류 발전을 위한 주요 지역으로 꼽힌다. CMA CGM은 해
[더구루=길소연 기자] 덴마크 해운선사 머스크가 마이크로소프트(MS)와 손잡고 물류 디지털화와 탈탄소화를 실현한다. 머스크 클라우드 플랫폼에 '마이크로소프트 애저'(Microsoft Azure)를 사용해 클라우드 기술 접근 방식을 강화한다. [유료기사코드] 머스크는 8일(현지시간) 마이크로소프트와 협력해 클라우드 플랫폼으로 마이크로소프트 애저를 사용한다고 밝혔다. 애저는 마이크로소프트에서 만든 클라우드 컴퓨팅 플랫폼 및 인프라스트럭처 서비스이다. 애저는 탄력적이고 성능이 뛰어난 클라우드 서비스에 머스크의 접근을 가능하게 한다. 머스크는 애저의 머신 러닝과 데이터 분석을 사용해 새로운 작업 방식을 지원한다. 나브닛 카푸어(Navneet Kapoor) 머스크 부사장 겸 최고기술·정보책임자는 "마이크로소프트와 함께 기술 분야의 혁신을 활용해 물류 분야 디지털화를 주도한다"고 말했다. 머스크는 이미 마이크로소프트와의 파트너십으로 원격 컨테이너 관리(RCM)와 같은 혁신적인 디지털 솔루션을 시장에 선보인 바 있다. 머스크는 실시간으로 수십만 개의 냉장 운송 컨테이너에서 온도와 습도 데이터를 모니터링해 식품 등 다른 부패하기 쉬운 물건은 완벽한 상태로 도착하도록 보장한
[더구루=한아름 기자] 아스트라제네카가 이탈리아 산하 연구센터와 손잡고 혁신 신약 발굴에 나선다. 2년간 9700만유로(약 1354억원)을 들여 200여 개의 신약 연구를 수행하겠다는 목표다. [유료기사코드] 9일 아스트라제네카에 따르면 2025년까지 이탈리아에 9700만유로를 투자한다. 이번 투자로 현지 산하 연구센터 300여 곳과 협업할 것으로 예상했다. 이번 투자 소식은 최근 이탈리아 로마에서 열린 행사 '인구 통계학에서 경제로: 이탈리아를 위한 생망과학의 역할'(From demography to the economy: the role of life sciences for Italy)에서 발표됐다. 로렌조 비툼(Lorenzo Wittum) 아스트라제네카 이탈리아법인장은 이번 행사에서 "지속 가능한 복지 국가 비전을 달성하려면 예방·진단 분야에 기술력을 갖춰야 한다"며 "이번 투자로 이탈리아의 바이오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전했다. 이탈리아 바이오산업 활성화에 대비해 유망한 신약후보물질을 미리 선점하겠다는 전략으로 읽힌다. 이탈리아가 글로벌 바이오 시장을 이끌 주요 국가로 성장할 것이라는 판단에서다. 실제 글로벌 제약사들이 이탈리아에
[더구루=김형수 기자] CJ제일제당이 투자한 이스라엘 배양육 스타트업 알레프 팜스(Aleph Farms)가 유명 미국 셰프와 손잡고 제품 상업화에 박차를 가한다. 배양육 사업에 힘을 쏟는 CJ제일제당 사업에도 장밋빛 전망이 나온다. [유료기사코드] 9일 업계에 따르면 스타 셰프 마르쿠스 사무엘손(Marcus Samuelsson)은 투자자 겸 요리자문·출시 파트너로 알레프 팜스에 합류했다. 마르쿠스 사무엘손은 넷플릭스 요리대결 콘텐츠 ‘아이언 셰프: 레전드에 도전하라’에 아이언 셰프로 출연하며 이름을 알렸다. 미국 PBS 프로그램 ‘여권 필요없음(No Passport Required)’에서 진행자 역할을 맡기도 했다. 미국 음식과 문화 속에 스며든 다양한 이민자 전통과 식문화를 탐구하는 방송이다. 마르쿠스 사무엘손은 미국 뉴욕, 마이애미, 애틀란타와 바하마 등에서 7개의 레스토랑을 운영하고 있다. 마르쿠스 사무엘손은 제품 개발, 시장 진출 전략 등에 대한 자문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알레프 팜스가 올해 말 싱가포르와 이스라엘, 내년 미국에서 알레프 컷을 출시하는 작업을 뒷받침할 전망이다. 알레프 팜스는 지난 4월 알레프 컷 브랜드를 통한 배양육 스테이크 ‘프티
