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 사우디 원전 수주 핵심 열쇠?…尹·바이든 대통령 'IAEA 추가의정서' 전략적 선택

사우디, 한전 '바라카 원전·자금 조달 역량' 호평
IAEA 추가의정서 미가입국 걸림돌…윤석열, 美 합의 유지 여부 결단 '이목'

 

[더구루=오소영 기자] 한국전력이 사우디아라비아 원전 수주의 유력 후보로 부상한 가운데 한·미 정부가 국제원자력기구(IAEA) 추가의정서 문제를 어떻게 풀어갈지 주목된다. 원전 수출에 드라이브를 거는 윤석열 대통령과 사우디와의 관계 회복을 꾀하는 조 바이든 대통령의 이해관계가 맞아떨어지며 기존 합의를 깨고 IAEA 추가의정서 미가입국인 사우디 원전 건설에 협력할 수 있다는 관측이 제기된다.

 

27일 업계에 따르면 사우디 정부는 한전과 러시아 로사톰, 중국광핵집단(CGN), 프랑스 EDF를 1.4GW 규모의 원전 2기 사업 입찰에 초청했다.

 

한전은 가장 유력한 수주 업체로 꼽힌다. 사우디는 한전의 아랍에미리트(UAE) 바라카 원전 사업을 중동의 모범 사례로 보고 있다. 한전은 아랍권 최초의 상업용 원전인 바라카 원전 4호기 건설을 성공적으로 수행했다. 1·2호기를 가동 중이며 3호기의 연료 장전을 지난달 마쳤다. 4호기의 공정률은 92%에 이른다.

 

아울러 한전은 신뢰할만한 자금을 확보할 수 있는 거의 유일한 회사로 평가받는다. 한전은 지난 2016년 바라카 원전 사업을 추진하며 수출입은행으로부터 31억 달러(약 3조원)의 대출 지원을 받았었다.

 

변수는 한·미 정부의 태도에 있다. 양국은 작년 5월 IAEA 추가의정서 가입국에만 원전을 수출하기로 뜻을 모았다. IAEA 추가의정서는 미신고 원전 시설에 대한 IAEA의 사찰 권한을 강제한 제도다. 사우디는 이란 핵 개발을 견제하고자 가입을 꺼리고 있어 한국이 수출을 강행한다면 미국과의 합의를 깨뜨리게 된다.

 

업계에서는 윤석열 대통령이 원전 수출에 드라이브를 걸고 있어 합의를 원점으로 되돌릴 수 있다는 분석이 제기된다. 윤 대통령은 2030년까지 원전 10기 수출을 목표로 내걸었다. 한전을 중심으로 한 '팀 코리아'를 꾸려 사우디 수출을 적극 지원하고 있어 탈원전을 외쳤던 전 정부 시절의 합의를 유지하지 않을 수 있다는 분석이다.

 

미국도 주요 동맹국인 한국, 사우디와 협력을 강화하고자 이를 용인할 가능성이 있다. 바이든 대통령은 특히 사우디의 마음을 얻고자 애쓰고 있다. 국제 유가를 안정시키고 중동에서 중국의 입김을 잠재우려면 사우디의 협조가 필수적이어서다. 바이든 대통령은 이달 초 첫 중동을 방문해 '탈중동 정책'을 멈추겠다고 선언했었다.

 

다만 미국이 비핵화를 중시해 IAEA 추가의정서를 고수할 가능성도 있다. 이 경우 윤 정부가 기존 합의를 배척하긴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한국이 수출하려는 한국형 원전 'APR1400'은 미국의 원천 기술을 활용해 개발돼 미국 원자력법 123조를 적용받는다. 현지 법안에 따라 미국이 원전 수출을 막은 국가에 한국이 수출을 추진하기 어려워 사우디 사업을 따내려면 미국과의 공조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한편, 한전은 "IAEA 추가의정서는 한·미 정부간 합의 사항으로 이에 대해 아는 바가 없다"라고 말을 아꼈다. 










테크열전

더보기




더구루인사이트

더보기