[더구루=한아름 기자] 영국 바이오기업 아박타(Avacta)가 아피셀 테라퓨틱스(AffyXell Therapeutics·이하 아피셀) 지분을 확대한다. 아피셀의 기술력을 높이 산 데 따른 것이다. 아피셀은 아박타와 대웅제약이 지난 2020년 설립한 조인트벤처(JV)로, 세포치료제를 개발하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아박타는 아피셀 지분을 확대한다고 8일 공식 입장을 밝혔다. 아피셀이 연구 중인 세포치료제가 두 번째 이정표를 달성했다는 판단에서다. 아박타는 이정표 달성으로 발생한 마일스톤을 기반으로 아피셀에 투자하겠다는 계획이다. 다만 확대 지분 규모는 정확히 밝히지 않았다. 현재 아피셀 지분의 19%를 갖고 있다. 아박타가 아피셀 지분 확대에 나서는 배경은 신약 개발에 대한 자신감으로 풀이된다. 아피셀은 세포치료제 연구에 박차를 가하겠다는 계획이다. 아피셀은 대웅제약의 줄기세포 플랫폼(DW-MSC)과 영국 아박타사의 아피머(Affimer) 기술을 융합해 유효성을 높인 차세대 세포치료제를 개발하고 있다. DW-MSC는 기존 성체조직유래 중간엽줄기세포의 짧은 수명과 생산성 한계를 극복했고, 아피머는 항체와 같은 기능을 하지만 가격 경쟁력이 있고 크기가 작아 조직
[더구루=정예린 기자] 스텔란티스가 유럽 최대 금속 재활용 기업과 손잡고 폐자동차 재활용 시장에 진출한다. 확보한 소재를 신차 생산에 사용하는 등 순환경제를 구축한다는 목표다. 8일 스텔란티스에 따르면 회사는 최근 벨기에 '갈루(Galloo)'와 수명이 다한 차량(ELV) 재활용 합작사 설립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양사 협상을 통해 투자 규모 등을 결정할 예정이다. 합작사는 선별된 공인 처리 시설과 협력해 폐차를 수집한다. 폐차에서 재사용·재제조·재활용이 가능한 부품을 회수한다. 이렇게 확보한 소재는 스텔란티스의 새로운 차량 생산에 다시 사용된다. 합작사는 올해 말 프랑스, 벨기에, 룩셈부르크를 시작으로 유럽 전역으로 서비스를 확대 적용한다는 계획이다. 다른 완성차 업체에도 제공한다는 방침이다. 스텔란티스는 지난해 2038년까지 완전한 탄소 중립 도달을 목표와 순환경제 사업을 위한 4R 전략을 발표했다. 4R 전략은 재가공(Reman), 수리(Repair), 재사용(Reuse), 재활용(Recycle)을 의미하는 4개의 R을 포함한다. 결함이 있거나 마모된 부품을 분해해 클리닝한 후 재가공하고, 마모된 부품을 수리해 고객의 차량에 재장착, 상태
[더구루=한아름 기자] 프랑스 제약사 OSE이뮤노테라퓨틱스(OSE Immunotherapeutics·이하 OSE 이뮤노)가 '항암제 올림픽'으로 일컬어지는 미국임상종양학회(ASCO) 연례학술대회에 참여했다. OSE이뮤노는 이번 행사에서 비소세포폐암 치료제 '테도피'를 홍보했다. 종근당에 긍정적인 시그널로 작용할 것이란 분석이다. 종근당은 테도피의 국내 판권을 보유한 덕분이다. [유료기사코드] 8일 OSE이뮤노에 따르면 지난 2일부터 4일간 미국 시카고에서 개최된 ASCO 연례학술대회에 참여했다. OSE이뮤노는 미국 현지 의료진에 비소세포폐암 치료제 '테도피'의 임상 3상 추가 데이터를 공개하며 특장점을 알렸다. 이번 연구를 진행한 벤저민 베세(Benjamin Besse) 박사가 발표를 진행했다. 발표명은 '임상 3상 아탈란트-1(ATALANTE-1)에서 항암 백신 OSE2101 또는 화학 요법(CT)으로 치료된 면역 체크포인트 억제제(IO)에 실패한 후 비소세포폐암(NSCLC) 환자의 전체 생존(OS)의 예후 인자(Prognostic factors of overall survival (OS) in non-small cell lung cancer (NSCLC)
[더구루=정예린 기자] 독일 산업용 레이저 전문기업 '트럼프(TRUMPF)'가 중국에 새로운 거점기지를 마련했다. 갈수록 거세지고 있는 미국의 대중 수출 규제에도 아랑곳 않고 중국 시장 공략을 가속화하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7일 트럼프에 따르면 회사는 최근 중국 광동성 심천(선전)시에 신규 레이저 응용 센터를 오픈했다. 심천 사업장은 트럼프가 세계에서 9번째, 중국에서 2번째로 설립한 레이저 기술 연구개발 시설이다. 트럼프는 1923년 설립돼 100여 년의 업력을 자랑하는 유서깊은 회사다. 극자외선(EUV) 노광 장비 핵심 장치를 개발한다. 독일 자이스·프라운호퍼 IOF 연구소, 네덜란드 ASML, 벨기에 아이멕 등 1200여 개 기업·대학·연구소와 함께 'EUV 얼라이언스'에 소속돼 있다. EUV 장비에서 EUV를 생성하기 위해서는 플라즈마를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 플라즈마는 진공상태에서 EUV 광원에 탄산가스를 공급하고 이를 증폭시킨 뒤 주석(Sn)과 결합해 발생된다. 트럼프는 이 과정에서 필수 소재인 탄산가스 레이저 설비를 제조한다. 트럼프는 2000년 장쑤성 소주시에 전액 출자 자회사를 설립하며 중국 시장에 첫 발을 내딛었다. 심천시와 소주시 외에
[더구루=김형수 기자] 프랑스 주류기업 페르노리카(Pernod Ricard)가 멕시코 증류주 노첼루나 소톨(Nocheluna Sotol)을 내세워 글로벌 주류 시장 공략에 고삐를 죄고 있다. 미국과 멕시코에 이어 유럽에서 노첼루나 소톨을 출시하며 소비자 유치에 나섰다. [유료기사코드] 7일 업계에 따르면 페르노리카는 프랑스, 영국, 스페인, 이탈리아 등에 노첼루나 소톨을 론칭했다. 지난달 말 프랑스 파리에서 노첼루나 소톨 유럽 출시 행사를 개최하며 홍보에 나섰다. 알렉산더 리카(Alexandre Ricard) 페르노리카 회장 겸 최고경영자(CEO)를 비롯해 모이세스 구인디(Moises Guindi) 카사 룸브레 최고경영자(CEO) 겸 공동창업자 등이 참여해 노텔루나 소톨 마케팅에 힘을 실었다. 노첼루나 소톨은 페르노리카가 멕시코 주류업체 카사 룸브레(Casa Lumbre), 미국 싱어송라이터 레니 크레비츠(Lenny Kravitz)와 손잡고 선보인 증류주다. 노첼루나 소톨은 미국 남서부 및 멕시코 북부가 원산지인 백합과 식물 소톨(Sotol)을 활용해 만들어진다. 카사 룸브레는 100% 야생에서 수확한 소톨을 사용해 시트러스·카카오·민트의 허브 향을 느낄 수
[더구루=한아름 기자] 이스라엘 바이오벤처 바이옴엑스(BiomX)가 영토 확장에 드라이브를 걸었다. 유럽 낭포성섬유증 학회(European Cystic Fibrosis Conference·ECFC)에 낭포성섬유증 치료제 'BX004' 임상 데이터를 발표한다. 바이옴엑스는 종근당과 한독이 지난 2018년 투자하면서 국내에 알려졌다 [유료기사코드] 7일 업계에 따르면 바이옴엑스가 오는 9일(현지시간) 오스트리아 비엔나에서 열리는 제 46회 유럽 낭포성섬유증 학회에서 BX004 1b/2a 관련 포스트 프레젠테이션을 진행한다. 프레젠테이션명은 '만성 녹농균성 폐감염 낭포성 섬유증 환자를 대상으로 한 치료 연구 임상 1b/2a상'(A phase 1b/2a randomized, double-blind, placebo-controlled, multicenter study evaluating nebulized phage therapy in cystic fibrosis subjects with chronic Pseudomonas aeruginosa pulmonary infection)이다. 해당 임상은 2021년 미국 식품의약국(FDA)의 허가를 받아 진행됐다. 바이옴엑스는
[더구루=홍성환 기자] 세계 2위 반도체 장비업체 네덜란드 ASML가 대만 정부로부터 현지 생산 공장 설립과 관련해 약 120억원의 보조금을 획득했다. 대만이 글로벌 반도체 산업에서 경쟁 우위를 공고히 하기 위해 적극적인 지원에 나서는 모습이다. [유료기사코드] 5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대만 경제부는 ASML 2㎚(나노미터·1㎚=10억분의 1m) 웨이퍼(기판) 광측정 장비 연구·개발 및 생산 프로젝트에 대한 2억8500만 대만달러(약 120억원) 규모의 보조금을 승인했다. 이는 전체 투자액 9억5000만 대만달러(약 410억원)의 30% 수준이다. ASML과 대만 정부는 △대만 내 생산 비율 35% 확대 △대만 공급업체 6곳 추가 △대만 내 연간 조달액 72억 대만달러(약 3100억원) 확대 등을 조건으로 보조금 지급에 합의했다. ASML은 앞서 작년 11월 300억 대만달러(약 1조2910억원)을 투자해 대만 신베이시 린커우 공일산업원구에 추가 거점기지를 짓는다고 발표했다. 클린룸을 갖춘 생산 공장과 연구·개발(R&D) 센터, 사무실, 물류창고 등을 구축한다. 특히 R&D센터에는 2나노 웨이퍼 광측정 장비 개발에 중점을 둔다. 대만 정부는 올
[더구루=홍성일 기자] 마이크로소프트(MS)의 급여 지침이 공개됐다. MS에서 근무하는 신입 엔지니어의 연봉이 8만3000달러(약 1억1500만원)부터 시작되는 것으로 확인됐다. [유료기사코드] 31일 경제전문매체 비즈니스 인사이더에 따르면 MS는 레벨 57(초급 엔지니어) 직원에게 8만3000달러부터 12만4600달러(약 1억7320만원) 범위에서 급여를 지급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내용은 비즈니스 인사이더가 MS의 급여지침을 공개하면서 알려졌다. 공개된 자료에 따르면 MS의 엔지니어는 레벨 57부터 70까지 직원 등급을 분류해 관리하고 있다. 레벨57부터 59까지는 초급 엔지니어를 뜻하며, 레벨 63부터는 선임엔지니어급이다. 레벨 65에 도달하면 수석엔지니어로 분류되고 레벨 68은 파트너가 된다. 최종적으로 레벨 70에 도달하면 특출난 엔지니어(Distinguished engineers)가 돼 상당한 대우를 받는다. 선임엔지니어가 되면 기본 연봉은 14만5000달러(약 2억원)부터 시작되며, 수석엔지니어는 17만2800달러(약 2억4000만원)부터 연봉이 시작된다. 최고 등급인 레벨 70에 도달하면 기본 급료는 25만2000달러(약 3억5000만
[더구루=정예린 기자] 미국 엔비디아가 개발 중인 ARM 기반 칩 'N1X'가 윈도우 11 환경에서 작동하는 모습이 벤치마크를 통해 처음 확인됐다. 완성된 제품은 아니지만, ARM 칩이 윈도우에서 실제 구동된 첫 사례로 인텔과 AMD가 주도하는 노트북용 칩 시장에 도전할 기반을 마련했다는 평가가 나온다. [유료기사코드] 31일 미국 IT 전문 매체 '톰스하드웨어'에 따르면 엔비디아가 개발 중인 ARM 기반 시스템온칩(SoC) 'N1X'가 그래픽 성능 측정을 위한 벤치마크 프로그램 '퍼마크(FurMark)' 데이터베이스에서 포착됐다. 해당 테스트는 윈도우 11 환경에서 진행됐으며, N1X는 720p 기준 4286점을 기록했고 평균 프레임은 71이었다. 벤치마크 점수는 RTX 2060과 같은 구형 그래픽카드보다 낮았지만, 이번 GPU 성능 테스트가 주목받는 이유는 따로 있다. 중앙처리장치(CPU)와 그래픽처리장치(GPU)가 하나로 통합된 시스템온칩(SoC) 구조로 개발되고 있는 N1X가 윈도우 11 환경에서 정상 작동한 첫 사례이기 때문이다. 그동안 ARM 아키텍처는 주로 스마트폰과 태블릿용으로 쓰였고, 윈도우 운영체제를 공식 지원하는 ARM 칩도 일부 퀄컴 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